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집트 치과용 시멘트 시장 동향
- 상품DB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문숙미
- 2025-07-09
- 출처 : KOTRA
-
이집트 치과용 시장 전량 수입에 의존, 향후 꾸준한 성장 기대
한국산 제품 단기간에 시장 점유율 21% 차지, 수출국 순위 1위 기록
이집트의 복잡한 인증 절차 등으로 중장기적인 시장 접근 필요
기본 정보
HS CODE
품목
300640
치과용 시멘트와 그 밖의 치과용 충전제, 뼈 형성용 시멘트
이집트 치과용 시멘트 시장 규모
이집트의 치과 관련 제품은 전체 수요의 95%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치과용 시멘트의 경우, 현지 생산이 없어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관계로 이집트의 치과용 시멘트 시장 규모는 수입 규모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IHS Markit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치과용 시멘트 총 수입액은 1710만 달러로, 2023년의 1650만 달러 대비 3.6% 증가했다. 수입액 기준으로 보면 치과용 시멘트 시장 규모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이집트의 치과용 시멘트 수입 규모>
(단위: US$ 백만, %)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수입액
14.8
16.5
17.1
성장률
11.3
11.5
3.6
[자료: IHS Markit(‘25.6.23)]
최신 BMI 의학 리포트에 따르면, 이집트의 치과 시장 규모는 2024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11.4%(CAGR)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9년에는 669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민간 부문은 특히 의료 관광의 증가에 따라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치과 기기 및 소모품 시장(치과용 시멘트 포함) 역시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1.4% 성장해 2029년에는 5440만 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 중 치과용 시멘트는 약 2130만 달러로 추산되며, 이는 전체 기기와 소모품 시장의 39%를 차지하는 수치다. 이에 따라 치과용 시멘트 및 기타 보철 재료에 대한 수요가 시장 성장을 선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집트의 치과 진료에서 외국인 치료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현지 언론 ’비즈니스 투데이‘에 따르면, 치과 진료는 이집트 의료 관광 산업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집트는 고품질의 의료 진료를 저렴한 가격에 받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이집트의 치과 시술 비용은 서유럽, 걸프 지역, 미국보다 50~70% 저렴하면서도 유럽 또는 미국에서 교육 받은 숙련된 이집트 치과 의사들이 많으며,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후르가다 등의 대표적인 관광 도시의 치과들은 최신 장비를 갖추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위생 기준을 준수하고 있어 외국인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알렉덴트(Alexdent)의 CEO인 헤쉬암 사라(Hesham Salah) 박사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치아 손실의 증가, 미용치과 수요의 확대, 의료비 지출 증가, 첨단 치과 기술의 도입 등이 이집트 치과 시장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더불어, 충치와 잇몸병 등 구강 질환의 유병률이 높아짐에 따라, 치과용 시멘트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이집트 치과용 시멘트 수입 동향
이집트의 치과용 시멘트 수입에서 2024년 한국이 1위를 차지했으며, 수입액은 36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6.5% 증가했다. 독일은 310만 달러로 2위를 기록했으며, 2023년에는 33.3%의 증가세를 보였으나 2024년에는 소폭 감소했다. 그럼에도 여전히 프리미엄 공급국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230만 달러로 3위를 차지했고 전년 대비 4.2% 감소했다. 일본은 210만 달러로 4위에 올랐으며, 2023년 수출액이 급감했으나 2024년에는 162%라는 강한 반등세를 보였다. 이는 공급망 회복이나 제품 수요 회복의 영향일 수 있다. 5위를 기록한 미국은 12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9.3% 감소했고, 점유율도 지속 감소하고 있다.
한국의 이집트 수출은 최근 3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다. 특히 치과용 시멘트 분야의 수출액은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2년에는 90.0%, 2023년에는 21.1%, 2024년에는 56.5%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수출액도 190만 달러에서 360만 달러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시장점유율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돼 2022년 12.8%에서 2024년 21.1%로 상승했다. 이러한 점유율 확대는 전 세계 평균 성장률을 크게 웃도는 결과다. 이는 이집트 치과 업계에서 한국 제품에 대한 신뢰와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입 상위 10개 국 중에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약 36%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유럽 국가(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리히텐슈타인, 스위스)는 44.0%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지만, 대체로 성장세가 정체되거나 감소하고 있다. 미국의 점유율은 2022년 12.2%에서 2024년 7.0%로 감소했으며, 이는 아시아 제품 대비 상대적인 가격 경쟁력 저하가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3년간 이집트의 치과 시멘트(Hs code 300640 기준)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No.
국가
2022년
2023년
2024년
수입액
증감률
점유율
수입액
증감률
점유율
수입액
증감률
점유율
전 세계
14.8
11.3
100
16.5
11.5
100
17.1
3.6
100
1
한국
1.9
90.0
12.8
2.3
21.1
13.9
3.6
56.5
21.1
2
독일
2.7
-20.6
18.2
3.6
33.3
21.8
3.1
-13.9
18.1
3
이탈리아
2.2
22.2
14.9
2.4
9.1
14.5
2.3
-4.2
13.5
4
일본
1.7
21.4
11.5
0.8
-52.9
4.8
2.1
162.5
12.3
5
미국
1.8
38.5
12.2
1.7
-5.6
10.3
1.2
-29.4
7.0
6
프랑스
0.8
14.3
5.4
0.5
-37.5
3.0
1
100.0
5.8
7
터키
0.5
25.0
3.4
0.7
40.0
4.2
0.9
28.6
5.3
8
리히텐슈타인
0.9
800.0
6.1
1.1
22.2
6.7
0.8
-27.3
4.7
9
인도
0.3
0.0
2.0
0.3
0.0
1.8
0.4
33.3
2.3
10
스위스
0.3
-70.0
2.0
0.7
133.3
4.2
0.3
-57.1
1.8
[자료: IHS Markit(’25.6.23)]
이집트 치과용 시멘트 유통구조
치과용 시멘트는 해외 제조업체가 현지 수입업체를 통해 유통하고 있다. 현지 수입업체는 일반적으로 치과 용품 전문 유통사, 의약품 및 의료기기 수입업체, 또는 3M, Dentsply Sirona와 같은 글로벌 브랜드의 현지 에이전트 역할을 한다.
현지 에이전트 또는 유통업체 지정은 필수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이집트 의약품청(Egyptian Drug Authority, EDA)에 제품 등록을 진행하고, 필요한 승인 절차를 대행하며, 제조사를 대신해 필수 서류 및 인증서를 제출한다.
유통 과정은 수입업체가 주로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춘 유통업체에 제품을 공급하고, 이들은 다시 지역 유통업체 혹은 치과 전문 도매업체에 공급한다. 이들은 최종적으로 치과 의원, 민간 및 공공 병원, 의료센터, 치과대학 등으로 제품을 공급한다.
이집트 치과용 시멘트 시장에서 오랜 기간 주요 역할을 해온 수입업체들을 아래와 같다. 이들 업체는 모두 해당 분야의 핵심 플레이어로 평가받는다. 특히 치과용 시멘트 수입 유통 분야에서 수십 년의 경험을 가진 Middle East Dental Supplies 그룹(EID Group)은 최대 공급업체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또한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 및 실험실용 제품 유통에는 MH 그룹이 가장 인지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이집트의 주요 치과용 시멘트 수입 유통기업 및 특징>
기업명
특징
유통 브랜드
3M Health Care Egypt
• 미국 3M Health Care의 이집트 지사로, 치과 분야를 비롯해 의료 실험실용 가구 등을 전문으로 수입‧유통하고 있음.
• 치과용 시멘트, 접착제 및 복합 레진, 경화 및 연마시스템, 임상용 기구, 멸균 및 구강 관리 솔루션 등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며, 치과 및 의료 환경에 맞춘 맞춤형 솔루션 제공 서비스 지원
• ‘Filtek’, ‘RelyX’, ‘Sof‑Lex’ 등 프리미엄 덴탈 브랜드를 공식 유통하며, 인증된 유통망과 기술 지원 등으로 신뢰도가 높음.
• 웹사이트: https:www.3megypt.com.eg
3M ESPE
(미국)
A&H For Import & Export
• A&H는 2007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이집트 및 중동 지역에서 치과 및 레이저 분야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 고품질 제품 및 서비스 제공에 주력하고 있음.
• 웹사이트: www.ah-eg.net
GC(일본),
Ivoclar(스위스)
MedicoDent (EID 그룹 소속)
• MedicoDent는 EID 그룹의 계열사로 2005년부터 치과 분야에서 글로벌 기업의 공식 유통사 및 에이전트를 수행해 왔음.
• 주요 제품은 치과 시멘트, 복합 레진, 수복제 등 다양함.
• 웹사이트: N/A
Medifive(한국)
Medi‑Tech Trading S.A.E
• Medi-Tech는 25년간 치과 분야에 혁신적인 제품을 도입해 왔음.
• 단순 유통을 넘어 치과 의사들에게 장기적 관점의 투자 조언과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함.(치과 의사 개인 및 클리닉에 대한 솔루션 제공)
• 웹사이트: www.meditech-eg.com
Dentsply Sirona
(미국)
Middle East Int'l Trading
(MEIT)
• MEIT는 치과 및 제약 분야의 선도적인 수입‧유통기업으로 의료 및 치과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음.
• 주요 취급 분야는 의약품, 치과 클리닉 장비 및 재료, 치과 실험실 장비, 의료기기 및 내시경 장비 등임.
• 웹사이트: www.meit.com.eg
Kerr(독일)
MH Group
(Egypt Dental)
• MH 그룹은 다양한 치과용 제품을 수입‧유통하는 기업으로 치과 병원과 의원, 유통업체 등에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 다양한 치과용 시멘트(인산아연, 유리 아이오노머, 복합 레진 등)를 취급하고 있으며 다수의 글로벌 브랜드의 공식 대리점을 수행 중임
• 웹사이트: N/A
Harvard(독일), Metoxit(스위스), PrimeDent(인도)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체 조사]
이집트 치과용 시멘트 경쟁 동향
Smart Dent Innovation의 창립자인 아흐메드 아델(Ahmed Adel) 박사와 무역관이 진행한 인터뷰에 따르면, 이집트에서 유통되는 치과용 시멘트의 브랜드별(혹은 기업별) 시장 점유율 관련 공개된 정보는 없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치과용 시멘트는 원산지(origin-oriented)를 중시하는 특성이 있어 국가별 시장 점유율 및 시장에서 판매되는 대표 브랜드로 시장에서의 판매 순위를 유추하고 있다며, 미국의 3M과 Dentsply SIron가 1~2위, 일본의 GC가 3위, 독일 Kerr가 4위, 한국의 Medifive가 5위로 추정된다 언급했다.
*이집트 시장에서 치과 시멘트 제품은 브랜드명이 아닌, 해외 제조사명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이집트 주요 치과용 시멘트 제조사>
수입국
기업명
기업별 시장 점유율
한국
Medifive, Vericom Co., Ltd.
• 제조사(브랜드)별 추정 점유율 순위
- (1위) 3M(미국), (2위) Dentsply Sirona(미국),
(3위) GC(일본), (4위) Kerr(독일), (5위) Medifive(한국)
* 5개 기업이 이집트 치과용 시멘트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
독일
Kerr Dental, VOCO Dental,
DMG, Harvard
일본
GC Corp., Fuji Plus
미국
3M ESPE, Dentsply Sirona
스위스
Ivoclar Vivadent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정리]
주요 제품별 특징 및 추정 수입가격
이집트에서 수입 치과용 시멘트의 가격은 시멘트의 종류, 제조국, 브랜드 평판에 따라 다르며, 수입 물량과 포장 단위(키트/벌크), 운송 방식 등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아흐메드 아델 박사에 따르면, 이집트에서 수입하는 치과 시멘트의 CIF(운임·보험료 포함) 추정 가격은 다음과 같다.
<이집트 치과용 시멘트별 특징 및 추정 수입가격(CIF)>
치과용 시멘트 종류
특징
가격/단위
주요 수입국
레진계 시멘트
(Resin-Based Cement)
프리미엄 제품으로 강도, 접착력, 심미성 우수
70~150달러
* 시린지(syringe) 당
미국(Dentsply Sirona, 3M), 스위스(Ivoclar Vivadent), 일본(GC), 한국(Medifive)
* Medifive 급성장
레진 강화형 유리 아이오노머 시멘트(RMGIC)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유리 아이오노머보다 강도 및 접착력이 좋아 중간 가격대의 인기 상품
60~100달러
* 키트(kit) 당
일본(GC, Fuji Plus) 미국(3M, Dentsply), 한국(Medifive)
* GC, Fuji Plus가 선도* Medifive 신규 진출
유리 아이오노머 시멘트(GIC)
(Glass Ionomer Cement)
불소 방출 기능, 자체 접착력 보유, 소아치과에서 선호
45~80달러
* 키트(kit) 당
일본(GC), 독일(VOCO, DMG), 미국(3M, Dentsply), 이탈리아(Spofa Dental 등)
* GC가 세계적 리더 기업
아연 인산 시멘트
(Zinc Phosphate Cement)
크라운(crown), 브릿지(bridge) 등 전통 재료 사용, 사용량 감소세
30~60달러
* 100g 당
독일(Harvard, VOCO), 스위스, 이탈리아, 인도(저가형 공략)
*Harvard가 시장 선도
임시 시멘트
(Temporary Cement)
임시 보철물에 사용, 다양성 및 편의성 중요, 다양한 가격대 형성
20~50달러
* 키트(kit) 당
미국, 독일, 이탈리아, 한국(최근 진출)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정리]
치과용 시멘트 구입 시 고려사항 및 주요 제품별 선호 사유
이집트 치과 의사들은 치과용 시멘트 구매 시 다양한 임상적, 경제적, 규제적 요인들을 고려한다.
우선 임상적 고려 요인은 치과용 시멘트의 접착력이다. 즉 에나멜, 상아질, 금속 및 세라믹 표면에 얼마나 잘 접착되는지를 고려한다. 또한 시멘트의 용해도와 내구성도 중요한 요소이며, 시간이 지나도 시멘트가 분해되지 않는 용해도가 낮은 제품을 선호한다. 생체 적합성 또한 매우 중요한데, 특히 치수나 연조직에 자극을 주지 않는 제품과 혼합, 조작, 적용이 간편한 제품을 선호한다.
브랜드와 원산지 역시 중요한 선택 기준이다. 3M, Dentsply Sirona, GC와 같은 세계적으로 알려진 제조사의 제품은 오랜 기간 신뢰를 받아온 만큼 선호도가 높다. 일부 치과의사들은 원산지를 기준으로 독일, 일본, 미국산 제품을 프리미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진료 환경도 제품 선택에 영향을 준다. 개인 치과의사들은 심미성과 내구성을 중시해 고급형 시멘트에 더 많은 비용을 투자하는 반면, 공공 병원이나 클리닉에서는 가격 경쟁력과 공급 가능성을 더 중시한다. 또한 시술 전문 분야에 따라 선호 제품이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관 치료과나 보철과 전문의는 접착용 시멘트나 임시 충전제 등 시술 유형에 맞춰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동료 치과의사의 추천과 임상 교육도 제품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신뢰하는 동료의 의견이나 치과 포럼에서의 후기 등은 신제품 도입에 큰 영향을 준다. 또한 많은 치과의사는 대학이나 인턴·레지던트 시절에 익숙하게 사용했던 제품을 계속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집트의 주요 수입 치과용 시멘트 제품별 선호 사유>
No.
브랜드(수출국)
선호 사유
1
Medifive
(한국)
• 한국의 Medifive의 치과용 시멘트는 세계적 수준의 가공 기술력으로 매우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이집트 시장에서 최고 인기 제품임.
• Medifive 시멘트는 강한 초기 접착력과 우수한 마모 저항성이 있어, 끈적임을 줄이고 시술 후 빠르게 마무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자체 접착형(self-adhesive) 시멘트로 전통적인 레진 시스템에 근접한 접착력을 보여주며, 특히 상아질에 대한 접착력이 뛰어남.
•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도 강점이며, 사전에 정량으로 캡슐 형태로 제공돼 원스텝으로 활성화할 수 있게 되어있어 수작업으로 혼합하던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혼합에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음.
2
Kerr Dental (독일)
• Kerr Dental은 독일 제품으로 고품질 치과 재료를 제조하는 세계적인 수준의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음.
• 이집트에서 독일산 제품은 유럽산 제품의 정밀도와 높은 품질 관리 기준을 충분히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신뢰도가 매우 높음.
• 치과의사들은 특히 임상적 예측 가능성을 중요하게 여기는데, Kerr 시멘트는 높은 방사선 불투과성, 우수한 가장자리 적합성, 현대 보철 재료(지르코니아, 리튬 디실리케이트 등)와 높은 호환성을 제공하며 보철물의 장기간 유지 및 낮은 실패율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제품임.
3
GC Corp.
(일본)
• GC는 일본의 프리미엄 브랜드로, 이집트 치과 시장에서 높은 기술력, 브랜드 신뢰도, 규제 요건 충족, 시장 적합성 등으로 선호도가 높음.
• GC 제품은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해 임상적으로 입증된 장기 접착력이 좋고,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며 치수 자극이 적어 민감한 환자에게도 적합함.
• 불소 방출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어 2차 충치 예방에 효과적이며, 이는 구강 위생 문제가 흔한 이집트에서 특히 높게 평가됨.
• GC는 수십 년 전에 이집트에 진출해 치과 전문가들 사이에서 탄탄한 평판을 구축하고 있으며, 특히 이집트의 많은 치과대학에서 GC 시멘트를 교육용으로 사용하고 있어 많은 의사가 GC 제품에 친숙함.
• 제품군이 다양해 GIC, RMGIC, 접착제 및 라이닝 재료 등 일시적 및 영구적 시술에 모두 적합한 제품을 제공해, 병원과 치과 체인에서 공급사를 표준화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함.
4
Dentsply Sirona
(미국)
• 미국산 치과용 시멘트는 기술력이 뛰어나고 활용 범위가 넓은 것으로 유명하며, 그중 Dentsply Sirona 제품의 다양성을 높이 평가함.
• Dentsply Sirona는 치과의사들의 거의 모든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폭넓은 제품군을 제공하며, 특히 환자별 맞춤 적용이 가능한 수준의 제품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독창적이고 배려 깊은 브랜드로 인식됨.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바이어 인터뷰]
관세 및 인증
1) 관세
이집트는 치과용 시멘트에 대해 5%의 관세를 부과한다. 단, EFTA(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EU(27개 국), 영국, 터키, 메르코수르(Mercosur) 회원국에는 관세가 100% 면제되며, AfCFTA(아프리카 자유무역지대) 회원국에는 기본 관세에서 40~80%가 면제된다. 한국산 제품에는 일반 관세 5%가 부과된다.
<치과용 시멘트에 대한 일반 관세>
HS Code
품목
관세율
300640
치과용 시멘트와 그 밖의 치과용 충전제, 뼈 형성용 시멘트
5%
[자료: 이집트 관세청]
2) 의료기기 등록
이집트 의약품청(Egyptian Drug Authority, 이하 EDA)은 국제 품질 인증을 보유한 의료기기의 이집트 내 등록을 총괄하고 있다. 이집트에서 유통되는 모든 수입 의료기기(로컬 의료기기 포함)는 수입 전 EDA에 해당 제품과 현지 수입‧유통기업을 모두 등록해야 한다. 제품에 따라 EDA의 기술 심사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등록 주최는 현지 기업이어야 하며, 현지에 법인이 없는 경우 이집트 에이전트 혹은 수입‧유통 파트너를 지정해 등록해야 한다. 이때 현지 기업이 독점 에이전트일 필요는 없으며 복수의 파트너를 등록할 수도 있다. 제품 등록은 일반 혹은 급행 중 선택해 진행할 수 있고, 통상 3~6개월이 소요된다. 의료기기는 1회 등록으로 10년간 유효하며, 10년 후 재등록이 필요하다. 아래의 도식은 EDA의 등록 절차를 보여준다.
<이집트의 수입 의료기기 EDA 등록 프로세스>
[자료: 이집트 의약품청]
3) 의료기기 인증
EDA에 따르면, 수입 치과용 시멘트는 반드시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s, 우수제조관리기준)가 명시된 미국의 FDA 인증서 혹은 EDA가 지정한 참조 국가(Reference Country)에서 발급한 자유판매증명서(FSC) 중 하나를 제출해야 한다. 이집트의 의료기기 참조 국가는 35개 국으로 EU 26개 국(회원국 중 크로아티아 제외), EFTA(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위스),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뉴질랜드, 영국이 해당한다. 또한 CE 전 과정 품질보증(CE Full Quality Assurance), ISO 13485:2016, 적합성 선언서(Declaration of Conformity, DOC) 등의 품질 인증서도 갖춰야 하며, 아울러 이집트표준품질기구(EOS)가 요구하는 아래 표의 특정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이집트 수입 치과용 시멘트에 대한 국제 표준 충족 요구 항목>
표준 번호
준수 사항
7404 / 2012
(치의학–치과용 의료기기: 치과용 시멘트)
• 국제 표준 EN 1642/2004에 따라 제정됨.
- 치과용 시멘트 관련 의료기기 기준 명시
7464 / 2011
(치과용 시멘트–개발 지침)
• 국제 표준 Codex Standard 249/2009에 따라 제정됨.
- 치과용 시멘트 개발을 위한 지침 제공
[자료: EOS(이집트표준품질기구)]
전망 및 시사점
이집트의 치과 시장은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다. BMI도 2029년까지 연평균 11.9%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치과용 시멘트의 성장은 관련 기술 발전과 이집트인들의 구강 건강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면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 외환위기 이후 가격에 민감해진 이집트 시장에서 고품질에 가격 경쟁력을 갖춘 한국 제품이 고가의 유럽‧미국 제품에 대한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집트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은 치과용 시멘트 분야에서 우수한 품질과 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탄탄한 신뢰를 쌓으며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한국산’ 원산지에 대한 신뢰도도 향상되면서 치과 의료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이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우리 기업 진출에 최적의 환경이라고 볼 수 있다.
이집트의 치과용 시멘트는 종류, 기술과 재료에 따라 가격이 다르며, 제품 선택에는 임상적 조건에 기반한 치과의사의 전문적 판단과 일부는 환자의 선호도가 반영된다. 이에 따라 이집트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은 단일 품목보다는 다양한 종류의 치과용 시멘트를 유연하게 공급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집트 시장 진출에 관심 있는 기업들은 이집트 의약품청(EDA)이 요구하는 핵심 인증서, 즉 자유판매증명서(FSC), CE 인증, GMP, FDA 승인 등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FSC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이집트의 참조 국가에 먼저 수출해야 하는 만큼 중장기적 관점에서 이집트 시장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의료 분야인 만큼 관련 전문성과 네트워크가 검증된 유능한 파트너(commercial agent)를 발굴해 EDA 등록을 추진하고 시장 기회를 잡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잘못 선정한 독점 에이전트가 EDA에 등록된 경우, 10년의 마케팅 기회를 날릴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자료: IHS Markit (Connect), 이집트 표준품질 기구(EOS), 바이어 인터뷰, BMI 보고서, 이집트 현지 언론,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치과용 시멘트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싱가포르 공기처리 제품 및 냉방기기 시장동향
싱가포르 2025-07-09
-
2
미국 대형변압기 시장동향
미국 2025-07-09
-
3
Agri Vietnam 2025로 보는 베트남 스마트팜 트렌드
베트남 2025-07-09
-
4
저탄소 전환 가속하는 헝가리 전력시장, 한국 전력기자재 진출 성공의 교두보 될까
헝가리 2025-07-09
-
5
미국 식물성 음료(우유 대체제) 시장동향
미국 2025-07-09
-
6
미국 화물선 시장 동향
미국 2025-07-09
-
1
2024년 이집트 자동차 산업 정보
이집트 2024-11-04
-
2
2024년 이집트 가전산업 정보
이집트 2024-10-14
-
3
2021 이집트 ICT 산업 정보
이집트 2022-01-21
-
4
2021년 이집트 자동차산업 정보
이집트 2022-01-20
-
5
이집트 프로젝트 산업 현황
이집트 2022-01-19
-
6
2021 이집트 철강산업 정보
이집트 202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