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스라엘 스낵 시장 동향
- 상품DB
- 이스라엘
- 텔아비브무역관 김지화
- 2025-06-24
- 출처 : KOTRA
-
건강과 다양한 미식을 추구하는 이스라엘 소비자
대형 업체 중심의 집중화된 스낵 시장 구조
HS Code
HS CODE
품목명
190590
빵, 파이와 케이크, 비스킷, 쿠키와 크래커, 쌀 과자 등(스낵으로 통칭)
시장 동향
이스라엘 국민들은 짭짤한 스낵과 달콤한 스낵을 모두 즐기는 경향이 있다. 이들의 스낵 취향은 다양한 민족적 배경과 중동 특유의 식문화가 어우러져 다채롭고 독특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전통적인 간식과 현대적인 스낵이 혼합된 제품이 많이 소비되는 편이다. 최근에는 건강과 자연주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단백질이 첨가된 스낵, 식물성·천연 재료를 사용한 제품 등 건강 지향적인 스낵의 인기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양하고 풍미가 있는 스낵을 선호하며,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 수요에 힘입어 아시아 간식에 대한 수요가 점차 커지고 있다. 현지 소비자들은 아시아 식품은 대체로 건강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새로운 미식 경험을 추구하는 트렌드와 함께 젊은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음식에 대한 문화적 인식도 높아졌다.
이스라엘 스낵 시장은 지리적·문화적 특성의 영향에 따라 짠맛과 단맛을 고루 선호하는 소비 경향을 보인다. 유로모니터 보고서의 이스라엘 짭짤한 스낵과 달콤한 스낵 시장 규모 집계를 살펴보면, 2024년 기준 이스라엘의 짭짤한 스낵 시장은 전년 대비 7% 성장해 약 36억 신 셰켈(약 10억 달러)에 이르렀으며, 2029년까지 연평균 4%의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달콤한 스낵 시장 역시 9% 성장해 28억 신 셰켈(약 8억 달러) 규모를 기록했고, 특히 스낵바 부문은 13%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성장의 한 축에는 가격 인상이 큰 영향을 미쳤다. 2023년과 2024년에 걸쳐 주요 브랜드의 스낵 가격이 최대 6%, 일부 달콤한 스낵은 최대 25%까지 인상됐다. 이는 글로벌 원자재, 특히 설탕 가격 급등과 생산·운송비 상승이 주된 원인이라는 것이 현지 주요 제조사 및 수입사들의 입장이다. 현지 시장은 소수의 대형 제조사와 수입사가 주도하고 있으며, 상위 2개 업체가 전체 짭짤한 스낵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경쟁이 치열하지 않아 가격 인상과 담합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같은 집중화된 시장구조로 인해 신생 및 중소기업의 시장 진입이 어렵고, 제품 다양성도 부족한 경향이 있어 소비자들의 선택폭은 한계가 있다.
최근 이스라엘 스낵 시장은 건강, 기능성, 프리미엄 제품의 비중이 커지는 추세다. 이와 같은 추세를 배경으로 단백질이 첨가된 스낵, 에너지 바, 고급 비스킷·쿠키 등 프리미엄 제품의 인기가 계속 높아질 것으로 유로모니터는 전망했다. 또한 짭짤한 스낵 시장에서는 매운맛 신제품과 단백질 첨가제품이 꾸준히 출시되고 있어, 트렌드 변화에 맞춘 신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현지 시장의 가격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구조 개선과 소비자 선택폭 확대를 위한 규제 당국의 지속적인 관리와 기업의 자정 노력은 현지 스낵 시장이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다.
수입 동향
이스라엘의 스낵류(HS Code 190590) 수입은 지난 10년 동안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냈으며, 특히 2023년 수입 규모가 눈에 띄게 급증했다. 그러나 2024년에는 다시 한자리 대의 수입 증가율로 돌아섰다. 이는 2023년 현지 시장의 경쟁 부족, 원가 상승, 무력 분쟁으로 인한 수요 증가 등에 이어, 2024년에는 식품 가격 상승, 경제적 어려움, 장기화된 무력 분쟁으로 인한 농업 생산량 급감, 소비 심리 하락으로 인한 소비 행동 변화 등의 복합적인 요인들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2022~2024년 이스라엘 스낵류(HS Code 190590) 수입 규모 추이>
연도
수입액(US$ 백만)
증감률(%)
2022
113
0.45
2023
136
20.35
2024
138
1.47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5.22.]
2024년 기준 이스라엘의 스낵류(HS Code 190590) 최대 수입 상대국은 이탈리아로, 전체 수입의 27.8%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이스라엘 소비자들은 이탈리아산 스낵을 고급스럽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이탈리아 식품업체들은 이스라엘 시장을 겨냥해 별도의 코셔 인증 제품을 생산하고 있어, 코셔 인증 식품이 필수나 마찬가지인 현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지리적으로 가까운 점과 EU-이스라엘 자유무역협정으로 인한 가격 경쟁력도 이탈리아산 스낵의 인기를 뒷받침하며, 브랜드 충성도와 유통 채널 확보로 수입 규모가 꾸준히 상승 및 유지되고 있다.
이탈리아 다음으로는 미국(19.1%), 스페인(11.3%), 터키(7.0%) 등이 주요 수입 상대국으로, 유럽 국가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이스라엘 내 유럽과 미국 출신 유대인들의 식문화와 취향이 현지 소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산 스낵의 수입 규모와 비중은 아직은 미미하지만, 2024년 수입 규모가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최근 현지에서 K-드라마 등 한류와 아시아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2022~2024년 이스라엘 스낵류(HS Code 190590) 국가별 수입 규모 순위>
순위
국가
수입액(US$ 천)
비중(%)
증감률(%)
2022년
2023년
2024년
2024년
‘24/’23
세계
112,978
135,594
138,245
100.00
2.0
1
이탈리아
25,278
37,305
38,375
27.8
2.9
2
미국
32,477
32,616
26,432
19.1
-19.0
3
스페인
5,233
7,174
15,573
11.3
117.1
4
터키
10,888
13,628
9,726
7.0
-28.6
5
독일
4,255
5,753
7,840
5.7
36.3
6
프랑스
5,306
6,862
3,833
2.8
-44.1
7
네덜란드
2,505
3,415
3,657
2.6
7.1
8
중국
3,009
1,729
3,305
2.4
91.2
9
폴란드
1,903
2,795
2,711
2.0
-3.0
10
베트남
757
1,538
2,586
1.9
68.1
37
한국
237
59
208
0.2
252.6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5.22.]
경쟁 동향
이스라엘의 짭짤하고 달콤한 스낵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들은 식품 제조사, 수입사, 슈퍼마켓, 소매 체인 등이 주도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Osem, Strauss, Leiman Schlussel, Unilever Israel, Shufersal, Din Shivuk 등이 있으며, 상위 5개 기업이 짭짤하고 달콤한 스낵 시장을 각 70% 이상, 50% 이상 차지하고 있다.
짭짤한 스낵 시장 상위 10위 브랜드로는 Bamba, Elite, Bissli, Fitness, Doritos 등이 있다. 이 중 Bamba는 약 14%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61년 동안 이스라엘 국민 간식으로 자리잡은 문화적 아이콘이다. Bamba는 하루 100만 봉지 이상 생산되며, 미국 등 해외 대형 유통망에도 진출해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했다.
달콤한 스낵 시장에서는 Osem, Elite, Nature Valley, Loacker, Oreo 등이 상위 10위 브랜드로 꼽힌다. 이 중 이스라엘 제조사 브랜드인 Osem과 Elite가 시장 점유율 약 20%를 차지하고, 나머지 다양한 브랜드들이 한 자릿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이스라엘 주요 스낵 브랜드 예시>
짭짤한 스낵 브랜드
달콤한 스낵 브랜드
-브랜드:Bamba
-땅콩 버터 맛 등, 퍼프드 옥수수
-80g 기준 $1.4
-브랜드:Petit-Beurre
-밀가루로 만든 초코맛 비스킷
-500g 기준 $3.85
-브랜드:Bisli
-다양한 맛과 모양의 바삭한 밀가루 스낵
-70g 기준 $1.92
-브랜드:Waffle
-다양한 맛의 웨하스
-200g 기준 $4.44
-브랜드:Tapuchips Crunch
-포테이토 칩
-50g 기준 $1.96
-브랜드:Nature Valley
-그래놀라 바
-42g 5개입 기준 $5.5
-브랜드:Dorito
-나초 믹스 그릴 맛 등 다양한 맛
-55g 기준 $1.36
-브랜드: Loacker Classic
-웨이퍼 모양으로 다양한 패키지와 맛으로 판매
-175g 기준 $3.86
-브랜드:Fitness
-곡물 기반 바삭하고 다양한 맛
-60g 기준 $1.91
-브랜드:Klik
-다양한 모양의 초콜릿 스낵
-65g 기준 $3.05
-브랜드:Baigale
-프레첼 소금 스틱
-400g 기준 $3.37
-브랜드:Aporpo
-옥수수(꼬깔콘) 스낵
-50g 기준 $1.84
[자료: KOTRA 텔아비브 무역관 조사, 2025.5]
최근 주요 브랜드들 외에 현지 제조 아시아 스타일 간식 종류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건강하고 칼로리가 낮은 간식으로 인식된 아시아 스타일 스낵들은 대체로 높은 가격대에 판매되고 있으며 다이어트를 하는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간식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들 제품은 주로 글루텐 프리, 채식주의 친화적인 이미지를 부각하며, 쌀, 그래놀라, 콩류, 김, 멀티그레인, 과일류, 채소류 등으로 많이 제조하는 추세다. 이 중 쌀과 곡물 스낵류가 가장 많이 눈에 띄고, 뻥튀기도 높은 가격대에 팔리고 있다. 현지에 수출된 한국 조미김은 식사류가 아닌 짭짤한 스낵류로 판매되고 있다. 공식적인 통계는 없으나 두부도 일반 슈퍼, 아시아 식품 전문점 및 식당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식재료로 부상해, 두부로 만든 스낵도 현지 시장 진출에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이스라엘 건강 및 아시아 스타일 스낵류 예시>
-브랜드:Shufersal
-그레인 과자
-50g, $2.52
-브랜드:Ashibul
-밀 튀밥
-320g, $3.37
-브랜드:ARDO
-옥수수 과자
-100g, $2.80
-브랜드:Terra
-고구마, 비트 칩
-110g, $6.48
-브랜드:OSEM
-쌀과자
-80g, $2.69
-브랜드:만전김
-조미김
-4.5g 9개입, $8.74
-브랜드:Crispiot
-밀 뻥튀기
-70g, $3.93
-브랜드:Fitness
-얇은 시리얼 크리스프
-120g, $3.82
[자료: KOTRA 텔아비브 무역관 조사, 2025.5]
유통 구조
이스라엘의 짭짤하고 달콤한 스낵 시장은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소비자에게 접근하고 있다. 주요 유통망으로는 슈퍼마켓, 편의점, 소규모 식료품점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자상거래 비중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외에도 건강식품점, 식품 전문점, 자판기, 팝업·행사장 판매 등도 소비자 접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제한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사 및 수입사가 운영하는 직영 유통 채널은 주로 브랜드 홍보나 특정 타깃층 공략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직영 유통 형태로는 자사 온라인몰 운영, 행사나 박람회 부스를 통한 한정적인 오프라인 판매, 호텔·항공사·기업 간식 공급, 군납 등의 B2B 직접 납품이 있다. 이스라엘 스낵 시장의 유통사들은 제조사 및 수입사들과 긴밀한 유통 계약을 맺고 있어, 스낵 시장의 유통, 소비 트렌드, 가격 등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한편, 아시아 스낵의 경우 최근 수요가 점차 커지고 있어 아시아 식품 전문점 등의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플랫폼 모두에서 구매 가능한 제품이 확대되고는 있으나, 대부분이 코셔 인증을 취득하지 않아 판매처가 여전히 제한적인 편이다.
관세율
한국은 이스라엘과 최초로 FTA를 체결한 아시아 국가로, 스낵류(HS Code 190590) 품목에 0%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다만, 하위 품목에 따라 국가별로 무관세, 1kg당 0.17 신 셰켈 또는 1kg당 0.16 신 셰켈 등의 관세가 부과되거나 쿼터가 적용될 수 있다. HS Code 190590 외에도 대부분의 스낵류 품목이 무관세 대상이나, 정확한 수입 관세율은 각 HS Code별로 이스라엘 관세청에서 별도 확인이 필요하다.
*이스라엘 관세청: https://www.gov.il/en/service/customs-tariff
인증
이스라엘의 스낵류(HS Code 190590) 제품 수입에는 두 가지 경로가 있다. 첫 번째는 기존의 일반적인 경로로, 이스라엘 보건부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한다(강제 인증). 수입자는 수입 식품에 대한 상세 정보, 성분표, 제조공정, 유통기한, 히브리어로 작성된 라벨링 정보, 상업송장 등 관련 서류를 보건부에 제출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샘플 제출이나 품질 검사도 요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코셔 인증(임의 인증)은 법적으로 필수는 아니지만, 현지 시장에서 제품을 원활하게 유통하고 판매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두 번째 경로는 2025년 1월부터 시행된 ‘유럽 경로(European track)’를 통한 수입이다. 이 경로는 최근 확대된 식품 수입 개혁에 따라 도입된 것으로, 유럽연합(EU)에서 합법적으로 판매·유통되고, 관련 유럽 규정을 준수하는 제품이라면 ‘proper importer(적합한 수입자)’로 등록된 수입자의 선언만으로 별도의 수입허가나 추가 검사를 받지 않고도 수입할 수 있으며, 병행 수입도 가능하다. 이 경로는 유아식, 건강기능식품, 육류 및 육류 제품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한 일반 식품과 민감 식품에도 적용된다. 단, 모든 제품에는 이스라엘 표준법에 따라 히브리어로 된 라벨을 부착해야 하며, 보건부에 proper importer로 등록하려면 품질 및 안전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자체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유럽 경로를 통해 수입된 제품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모든 책임은 수입자에게 있으며, 마찬가지로 코셔 인증이 중요하다.
시사점
이스라엘 정부가 생활 물가 안정과 시장 경쟁 촉진을 위해 무역 장벽을 완화하고 수입 절차를 간소화하는 표준 개혁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이스라엘 시장의 진입 장벽을 낮추어, 한국을 비롯한 해외 수출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미 유럽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한국산 스낵 제품의 경우, ‘유럽 트랙’이나 병행 수입 제도를 활용한다면 이스라엘 시장 진출 시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큰 이점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코셔 인증까지 받은 제품이라면 현지 유통망 확대와 시장 경쟁력 확보에 더욱 유리하다. 실제로 HS Code 190590 제품의 주요 수입국인 이탈리아 기업들은 코셔 전용 라인을 운영해 성공적으로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스낵 제품 기업들은 가격 경쟁력, 품질, 세련된 패키지 디자인을 갖춘 브랜드와 더불어 코셔 인증 취득도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스라엘 식품 시장의 규정 변화, 라벨링, 알레르기 표시 등 세부 규정 준수 등에 대한 지속적인 현지 규정 모니터링과 신속한 대응이 필수적이다. 또한, 수입업체와의 협력 강화, 현지 소비자 트렌드 및 유통망 특성에 대한 이해 역시 성공적인 시장 진입을 위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
현재 이스라엘은 장기화된 분쟁 상황에도 불구하고 높은 인구 증가율과 강한 구매력을 유지하고 있다. 아시아 스낵류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나, 시장 진출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어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한국 식품 기업들은 이스라엘 시장을 전략적 신흥시장으로 삼아 적극적으로 진출을 고려해 볼만하다.
자료: 이스라엘 보건부, 이스라엘 관세청, Global Trade Atlas, Euromonitor, strategyh.com, 현지 언론 및 KOTRA 텔아비브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이스라엘 스낵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무인운반로봇(AGV) 시장동향
중국 2025-06-24
-
2
뷰티 웹사이트에 K-뷰티 메뉴 등장, 모로코 화장품 시장 트렌드
모로코 2025-06-24
-
3
2023년 이스라엘 방위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3-07-06
-
4
2024년 이스라엘 산업 개관
이스라엘 2024-03-07
-
5
2021년 이스라엘 IT 산업
이스라엘 2021-12-28
-
6
2021년 이스라엘 농축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1-09-08
-
1
2025년 이스라엘 농축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5-05-21
-
2
2024년 이스라엘 산업 개관
이스라엘 2024-03-07
-
3
2023년 이스라엘 방위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3-07-06
-
4
2021년 이스라엘 e-Commerce 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1-12-29
-
5
2021년 이스라엘 IT 산업
이스라엘 2021-12-28
-
6
2021년 이스라엘 의약산업 정보
이스라엘 2021-11-1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