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스페인, 전기차 산업 육성 및 지원을 위한 'PERTE VEC' 4차 공고 발표
  • 투자진출
  • 스페인
  • 마드리드무역관 이성학
  • 2025-07-04
  • 출처 : KOTRA

총 예산 규모는 12억5000만 유로로 배터리 분야 집중 지원

2025년 7월 7일부터 10일간 접수 진행 예정

스페인, 전기차 산업 육성지원을 위한 PERTE VEC 4차 공고 발표

 

스페인 정부는 2025년 6월, 전기차 및 커넥티드카 분야 지원 사업인 PERTE VEC(Proyecto Estratégico para la Recuperación y Transformación Económica del Vehículo Eléctrico y Conectado)의 제4차 공고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4차 공고는 산업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인 SEPIDES를 통해 시행되며, 총 12억5000만 유로의 예산이 편성됐다. 1단계에서는 배터리 분야에 대한 투자를 중점 지원할 예정으로, 총 2억8000만 유로(이 중 18000만 유로는 저리 융자, 1억 유로는 무상보조금)의 재원이 배정됐다. 지원 신청 접수는 2025년 7월 7일부터 7월 17일까지 약 10일간 진행될 예정이다.

 

스페인 정부는 2022년부터 PERTE(Proyectos Estratégicos para la Recuperación y Transformación Económica)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사업은 EU의 Next Generation EU 회복기금을 활용해, 국가 주요 산업의 디지털화 및 녹색 전환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까지 전기차, 첨단 보건, 재생에너지·수소·에너지 저장, 반도체, 조선, 항공우주, 순환경제 등 총 12개 분야에 걸쳐 다양한 전략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이 중 전기차 지원 사업(PERTE VEC)은 스페인 내 전기차 생산 역량 확충을 핵심 목적으로 한다. 즉, 전기차 관련 신규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기존 자동차 공장의 전기차 및 배터리 생산 능력을 확대하며, 내연기관 자동차 생산 라인을 전기차로 전환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이번 4차 지원 사업에서는 전기차용 배터리 셀 제조, 배터리 핵심 부품 생산, 배터리 원료의 생산·정제 및 재활용과 관련된 분야에 집중적으로 재정 지원이 이뤄질 예정이다.

 

PERTE VEC 1~3차 공모 개요 및 주요 수혜 사례


스페인 정부는 PERTE VEC의 일환으로 2022년부터 현재까지 총 세 차례에 걸쳐 공모를 진행했다.

 

1차 공모는 2022년에 시행됐으며, 약 8억 8천만 유로 규모의 정부 보조금 및 융자가 배정됐다. 최대 수혜 기업은 폭스바겐 그룹이 주도한 '퓨처: 패스트 포워드(Future: Fast Forward)' 컨소시엄으로, 사군토(Sagunto) 지역에 전기차 배터리 기가팩토리를 건설하는 프로젝트 등을 통해 약 4억 유로의 지원금을 확보했다. 그 외에도 메르세데스-벤츠(전기 밴 생산을 위한 라인 전환), 스텔란티스-오펠(전기차 생산 전환), 르노(전기차 및 배터리 조립 인프라 확장), 푸조(비고 공장의 전기차 생산 전환) 등 주요 완성차 제조사들이 지원 대상에 선정됐다.

 

2차 공모는 2023년 중에 진행됐으며, 총 15억 유로 이상의 예산이 배정됐다. 이번 공모는 ① 배터리 생산라인 구축(섹션 A)과 ② 전기차 완성차 및 부품 생산 투자(섹션 B)로 구분돼 각각 지원이 이뤄졌다. 대표 사례로는 중국 배터리 기업인 인비전(Envision)이 스페인 남서부 엑스트레마두라(Extremadura) 지역에서 추진 중인 대규모 기가팩토리 건설 프로젝트로 3억 유로의 지원을 받은 사례가 있다. 또한 폭스바겐 그룹 계열사인 세아트(Seat)는 바르셀로나 마르토렐 공장 내 배터리 팩 조립라인 구축 프로젝트를 통해 4700만 유로를 배정받았다. 한편, 2차 공모에서는 한국 기업들도 PERTE 수혜 대상자로 선정됐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카탈루냐 주 몬트로익(Mont-roig) 지역에 전기차용 동박(copper foil) 생산 공장을 신설하는 투자로 4900만 유로의 지원금을 확보했다. 또한 현대모비스는 나바라 주 노아인(Noáin) 지역에서 전기차 배터리팩 모듈 공장을 건립하는 프로젝트로 950만 유로의 지원을 받았다.

 

3차 공모는 2024년에 진행됐으며, 스페인 정부는 이를 위해 총 5억 유로의 예산을 배정했다. 가장 대표적인 수혜 사례는 스텔란티스(Stellantis) 그룹으로, 사라고사(Opel) 공장의 전기차 생산라인 전환을 위한 프로젝트에 약 8179만 유로의 지원금이 배정됐다. 또한, 중국 배터리 소재 제조기업인 호남운능(Hunan Yuneng)은 리튬 철 인산염(LFP) 배터리용 양극활물질(cathode material) 공장을 엑스트레마두라 주 메리다(Mérida) 지역에 건설하는 사업으로 2340만 유로의 보조금 지원을 확정받았다.

 

시사점

 

스페인 정부가 PERTE VEC 사업에 막대한 예산과 정책 역량을 집중하는 이유는, 자국의 핵심 전략 산업인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을 전기차 중심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글로벌 시장에서 도태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 때문이다. 스페인은 독일에 이어 유럽에서 두 번째로 많은 자동차를 생산하는 국가로, 완성차 제조와 부품 공급을 포함한 자동차 산업은 2024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10%, 전체 수출의 18%를 차지할 만큼 경제적 비중이 매우 큰 국가 기간산업이다. 그러나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이 내연기관 중심에서 전기차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으며, EU 차원의 강력한 환경규제와 탈탄소화 정책도 병행되면서 전동화(Electrification)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이에 따라 스페인 정부는 PERTE VEC을 통해 배터리 셀, 핵심 부품, 원자재, 충전 인프라, 재활용 등 전기차 생산에 필요한 전 밸류체인을 자국 내에 구축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유럽 내 전기차 생산 거점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겠다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번 PERTE VEC 4차 공고에 대해 스페인 자동차 업계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다수의 기업들이 자사의 전동화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을 받기 위해 신청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개발 중인 스페인 기업 Basquevolt는 이번 공고에 자사 프로젝트를 신청할 예정이며, “유럽의 기술 주권을 확보하고,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전고체 배터리의 대량 생산 역량을 스페인에서 실현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프랑스계 완성차 제조사 르노(Renault) 역시 PERTE VEC을 통한 투자 확대에 관심을 표명하며, “2030년까지 전기차 100만 대를 생산할 계획이며, 그 중 상당 부분을 스페인에서 제조할 수 있도록 팔렌시아(Palencia) 및 바야돌리드(Valladolid) 공장의 전환을 준비 중”이라고 언급했다. 그 밖에, 스페인 자동차부품협회(Sernauto)는 KOTRA 마드리드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PERTE는 스페인의 전기차 산업 발전에 있어 필수적인 정책이지만, 보다 장기적인 전략과 제도적 확실성이 수반돼야 한다”라며, 세제 인센티브, 규제 간소화, 기술 인재 양성과 같은 구조적 지원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PERTE VEC 2차 공고에서 선정된 한국 기업 사례도 있는 만큼, 스페인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들은 이러한 지원 정책을 살펴 진출 활로를 모색하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스페인 산업관광부, 스페인 자동차제조협회(ANFAC), 스페인 자동차부품협회(Sernauto) 인터뷰, 현지 언론, KOTRA 마드리드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스페인, 전기차 산업 육성 및 지원을 위한 'PERTE VEC' 4차 공고 발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