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뷰티 웹사이트에 K-뷰티 메뉴 등장, 모로코 화장품 시장 트렌드
- 트렌드
- 모로코
- 카사블랑카무역관 이민호
- 2025-06-24
- 출처 : KOTRA
-
비건, 유기농, 지속가능 뷰티, 차세대 안티에이징 등 새로운 추세
모로코 뷰티품목 웹사이트에서 K-Beauty 메뉴 별도 개설할 정도로 한국화장품 인기
한국 화장품의 천연성분, 순한 제품, 브랜드 평판이 모로코에서 성장세 비결
모로코 화장품 시장 동향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2024년 모로코 화장품 시장규모는 약 1억8200만 달러로 집계되며,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7.5%의 성장률(CAGR)이 예상된다. 스킨케어 및 자외선 차단 제품이 전체 시장의 40.6%로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피부 보호 및 관리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이며, 자외선이 강한 모로코의 기후 특성도 자외선 차단 제품(선크림, 애프터 선 로션 등)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특히 아르간 오일, 장미수 등 천연·유기농 성분이 함유된 전통 원료 기반 제품의 인기도 높아졌다.
메이크업 및 색조 화장품은 2025~2030년 동안 연평균 7.4% 성장률이 예상된다. 이는 외모 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와 더불어, SNS와 뷰티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립스틱, 아이라이너, 블러셔 등 다양한 색조 화장품에 대한 지출이 늘어난 데에 기인한다. 전반적으로 모로코 소득 수준 향상과 서구적 뷰티 트렌드 수용 확대가 뷰티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다.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4년 모로코 화장품 수입액은 전년 대비 10.0% 늘어난 1억5260만 달러를 기록했다. 매니큐어, 메이크업 파우더는 수입이 감소하였으나 입술 화장품(8.94%), 눈 화장품(12.2%), 크림에멀젼(9.50%), 기타 화장품(에센셜 오일, 향수 등, 16.93%)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화장품 수입이 증가했다. 품목별 수입 비중을 살펴보면, 크림/에멀션/뷰티오일류가 전체 수입의 약 65.8%를 차지하였으며 에센셜 오일, 향수 등 기타 화장품(15.1%), 입술 화장품(7.1%) 순으로 수입됐다. 수입 원천국으로는 주류 품목인 크림, 에멀젼, 기타 화장품류는 프랑스산이 1위였고, 나머지는 대부분 중국산이 1위였다. 한국산 순위는 기타 화장품 5위, 메이크업파우더 8위, 크림, 에멀젼 13위, 입술 화장품 13위를 보였다.
< 2023~2024년 모로코 화장품 품목별 수입 추이 >
(단위 : US$ 천, %)
HS 코드
품목명
2023년
2024년
증감률(23/24년)
3304.10.0000
입술 화장품
10,040
10,938
8.94
3304.20.0000
눈 화장품
8,495
9,532
12.20
3304.30.0000
매니큐어,페디큐어
4,324
4,263
-1.42
3304.91.0000
메이크업파우더 (압축형 포함)
4,309
4,278
-0.72
3304.99.0010
크림, 에멀젼, 뷰티오일
91,796
100,517
9.50
3304.99.0090
기타 화장품 (에센셜 오일, 향수 등)
19,751
23,095
16.93
전체
138,715
152,623
10.02
[자료 : Global Trade Atlas, 2025.06.19]
화장품류(hs 코드 330499) 수입 상위 10위 원천국으로는 프랑스산이 1위(44%)였고, 스페인, 폴란드,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가 그 뒤를 이었다. 한국은 對모로코 화장품(HS 코드 330499) 수출액이 2023년까지는 100만 불에 못 미치다 2024년 전년 대비 172% 상승하며 227만 불을 수출해 10위에 올랐다. 다만, 아직 수입 점유율이 2% 미만이어서 성장할 여지가 크다.
<최근 3년 모로코 화장품(HS Code 330499) 상위 10대 수입국 현황>
(단위 : US$ 천)
순위
국가명
2022년
2023년
2024년
2024년 수입 점유율
23/24년 증감률(%)
1
프랑스
45,784
54,252
54,831
44.36
1.1
2
스페인
11,275
14,823
16,839
13.62
13.6
3
폴란드
6,687
7,728
9,119
7.38
18.0
4
이탈리아
5,657
6,557
7,931
6.42
20.9
5
중국
3,831
4,561
5,702
4.61
25.0
6
독일
4,167
3,902
5,195
4.20
33.1
7
스위스
1,547
1,656
3,290
2.66
98.6
8
캐나다
1,817
2,367
3,130
2.53
32.3
9
UAE
2,127
1,973
2,304
1.86
16.8
10
한국
695
835
2,271
1.84
171.9
총계
96,332
111,547
123,612
100
10.8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6.19]
모로코의 화장품 품목별 대표적인 회사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대부분 프랑스, 미국 등 서구권 회사가 자회사를 두고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모로코 화장품 각 분야별 대표기업 목록>
구분
회사로고
회사명
비고
스킨케어
La Roche Posay
LABORATOIRE DERMATOLOGIQUE
설립연도: 1975
연매출: 28백만 유로(2021, 전 세계)
직원수: 108명(전 세계)
회사규모: 글로벌기업 자회사
모회사: L'Oreal
헤어케어
Procter & Gamble (P&G)
설립연도: 1837
연매출액 : 840억 달러(전 세계)
직원수: 10만 명(세계)
회사구분 : 글로벌기업
브랜드명 : Pantene, Head & Shoulders, Herbal Essences
얼굴/바디케어
Yves Rocher Maroc
설립연도: 1959 (프랑스 보태니컬 뷰티브랜드 1위)
모로코 진출 연도: 1991
연매출액 : 25억 달러(전 세계)
직원수: 1만5천 명(전 세계)
모로코 내 매장수: 90개소
네일케어
L’Oréal Maroc
설립연도: 1909
모로코 진출 연도: 1943
연매출액 : 434억 유로(전 세계)
직원수: 9만 명(전 세계)
모로코 판매 브랜드 : 18종
회사구분 : 글로벌회사
향수
CHANEL France
설립연도: 1910
모로코 진출 연도: 2000
연매출액: 187억 달러 (2024, 전 세계)
2천만 달러 (2024, 모로코)
직원수: 3만2116명(전 세계)
회사구분 : 글로벌회사
[자료: 각 회사 홈페이지]
한편 모로코에서 화장품 유통은 개별매장, 쇼핑몰 뷰티코너, 약국 등 오프라인 외 온라인 판매가 젊은층 위주로 성장세에 있다. 대표적인 사이트인 beautymall, accessories shop 에서도 한국산 화장품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beautymall에서는 상단 메뉴바의 별도 색깔로 구분된 K-Beauty Tendance를 클릭하면 한국산 브랜드인 뷰티오브조선, 썸바이미 등을 볼 수 있고, accessories shop 사이트에서는 K-Beauty 타이틀로 화면 왼쪽에 태극기가 배치돼 있고 클릭하면 라네지 (LANEIGE) 등 한국산 제품을 볼 수 있다. 가격은 할인하여 뷰티오브조선, 썸바이미는 200디르함(20달러)대, 라네지는 400~500디르함(40~50달러)선이다.
<모로코 온라인 화장품 쇼핑몰 beautymall 사이트>
[자료: 모로코 beautymall 공식 홈페이지]
<모로코 온라인 화장품 쇼핑몰 Accessories Shop 사이트>
[자료: 모로코 Accessories Shop 공식 홈페이지]
모로코 화장품 트렌드는 지난 5월 초 열린 2025 Cosmetista EXPO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2025 Cosmetista EXPO는 천연 제품에 특화된 신생 브랜드부터 기존 유명 기업들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참가해 전 세계 1만 9000명 이상의 방문객을 유치했다. 카사블랑카 국제 박람회장에는 130개의 부스가 설치됐고, 유럽, 북미,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약 700개의 브랜드가 참가해 스킨케어, 헤어케어 도구, 메이크업 제품, 향수, 천연 제품, 전문 장비 등 폭넓은 혁신 제품들을 선보였다. 행사 기간 동안 라이브 쇼, 미용 시연, 실습 워크숍, 헤어 & 네일아트 쇼, 국제 조향사 컨퍼런스도 함께 열려 스파 운영자, 미용실 운영자, 유통업자 등 업계 전문가들이 최신 트렌드와 기술 발전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2026 Cosmetista EXPO는 2026년 5월 16일~19일(Casablanca OFEC)에 열릴 예정이다.
<COSMETISTA EXPO NORTH & WEST AFRICA >
[자료: Cosmetista EXPO 전시회 웹사이트]
전시장에서 만난 모로코 바이어들은 올해 뷰티 분야에서 떠오른 키워드로 비건, 유기농, 지속가능한 뷰티 제품, 차세대 안티에이징 기술 등을 꼽았다. 무역관은 Cosmetista 전시회 주최자 Eventista를 만나 한국 화장품 산업의 현지 지명도와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주최자 대표 마리나 사비르(Marina Sabir)씨는 한국산 미용품을 찾는 이들이 많았으며 한국 기업들이 참가한다면 많은 인기를 끌 것이라고 답했다. 무역관은 한국 유명 미용전시회(K-Beauty EXPO, 오송 화장품 뷰티산업엑스포)를 소개했으며 모로코 바이어들이 방한할 계획이다. 다음은 카사블랑카무역관이 K-Beauty EXPO에 참가할 모로코 바이어 모집을 위해 현지 수입상 P사를 인터뷰하며 모로코 화장품 시장 트렌드에 대해 정리한 내용이다.
Q. 한국 전시회에 참여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A. 한국에 가 본 적은 없지만, K-Beauty EXPO는 K-뷰티 산업의 근원을 직접 살펴보고 초기 접촉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봅니다.
Q. 모로코 화장품 소비자들의 성향은 어떤지요?
A. 모로코 소비자들은 자신의 피부 타입에 맞는 효과적이고 저렴한 제품을 찾습니다. 미백, 안티에이징, 보습 트리트먼트, 자외선 차단 제품을 점점 더 선호합니다. 천연 성분, 브랜드 평판, 소셜 미디어 리뷰는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Q. 한국 제품을 수입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A. 제가 한국 제품을 수입하게 된 계기는 모로코에서 K-뷰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한국 스킨케어 제품의 뛰어난 품질, 혁신, 세계적인 명성이 더해졌기 때문입니다. 모로코 소비자들은 효과, 순함, 천연 성분을 갖춘 한국 뷰티 제품에 점점 더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모로코는 유망한 시장이며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습니다.
Q. 최근 모로코에서 어떤 종류의 뷰티 제품이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나요?
A. 현재 모로코에서 가장 인기 있는 뷰티 제품은 세럼(브라이트닝, 안티에이징, 보습), 자외선 차단제(SPF), 모이스처라이저, 순한 클렌저, 시트 마스크 등 페이셜 케어 제품입니다. 모로코 소비자들은 천연 성분으로 만든 효과적이고 피부 친화적인 제품, 특히 민감성 또는 복합성 피부에 적합한 제품을 선호합니다.
뷰티오브조선, 케이시크릿, 썸바이미, 스킨1004, 하루하루 원더, 코스알엑스, 이니스프리, 에뛰드, 라네즈, 닥터자르트 등 여러 한국 브랜드가 모로코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품질, 혁신, 순한 성분 배합으로 명성을 얻은 한국 브랜드들은 모로코 뷰티 시장에서 최고의 선택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Q. 귀사에서 수입하는 한국 제품의 가격대는 어떻게 되나요?
A. 저희 회사에서 수입하는 한국 제품의 가격대는 일반적으로 제품 유형, 브랜드, 시장 포지셔닝에 따라 5달러에서 30달러 사이입니다. 저희는 모로코 소비자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고품질 기준을 유지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의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COSMETISTA EXPO NORTH & WEST AFRICA 전시회 개요>
전시회명
COSMETISTA EXPO NORTH & WEST AFRICA (8th Edition)
주제
International Exhibition of Cosmetics, Beauty and Wellness
주최자
Eventista
전시기간
2025년 5월 3일(토) ~ 6일(화)
전시장소
Foire Internationale de Casablanca
전시 규모
4,500㎡
참가국, 개사
13개국 700개사
방문객
19,000명
전시 분야
Face, hair, body 제품, 미용기기 및 건강보조식품
홈페이지
[자료: Cosmetista EXPO 전시회 웹사이트]
시사점
모로코 화장품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간단한 기술로 만들 수 있는 입술, 눈 화장품, 매니큐어류는 중국산이 수입 1위를 차지하지만, 주력 품목인 크림, 에멀젼, 에센셜, 향수 등 고급류는 아직까지 프랑스, 스페인 등 지리적으로 가까운 유럽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더 많다. 미백, 안티에이징, 보습 트리트먼트, 자외선 차단 등이 올해 미용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최근 한류 열풍으로 인해 10~20대 여성들 사이에서 한국 화장품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추세다. 2024년 봄철 카사블랑카에 한국식 화장품 매장이 개장된 이후 영업 호조를 보였고, 2025년 4월 2, 3호점을 개장했다. 모로코 바이어와의 인터뷰에서도 여러 한국 화장품 브랜드가 언급됐으며 Cosmetista 주최자로부터도 한국산 화장품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로코 뷰티 웹사이트에서 한국 메뉴바를 따로 내어줄 정도로 한국산 화장품 인기는 자리잡았다.
카사블랑카 무역관은 2025 K-Beauty EXPO(9.11~9.13)와 충북 오송 화장품 뷰티산업엑스포 연계 수출상담회(10.23~10.25)에 모로코 바이어와 한국 기업간 상담을 주선할 계획이므로 관심 있는 한국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
자료: Cosmetista 주최자, 바이어 인터뷰, Global Trade Atlas, KOTRA 카사블랑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뷰티 웹사이트에 K-뷰티 메뉴 등장, 모로코 화장품 시장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이스라엘 스낵 시장 동향
이스라엘 2025-06-24
-
2
프랑스 전기차 시장동향
프랑스 2025-06-24
-
3
중국 견과류 시장, 건강식 열풍에 힘입어 8년 만에 2배 성장 전망
중국 2025-06-24
-
4
AI와 로봇 기술의 향연, 유럽 최대 규모 테크 전시회 '비바테크 2025'
프랑스 2025-06-27
-
5
2025년 멕시코 제약산업 정보
멕시코 2025-06-23
-
6
도미니카공화국 한류 현황과 소비자 분석
도미니카공화국 2025-06-25
-
1
2024년 모로코 에너지 산업 정보
모로코 2025-01-03
-
2
2024년 모로코 자동차 산업 정보
모로코 2024-12-26
-
3
2024년 모로코 수산업 정보
모로코 2024-07-10
-
4
2021 모로코 농업산업 정보
모로코 2021-12-29
-
5
2021년 모로코 산업 개관
모로코 2021-12-20
-
6
2021년 모로코 자동차산업 정보
모로코 20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