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니켈 공급망 동향
- 트렌드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김재인
- 2025-06-19
- 출처 : KOTRA
-
2024년 캐나다 니켈 생산량 19만 톤으로 전 세계 5위, 매장량 세계 6위
캐나다, 니켈 중간처리 인프라 확충 및 공급망 내재화가 과제
캐나다 핵심 광물 전략과 니켈의 중요성
캐나다는 세계 5위의 니켈 생산국으로, 풍부한 매장량과 지속 가능한 채굴 기술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2022년 발표한 ‘핵심 광물 전략(CCMS, Critical Minerals Strategy)’에서 니켈, 리튬, 구리, 코발트, 흑연 및 희토류 원소를 ‘6대 우선 핵심 광물(6 Priority Critical Minerals)’로 지정하며 각 자원의 전 단계 공급망 구축을 국가 전략으로 추진중이다. 2022년부터 2030년까지 30억8000만 캐나다 달러를 투자해 핵심 광물 탐사, 채굴, 가공, 재활용 등 전반에 걸친 기술개발 지원할 예정임을 밝혔다.
2024년 발표된 캐나다 핵심 광물 전략 연례 보고서에서는 핵심 광물 전략 발표 후 2년 동안의 경과를 점검했다. 새로운 광물 프로젝트 151건이 예비 타당성조사 단계를 거치고 있으며, 10건의 프로젝트는 탐사 단계에 도달하여 최종 점검 단계에 있다. 이 10건의 프로젝트 중 2건이 니켈 프로젝트인데, 이는 캐나다 정부가 니켈 생산 확대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려고 함을 보여준다.
글로벌 니켈 수요 증가
니켈은 강도, 내식성, 극한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다목적 금속으로, 주로 스테인리스강 생산에 사용돼 왔다. 2023년 기준 니켈의 가장 큰 수요처는 여전히 스테인리스강으로, 전체 소비량의 64%를 차지한다. 16%는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 배터리에 사용되고 있다. 배터리 산업에서 니켈이 주목받는 이유는, 니켈이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높여 주행거리와 출력을 향상시키고, 전체 배터리 비용을 낮추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니켈은 다양한 금속 및 비철금속 생산에 사용되며, 전기도금(Electroplating)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금속에 니켈을 얇게 도금해 장식적인 요소를 더하고, 부식 및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높인다. 의료 장비, 식기, 노트북, 공구, 동전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글로벌 니켈 수요는 전문가들의 예측보다도 훨씬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캐나다 니켈 컴퍼니(Canada Nickel Company)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는 2030년에 글로벌 니켈 수요가 510만 톤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지만, 최근 3년간 수요가 해마다 9~10%씩 빠르게 늘면서 2025년 이미 약 600만 톤 수준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예상보다 빠른 수요 증가는 전기차 배터리와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수요가 함께 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며, 이는 니켈이 전 세계 에너지 전환과 산업 발전에서 점점 더 중요한 자원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기차 확산과 함께 성장하는 니켈 수요>
[자료: 캐나다 니켈 컴퍼니]
캐나다 니켈 생산 및 수출 동향
미국 지질조사국(USGS)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는 2024년에 니켈 생산량이 전년 대비 19.5% 증가한 19만 톤을 기록하며 세계 5위 생산국으로 자리매김했다. 니켈 매장량 또한 200만 톤으로, 2020년부터 세계 6위를 유지하고 있다.
니켈은 자연에서 순수한 금속 상태로 존재하지 않고, 니켈 광석 형태로 채굴된다. 니켈 광석에는 다양한 불순물이 섞여 있어, 먼저 제련 과정을 통해 니켈 함량이 높은 중간 제품으로 가공한 뒤, 마지막 단계인 정제를 거쳐 고순도의 니켈을 추출한다. 채굴된 니켈은 주로 온타리오주, 앨버타주, 서스캐쳐원주, 뉴펀들랜드래브라도주에 위치한 제련소에서 가공된다. 캐나다 천연자원부에 따르면 2023년 캐나다의 전체 니켈 생산량은 15만 8668톤이며, 이 중 온타리오주가 39.4%를 차지해 가장 많은 생산량을 기록했다. 뒤를 이어 뉴펀들랜드주가 27.1%, 퀘벡주가 26.7%, 매니토바주가 6.8%를 차지한다.
<2023년 캐나다 주별 니켈 생산량>
(단위: 천 톤, %)
순위
주
생산량
점유율
1
온타리오
62.5
39.4
2
뉴펀들랜드래브라도
42.9
27.1
3
퀘벡
42.4
26.7
4
매니토바
10.8
6.8
총합
158.7
100.0
[자료: 캐나다 천연자원부]
<캐나다 주요 니켈 광산>
광산
광산 소재지(주)
운영사
예상 광산
운영 기간
Raglan Mines
퀘벡
Glencore
~2027
Nunavik Nickel Project
퀘벡
Canadian Royalties
~2030
Voisey’s Bay
뉴펀드랜드
Vale
~2034
Sudbury Basin
온타리오
Vale, Glencore
~2035
Crawford Nickel Project
온타리오
Canada Nickel
~2068
[자료: 캐나다 액션, KOTRA 토론토무역관 취합]
캐나다 정부의 핵심 광물 전략에 따라, 니켈 생산량 확대를 위해 2건의 신규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첫 번째는 브라질의 철광석 및 니켈 생산업체인 Vale에서 운영하는 ‘Vale 프로젝트’이다. 캐나다 북부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에 위치한 보이지스베이(Voisey’s Bay) 노천광산을 리드브룩(Reid Brook)과 이스턴딥스(Eastern Deeps) 두 개의 지하광산으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로, 2026년 하반기부터 가동할 예정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향후 매년 니켈 4만 5000톤, 구리 2만 톤, 코발트 2600톤이 추가로 생산될 예정이다.
두 번째는 캐나다 니켈 컴퍼니에서 추진 중인 ‘크로포트(Crawford) 프로젝트’이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니켈 매장지로 알려진 온타리오주 팀민스(Timmins) 지역의 크로포드 광산 개발 프로젝트로, 2027년부터 향후 41년간 니켈 160만 톤, 코발트 2.4만 톤, 철 5000만 톤 등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캐나다 수출개발청(EDC)은 동 프로젝트에 최대 6억700만 캐나다 달러의 대출을 제공했으며, 삼성SDI는 8.7%의 지분을 투자해 향후 니켈 및 코발트 생산량의 10%를 배터리 사업용으로 공급받을 예정이다.
이렇게 생산된 니켈 정광은 세계 여러 나라로 수출된다. 1위 수출국은 미국으로, 캐나다산 니켈은 미국 산업 전반의 중요한 공급원이다. 미국 항공우주 부문에서 사용되는 니켈의 80%와 국방 부문에서 사용되는 니켈 56%가 온타리오에서 공급될 정도이다. 한국은 캐나다의 8위 수출국이며, 2024년 기준 9,738만 캐나다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한국에서 인도네시아 등 저가 니켈 경쟁력이 부각되며 2022년부터 수출액은 다소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연도별 캐나다 니켈 수출 동향>
(단위: C$ 천)
연번
국가
2022년
2023년
2024년
1
미국
1,357,820
1,560,226
1,047,458
2
네덜란드
420,066
417,426
335,232
3
벨기에
296,367
263,322
330,928
4
중국
403,880
226,028
194,989
5
핀란드
228,620
62,674
130,031
6
일본
252,948
200,615
120,847
7
스웨덴
104,000
86,635
106,516
8
한국
230,695
135,147
97,380
9
인도
49,699
93,209
91,567
10
기타
391,067
292,740
177,911
총합
3,783,386
3,338,022
2,632,859
주: HS 코드 260400(니켈 정광), 750210(비합금 니켈) 기준 통계
[자료: 캐나다 통계청]
캐나다 니켈의 장점과 당면 과제
캐나다는 ESG 표준과 청정 에너지 그리드로 인해 매력적인 광물 생산지로 인정받고 있다. 광업 부문 온실가스(GHG) 배출 데이터 전문 연구 업체인 Skarn Associate에 따르면, 캐나다에서 니켈 생산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인도네시아보다 약 10배 낮은 것으로 측정된다고 한다. 특히 서드베리 등 온타리오주 광산에서 산출되는 니켈은 탄소 배출이 낮고 지정학적 위험이 작아 전략적 가치가 높다고 밝혔다. 이처럼 캐나다 니켈은 광산 개발로 인한 환경 파괴, 채굴 과정에서의 인권 문제 등 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우려를 잠식할 수 있다.
다만 캐나다는 정제 등의 중간처리 과정 인프라가 취약하며, 이는 캐나다가 당면한 주요 과제 중 하나이다. 특히 배터리 원자재로 쓰일 수 있는 니켈 황산염, 전구체, 음극 활물질과 같은 고부가가치 소재의 가공 시설이 부족하다. 이는 정부의 인프라 투자 부족, 높은 인건비와 운영 비용, 까다로운 환경 규제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복잡하게 연결된 캐나다와 미국 간의 전기차·배터리 공급망 속에서 배터리 원료로서 니켈을 가공하는 과정 또한 상당수 미국에 의존했는데, 양국의 이러한 끈끈한 공급망 협력 관계는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발발한 양국의 핵심 산업에 대한 관세 분쟁은 현재 다소 진화되었으나, 캐나다에서는 대미 의존도를 줄이고 경제 자주성 확보, 핵심 자원 공급망을 내재화하려는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2024년 핵심 광물 전략 연례 보고서에서 최소 7개의 신규 니켈 황산염 정제소 건설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앞서 언급한 ‘Vale 프로젝트’에 퀘벡주 베캉쿠어 지역에 니켈 황산염 공장 설립도 포함돼 있다. 이 곳에서 생산될 연간 2만 5000톤의 니켈 황산염이 포스코와 GM의 합작법인인 UltiumCAM의 배터리 양극재에 공급될 예정이다. 캐나다 혁신과학경제개발부(ISED)는 여기에 3700만 캐나다 달러를 투자하며 니켈 황산염 정제소 건설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캐나다 니켈 컴퍼니 또한 온타리오주에 10억 달러 규모의 니켈 가공 공장(연간 8만 톤 이상 생산)을 건설해 북미 전기차 공급망의 효율성을 높이고, 2억 달러를 투자해 스테인리스강 및 합금 생산 공장도 설립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북미 내 니켈 가공 인프라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것이 목표다.
시사점
세계적으로 니켈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최근 몇 년간 니켈 공급망 확보에 대한 전략적 대응을 본격화하고 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2023년 고려아연과 계열사 켐코는 5000억원을 투자하여 울산시 온산국가산업단지에 황산니켈 제련소 건설 계획을 밝혔고, 같은 해 포스코 또한 4억4100만 달러를 투자하여 인도네시아에 니켈 제련 공장을 설립할 것을 발표했다.
ESG 기준에 부합하는 고품질의 캐나다 니켈은 캐나다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로 생산량이 계속해서 확대될 것이며, 이는 한국의 니켈 공급망 확보에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캐나다의 약점인 중간처리 과정에서의 협력 가능성도 있다. 모듈형 니켈 정제 설비는 설치와 운영이 간편하고, 광산지 인근에서 소규모로 운영 가능해 인프라가 부족한 캐나다 북부 지역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로 니켈을 추출해 황산염 형태로 재가공하는 사업 모델도 협력의 가능성이 있다.
한국과 캐나다는 2023년 5월, ‘핵심광물 공급망·청정에너지 전환·에너지 안보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상호보완적 산업 구조를 갖고 있는 한국과 캐나다가 정부의 협력 기조 속에서 니켈을 포함한 핵심 광물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를 기대한다.
자료: 캐나다 통계청, 캐나다 천연자원부, Capital 10X, PDAC, Sudbury Star, BNN, CTV News, CBC News, Mining.com, 전자신문, 조선비즈, KOTRA 토론토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캐나다 니켈 공급망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독일 자동차 산업 흔든 공급망 충격파,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부상
독일 2025-06-19
-
2
중국 전기차용 커넥터 수입액 상승세 지속, 관세조치 이후 시장 향방은?
중국 2025-06-19
-
3
고강도 방어강판 사례로 본 독일·유럽의 핵심 방산 소재 공급망 문제와 대응 과제
독일 2025-06-16
-
4
일본의 배터리 자원 확보 전략 엿보기
일본 2025-07-02
-
5
미국 LA 도심 누비는 배달 로봇, 실험을 넘어 확산으로
미국 2025-06-18
-
6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베트남 2025-06-19
-
1
2024년 캐나다 육류 가공 산업 정보
캐나다 2024-12-17
-
2
2024년 캐나다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4-12-10
-
3
2024년 캐나다 대두 산업
캐나다 2024-11-21
-
4
2021년 캐나다 건설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3
-
5
2021년 캐나다 신재생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3
-
6
2021년 캐나다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