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년 몽골 전력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몽골
  • 울란바토르무역관 Undram Khatanbaatar
  • 2025-07-04
  • 출처 : KOTRA

에너지 전환 본격화… 재생·원자력 개발에 속도

오래된 설비 개선과 지역 전력 자립이 과제

몽골 전력 산업 특성

 

몽골 국토는 넓지만 인구 밀도가 낮고, 지역 간 인프라 격차가 크다. 이에 따라 전국이 하나의 통합 전력망으로 연결돼 있지 않고, 중앙·서부·동부·남부·알타이-울리아스타이 등 5개 지역별 독립 전력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2024년 기준 몽골의 전력 생산량은 약 87.5억 kWh, 소비량은 약 116.2억 kWh로, 약 20%의 전력을 중국 및 러시아 등 인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전력 수요는 전년 대비 5.9% 증가했으며, 수입 전력도 17% 가까이 늘어난 상태다. 수요의 80% 이상이 수도 울란바토르를 중심으로 한 중부 지역에 집중돼 있어, 계절별 전력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전력 생산 구조는 여전히 석탄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전체 발전량의 90.5%가 석탄 열병합 발전소에서 생산되며, 신재생에너지는 8.3%, 수력은 0.8%에 불과하다.

 

<몽골 발전원별 전력 생산 비중>

external_image

[자료: 몽골 에너지 규제 위원회]

 

발전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 소비량도 2020년 753만 톤에서 2024년 923만 톤으로 약 22.6% 증가했다. 이러한 구조는 지속적인 대기오염 문제와 에너지 전환의 어려움을 동반한다.

 

<최근 5년간 몽골 전력 생산에 사용된 석탄 소비량>

(단위: )

[자료: 몽골 에너지 규제 위원회]

 

기술적으로도 과제가 많다. 송배전 인프라의 상당 부분은 1960~80년대에 구축되어 전력 손실률이 10%를 초과하기도 하며, 정전 빈도도 높은 편이다. 수도 울란바토르에서는 겨울철마다 전력 수요 급증으로 단전이 발생하고, 이는 산업 활동과 시민 생활 전반에 영향을 준다.

 

전력 수급 및 사용자 현황

 

2024년 기준 몽골의 전력 사용자는 총 88만 8180가구 및 사업체로, 2020년 대비 약 20.4% 증가했다. 이 중 83.7%가 중부 통합 전력망에 속해 있으며, 사용자의 91% 이상이 주거용 수요에 해당한다. 특히 비정형 거주지역(게르 지역)의 비중이 46.3%로 가장 높아, 난방과 전력 수요의 기초 인프라 접근성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다. 반면, 기업 및 공공기관의 비중은 8.9%로 상대적으로 낮다.


<연도별 전력 공급 사용자 (가구 사업체 기준)>

지역

2020

2021

2022

2023

2024

중부 지역 통합 전력망

617,092

635,684

685,055

733,747

743,111

서부 지역 전력 시스템

47,705

45,743

48,744

52,392

56,313

동부 지역 에너지 시스템

31,597

28,235

33,722

34,149

35,182

남부 지역 에너지 시스템

17,867

18,904

21,401

22,952

24,854

알타이-울라이스타이 시스템

23,136

23,639

24,915

27,739

28,720

총합계

737,397

752,205

812,110

871,089

888,180

[자료: 몽골 에너지 규제 위원회]

 

<전력 사용자 유형별 구성 비중>

[자료: 몽골 에너지 규제 위원회]

 

주요 이슈


몽골 정부는 전력 수요 증가와 적자 누적에 대응하기 위해 2024년 전기 및 난방요금 인상을 단행했다. 산업용 요금은 평균 30% 인상됐으며, 가정용은 사용량에 따라 차등 요금제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요금 인상 만으로는 구조적 문제 해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력산업 구조는 국영 기업 중심이며 민간 참여는 제한적이다. 발전소의 대다수가 정부 소유이며, 경쟁 부족과 운영 비효율로 인해 지속적인 재정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 Egiin Gol 수력발전소와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도 정치적, 외교적 이견으로 수년째 지연되고 있어, 체계적 제도 정비가 요구된다.


2025년 1월, 몽골 정부는 프랑스 Orano Mining과 총 16억 달러 규모의 투자협정을 체결하고, Zuuvch-Ovoo 우라늄 광산 개발에 착수했다. 이 프로젝트는 28년간 논의 끝에 공식화된 것으로, 몽골이 청정에너지 원료를 직접 생산하고 수출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 투자협정에 따라 몽골은 매년 직접 수익의 51% 이상을 확보하게 되며, 부족분은 ‘이익 조정금’을 통해 보전받도록 설계됐다. 총 수익은 약 52억 달러로 예상되며, 황산 공장 설립과 지역사회 투자 등 부대 효과도 포함된다. 고용 창출 및 현지 기업 참여 의무 조항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몽골 전력 산업 관련 법률 제도 구조


몽골의 전력 관련 법률 체계는 아직 완전히 자리 잡은 상태라기보다는, 새로운 방향을 향해 점차 정비돼 가는 과정에 있다. 석탄 중심의 기존 에너지 구조에서 벗어나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자원을 병행하는 체제로의 전환을 추진하면서, 이에 걸맞은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는 중이다특히 2024 개정된 「원자력 에너지법」은 단순한 기술적 규제를 넘어서, 프랑스와의 대규모 우라늄 투자협정을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적 정비 작업의 일환이었다고 해석할 있다. 개정은 몽골이 자원을 보다 전략적으로 관리하고, 향후 원자력 발전 도입 가능성까지 염두에 준비 단계에 들어섰음을 보여준다.


현재 몽골의 전력 관련 제도는 에너지법, 재생에너지법, 에너지 절약법, 원자력 에너지법 가지 핵심 법률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법률은 발전·송배전, 에너지 효율, 재생에너지 확대, 방사성 자원 관리 주요 분야를 포괄하고 있다. 몽골 정부는 이러한 법적 틀을 바탕으로 에너지 수급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 그리고 국제 협력을 동시에 고려한 전력 정책을 점차 구체화해 나가고 있다.


(1) 에너지법

몽골 에너지 부문의 기본 법률로, 발전·송전·배전·소비에 이르는 전력 시스템의 구조와 시장 규칙, 정부 기관의 역할과 규제 권한 등을 명문화하고 있다. 에너지부와 에너지 규제 위원회(ERC), 전력망 운영기관 등 제도적 주체들이 이 법에 기반해 설치·운영되며, 전기요금, 송전망 이용, 민간 발전사업 허가 절차도 본 법을 통해 정해진다.


(2) 재생에너지법

풍부한 자연 조건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법률이다. 발전소 건설 허가, 전력망 연계, 전력 구매계약(PPA), 지원 단가(피드인 관세) 설정, 세제 혜택 등의 내용을 포괄하며,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빠르게 개정·보완돼 왔다. 특히 최근 개정을 통해 옥외 주차장과 비거주용 건물의 태양광 설치 의무가 확대됐고, 발전사업 승인 절차 간소화, 지자체 주도형 입지 계획 수립 등 재생에너지 보급 기반을 제도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3) 에너지 절약법

에너지 소비의 효율성을 높이고 수요 관리를 체계화하기 위한 법률이다. 건물·산업시설 등에 대한 에너지 감사(에너지 진단) 제도, 고효율 설비 보급 촉진, 에너지 관리자 양성 등의 내용이 포함되며,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단계적 적용이 이뤄지고 있다. 전력 공급 측의 인프라 확충뿐 아니라, 수요 측의 절감과 효율화를 병행하려는 정책적 흐름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4) 원자력 에너지법

우라늄 방사성 자원의 개발과 안전한 활용을 위한 핵심 법률이다. 기존에는 규제 체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많았으나, 2024 프랑스 Orano Mining과의 우라늄 투자협정 체결을 계기로 법률이 대폭 개정됐다. 개정된 원자력법은 자원 사용료를 우라늄 판매액의 5% 설정하고, 시장 가격 상승 최대 9%까지 차등 부과하는 조항을 신설했다. 또한 방사성 폐기물의 반입·매립을 전면 금지하고, 가공되지 않은 원광의 수출도 제한했다. 광산 운영자에게는 방사선 안전교육, 사고 발생 보고의무, 폐광 이후 복구비용 예치 등을 요구하며, 국제 기준에 맞는 폐기물 관리 체계를 법적으로 구체화했다. 이는 몽골이 단순 자원 수출국에서 전략적 자원 관리국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제도 변화라 있다.


SWOT 분석

 

Strength

Opportunity

· 국토가 넓고 일사량, 풍속이 풍부해 태양광·풍력 발전에 유리한 자연조건

· 석탄 자원이 풍부해 열병합 발전 인프라 확보

· 정부의 에너지 독립 추진 의지 뚜렷

·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국제 기후기금과 기술협력 수요 증가

· 아시아 전력망 연계 논의 속에 에너지 허브로 성장할 가능성

· 배터리 저장 기술 스마트 그리드 수요 증가로 민간 기술 협력 기회

Weakness

Threats

· 전력망이 지역별로 단절돼 전국 송전이 어려움

· 설비 노후로 인해 정전 위험이 지속됨

· 전력 수입 의존이 커지면서 에너지 자립도가 낮아짐

· 기후 변화로 인한 이상 고온·한파 가뭄 발생 발전 차질 우려

· 가격 경쟁 심화로 자국 산업의 지속성에 영향 우려

· 발전 원가 상승 전기요금 부담 증가로 저소득층 에너지 불평등 확대 가능성

 

에너지 관련 주요 기관 정보


항목

내용

기관명

에너지부(Ministry of Energy)

주요 업무

에너지 산업 관련 법률·규정의 제정 및 시행

홈페이지

www.energy.gov.mn

대표 이메일

info@energy.gov.mn

대표 번호

(+976) 7004-3479

팩스

(+976) 7004-3479

주소

Government Building-14, Chingis Avenue, 3rd khoroo, Khan-Uul District, Ulaanbaatar, Mongolia


항목

내용

기관명

에너지 규제 위원회(Energy Regulatory Commission of Mongolia)

설립 연도

2001

주요 업무

전력 생산·공급·배전 관련 조정  규제 업무 담당

홈페이지

www.erc.gov.mn

대표 이메일

info@erc.gov.mn

대표 번호

(+976) 11-320126 / 11-312313

팩스

(+976) 11-319335

주소

Sambuu’s street

 30, Sukhbaatar District, Ulaanbaatar, Mongolia


항목

내용

기관명

에너지경제 연구원(Energy Economics Institute of Mongolia)

설립 연도

1992년

주요 업무

에너지 발전시설, 전력·전송망 설계, 에너지 관련 타당성조사 등

홈페이지

www.meei.energy.gov.mn

대표 이메일

info@meei.energy.gov.mn

대표 번호

+976‑77103344

팩스

(+976) 7710 3344

주소

Ulaanbaatar city, Bayangol District, 19th Khoroo, Kh. Chingunjav Street, Energy Economics Institute Building


항목

내용

기관명

에너지개발센터(Energy Development Center)

설립 연도

2012

주요 업무

에너지 산업 종사 기업을 대상으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한 검사 컨설팅을 제공하며, 에너지 관련 법규 준수 여부에 대한 감독 업무를 수행

홈페이지

www.edc.energy.gov.mn

대표 이메일

info@edc.energy.gov.mn

대표 번호

(+976) 7711-6030

팩스

(+976) 7000-2457

주소

Government Building-14, Chingis Avenue, 3rd khoroo, Khan-Uul District, Ulaanbaatar, Mongolia


항목

내용

기관명

몽골 재생에너지산업협회(Mongolian Renewable Energy Industry Association, MRIA)

설립 연도

2017

주요 업무

신재생에너지 생산 기업을 회원사로 구성하여관련 분야의 ·제도 개선프로젝트 수행회의·포럼 개최  활동을 수행

홈페이지

www.mria.mn

대표 이메일

info@mria.mn

대표 번호

(+976) 7700-3010 / (+976) 8808-4850

팩스

(+976) 7700-3010

주소

Energy Economy Institute Building, Chingunjav’s Street, 19th Khoroo, Bayangol District, Ulaanbaatar, Mongolia


유망 분야 시사점

 

몽골 전력 산업은 구조적으로 불안정하지만, 에너지 전환의 필요성과 국제적 협력 수요가 높아지는 시점에 있어 한국 기업에게도 중요한 진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무엇보다 태양광 및 풍력 발전 프로젝트는 몽골 정부가 중점 추진 중인 분야로, EPC 건설, 모듈 및 인버터 공급, 발전소 O&M(운영·유지보수)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한국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여지가 크다. 특히 대형 개발보다는, 지역 밀착형 분산형 발전 설비(10~50MW 규모)는 한국의 중견·중소기업에도 적합한 사업 모델이다. 또한 송배전망 개선, 스마트 계량기 도입, BESS(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구축 등 디지털 기반 전력 인프라 현대화 사업도 유망하다. 한국은 이미 동남아, 중앙아시아 등에서 관련 기술력을 입증한 바 있어, 공적개발원조(ODA) 및 국제기구 연계 사업에 진출 가능성이 높다. 나아가 우라늄 개발 및 원자력 기술 이전 관련 협력 가능성도 주목할 만하다. 향후 몽골이 원자력 발전 도입을 공식화할 경우, 관련 제도 정비, 인력 양성, 안전 설계 등 전 주기 분야에서 한국의 공기업 및 전문기관이 협력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몽골 전력 시장은 아직 제도·기술 측면에서 해결 과제가 많지만, 구조적 개편이 본격화되는 시기에 있어 한국 기업에게는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진출이 가능한 신흥 시장이라 할 수 있다. 단기적 성과보다는 중장기적 파트너십 구축이 더욱 중요하며, 현지화 전략과 사회적 가치 실현이 병행될 때 진정한 시장 안착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외국 기업의 몽골 진출을 고려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현지 상황에 대한 이해와 진정성 있는 접근이다. 기술력만으로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렵고, 고용 창출·기술 이전·환경 보호 등 사회적 책임을 포함한 ‘통합적 가치 제안’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실제로 몽골 정부는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에 대해 지역사회 기여와 로컬 파트너십 여부를 주요 평가 요소로 삼고 있다.



자료: 몽골 에너지부, 몽골 에너지 규제 위원회 , 각 언론 기사, KOTRA 울란바토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몽골 전력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