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UAE 커피 시장동향
  • 상품DB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미진
  • 2025-07-08
  • 출처 : KOTRA

유럽산 완제품 수입 중심 구조 속 차별화된 원두 전략 필요

다문화·고소득 소비가 이끄는 UAE 커피 시장, 기회와 과제

상품명 및 HS코드

 

HS CODE

품목

090121

커피, 볶은 것(탈카페인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볶은 커피 중 카페인을 제거하지 않은 일반 커피 제품 포함

 

시장 동향

 

1. UAE 커피 시장 규모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4년 UAE 커피 시장은 전년 대비 6% 성장한 11억2300만 디르함(약 3억578만 달러) 규모로 추산되며 2029년까지 연평균 7%의 성장을 기록, 16억 디르함(약 4억36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UAE 커피 시장에서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제품군은 인스턴트 커피와 원두를 신선 분쇄한 원두(분말)로 시장의 약 50%, 44%를 차지했다.

 

<UAE 커피 시장 규모 추이>

(단위: 백만 디르함)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전체

932.0

955.4

977.2

1,055.6

1,123.4

원두(콩)

52.4

54.5

54.2

58.5

62.9

원두(분말)

408.5

428.3

423.8

460.0

499.8

인스턴트

470.9

472.6

499.3

537.1

560.7

* 주: 1 USD=3.67 디르함

[자료: Euromonitor]

 

2. 다양성과 구매력이 만들어낸 커피 열풍

 

UAE는 인근 중동국가와 유사하게 전통적으로 손님을 맞이할 때 커피나 차를 제공하는 환대문화가 있어 커피에 대한 수요가 일찍이 발달했다. 에미라티(Emirati)의 전통 문화와 더불어 높은 구매력과 새로운 미식 경험을 추구하는 경향이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확대되면서 커피 시장 성장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3. 소비 유형별 트렌드도 뚜렷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인스턴트 커피는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꾸준한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신선한 원두와 분쇄 커피는 고급 레스토랑과 커피 애호가들 사이에서 높은 수요를 보이며, 캡슐 커피는 정량 추출의 편리함 덕분에 가정용 시장과 바쁜 직장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한편 커피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도와 경험이 높아짐에 따라 기호가 세분화되고 다양화되면서 개인의 취향을 만족시키는 다양한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 UAE 전역에서는 스페셜티 커피 전문점의 확장이 이어지고 있으며, 업계는 소비자 교육 캠페인을 통해 다양한 원두와 로스팅 방식의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인지도와 수요를 더욱 확대해 나가고 있다.

 

4. 기후변화 영향으로 가격 인상에도 수요는 견조

 

인도, 인도네시아 등 주요 커피 생산국의 강우량 부족으로 원두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원두 가격이 상승했다. UAE는 상대적으로 높은 구매력을 바탕으로 가격 인상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소포장 제품의 판매 비중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다만 커피를 음용하는 소비자들의 소득수준 대비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어 전반적인 커피 수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주재국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UAE의 주요 커피 수입국은 네덜란드, 스위스,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는 에티오피아, 브라질 등 원두 생산국으로부터의 직접 수입보다는 완제품 형태로 수입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이며, 역내 로스터리 시설이 소수에 불과한 구조적 요인도 작용하고 있다.

 

2024년 기준 UAE의 최대 커피 수입국은 네덜란드로 2300만 달러를 수입, 전체 수입의 21.7%를 차지했으며, 스위스(20.2%), 이탈리아(20.1%)가 근소한 차이로 그 뒤를 이었다. 한편 한국은 UAE의 전체 커피 수입 중 0.01% 미만을 차지하며 47위에 올랐다.

 

<UAE 국가별 커피 수입 현황>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2022년

2023

2024

2022

2023

2024


88,349

106,770

106,290

-

-

-

1

네덜란드

27,963

39,398

23,062

31.7

36.9

21.7

2

스위스

11,583

13,340

21,418

13.1

12.5

20.2

3

이탈리아

18,148

17,564

21,396

20.5

16.5

20.1

4

영국

7,471

9,045

8,972

8.5

8.5

8.4

5

폴란드

1,236

5,280

6,528

1.4

4.9

6.1

6

독일

3,743

2,931

4,417

4.2

2.7

4.2

7

프랑스

2,538

2,080

2,480

2.9

1.9

2.3

8

미국

2,942

2,916

1,924

3.3

2.7

1.8

9

스페인

927

1,947

1,890

1.0

1.8

1.8

10

오스트리아

1,640

2,469

1,731

1.9

2.3

1.6

47

대한민국

0.6

6.5

4.7

0.0007

0.0061

0.0044

[자료: Global Trade Atlas, 25.6월]

 

경쟁 동향

 

UAE 커피 시장에서는 글로벌 브랜드들이 강세다. 네슬레(Nescafé), 일리(Illy), 라바짜(Lavazza), 스타벅스(Starbucks) 등 주요 커피 기업이 인스턴트 및 원두 시장을 모두 아우르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아울러 마툭(Maatouk), 알리카페(Alicafe) 등 아랍식 커피 전문 브랜드 또한 아랍권 소비자들에 의해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현지 로스팅 및 유통 기업으로는 퍼스트 빈 커피 트레이딩(First Bean Coffee Trading LLC)과 커피 플래닛 로스터리(Coffee Planet Roastery FZE), 크란티 로스터리(Kranti Roasters LLC) 등이 있다. 이들 업체는 원두를 대량 수입해 자체적으로 로스팅한 후 국내외에 공급하며 UAE 커피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UAE 시장에서 판매 중인 주요 커피 브랜드 및 제품 현황>

브랜드명

제품 상세

Nescafe

· 제품명 : Classic Jar, 190g

· 가격 : 26.79 AED

Illy

· 제품명 : Classic Roast Regular Coffee Beans, 250g

· 가격 : 39.29 AED

Starbucks

· 제품명 : Espresso Roast Coffee Capsules 10 Capsules, 57g

· 가격 : 25.49 AED

Davidoff

· 제품명 : Crema Intense Smooth And Rounded Instant Coffee 100g

· 가격 : 22.79 AED

Alicafe

· 제품명 : Signature French Roast 3-in-1 Instant Coffee 22g Pack of 30

· 가격 : 36.79 AED

Maatouk

· 제품명 : Decaffeinated Lebanese Coffee, 250g

· 가격 : 41.29 AED

Coffee Planet

· 제품명 : French Ground Coffee Beans, 250g

· 가격 : 30.85 AED

* 주: 제품 가격은 6월 16일 기준

[자료: Carrefour 홈페이지]

 

유통 구조

 

까르푸(Carrefour), 루루 하이퍼마켓(Lulu Hypermarket), 스피니스(Spinneys), 유니온쿱(Union Coop), 알마야(Al Maya) 등 대형 슈퍼마켓과 하이퍼마켓이 UAE 커피 시장의 주요 유통 경로다. 이들 채널을 통해 각종 커피 제품(원두, 분쇄커피, 인스턴트 등)이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스타벅스(Starbucks), 코스타 커피(Costa Coffee), 카페 네로(Caffe Nero) 등 글로벌 커피숍 체인을 통해 커피를 구매하는 소비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단, UAE 국외 제조사의 경우 현지 파트너사인 식품 수입업체를 디스트리뷰터로 선임해야 하며 현지 파트너사는 수입 통관이전 제품 등록 및 유통 등을 대행한다.

 

<UAE 커피 유통구조>

[자료: KOTRA 두바이 무역관 정리]

 

관세율 및 인증

 

1. 관세율

 

UAE의 수입관세율은 GCC 관세협정에 따라 5%가 적용되며, 부가가치세(VAT) 5%가 적용된다.

 

2. 인증

 

수입식품의 경우 통관 전에 ZAD 포털*을 통해 수입업체, 수입식품, 라벨링 등 사전등록 과정이 요구된다. 현지 파트너사가 전 과정을 대행하며 커피의 경우 저위험군인 녹색 절차로 분류돼 서류 검토만 진행한 후 승인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기존에는 토후국별 포털이 별도로 운영되어 두바이의 경우 두바이 시청(Dubai Municipality)의 FIRS(Food Import & Re-export System)를 통해 등록해 왔으나 연방차원의 ZAD 포털로 통합됨. 다만 업계에 따르면 아직까지 FIRS와 ZAD를 혼용 중임.

 

시사점

 

UAE 커피 시장은 높은 성장 잠재력과 매력도를 지닌 반면 글로벌 브랜드 간 경쟁이 매우 치열한 편이다. 현지 소비자들은 커피 경험이 풍부하고 맛과 안전성을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 세분화된 기호에 맞춘 차별화 전략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고급 아라비카 등 특화된 원두에 신기술 로스팅 기법을 적용하거나 유기농 인증, 기능성(예: 비타민·홍삼 함유) 커피를 선보이는 것이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카페인 및 저카페인 커피와 같은 건강 지향적 제품도 현지 소비 트렌드와 잘 부합한다.

 

진출 초기에는 시장 트렌드 파악과 바이어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관련 박람회에 참가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다. 특히 MENA 지역 최대 식음료 전시회인 걸푸드(Gulfood) 참가는 UAE 시장에 대한 이해도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음 걸푸드는 2026년 1월 26일부터 30일까지 5일간 개최될 예정이다.

 


자료: 유로모니터, Global Trade Atlas, Carrefour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커피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