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슬로바키아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 상품DB
  • 슬로바키아
  • 브라티슬라바무역관 이재승
  • 2025-06-23
  • 출처 : KOTRA

유럽 자동차 시장의 허브인 슬로바키아...1인당 자동차 생산량 세계 1위

전기차 부품 생산 중심으로 변화 중...우리 기업의 유럽 진출 거점으로 기능할 가능성 충분

상품명 및 HS 코드

 

자동차부품의 HS 코드는 870899이며, 기타 자동차 부분품과 부속품 등을 포함한다.

 

시장 규모 및 동향

 

매출액 기준, 2025년 슬로바키아 자동차부품 시장 규모는 약 163억 유로이며, 그 성장률은 3.9%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슬로바키아 자동차부품 시장은 전체 슬로바키아 GDP의 약 13%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매출액 기준으로 유럽 시장에서 9위를 차지하고 있다슬로바키아 내 자동차부품 관련 기업은 256개사이며2024년 기준 직간접적으로 약 275000명 가량의 노동자들이 자동차부품 업계에 채용돼 있다.

 

2024년 기준으로 슬로바키아 내에서는 약 993000대의 자동차가 생산됐으며, 1인당 자동차 생산량은 세계 1위이다. 기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 부품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부품 생산이 다소 감소한 양상도 보였으나, 자동차 산업은 여전히 슬로바키아 전체 산업 생산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슬로바키아 내 자동차부품 기업들은 EU 정책과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기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 부품 생산으로의 생산 라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대 모비스 사는 정부 지원금 2600만 유로를 받아, 슬로바키아 노바키 지역에 신규 EV 부품 공장을 건설하는 데 약 17000만 유로 이상을 투자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또한, Gotion High Tech 사와 Inobat 사는 12억 유로 규모의 EV 배터리 공장을 공동으로 건설하고 있으며, 2027년에 연간 생산 용량 20GWh로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최근 3개년 수입 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

 

2024년 슬로바키아 자동차부품 수입 규모는 약 204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8.1% 증가했다. 특히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규모는 2024년에 전년 대비 1.9% 증가해 약 870만 달러를 기록. 슬로바키아의 자동차부품 주요 수입국은 독일, 폴란드, 체코 등이다.

 

<주요 수입국 현황 (HS 코드 870899 기준)>

(단위: US$ , %)

순위

2022

2023

2024

점유율
(24)

증감률
(23~24)

-

전체

1,316,097

1,730,551

2,043,961

100.0

18.1

1

독일

269,150

336,713

407,582

19.9

21.1

2

폴란드

171,918

227,102

328,736

16.1

44.8

3

체코

216,247

264,908

268,731

13.1

1.4

4

헝가리

104,129

194,541

246,090

12.0

26.5

5

프랑스

153,881

189,024

186,752

9.1

-1.2

6

오스트리아

57,335

79,776

122,878

6.0

54.0

7

대한민국

79,513

85,339

86,956

4.3

1.9

8

영국

50,510

86,048

84,363

4.1

-2.0

9

루마니아

55,254

68,714

84,302

4.1

22.7

10

스페인

27,199

24,450

47,729

2.3

95.2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6.6.]

 

경쟁동향

 

슬로바키아 내 주요 자동차부품 기업으로는 Motherson SAS Automotive Systems Slovakia s.r.o. , Hyundai Mobis Slovakia s.r.o.  등이 있다. 특히, 우리 투자 진출기업 중 하나인 Hyundai Mobis Slovakia s.r.o. 사는 2023년 기준 약 199300만 유로 규모의 매출을 달성한 바 있다.

 

<슬로바키아 주요 자동차부품 기업>

(단위: 유로)

기업명

위치

2023년 매출액

설립연도

주요품목

Motherson SAS Automotive Systems Slovakia s.r.o.

브라티슬라바

1,264,527,546

2000

배선 하네스,
플라스틱 부품

Hyundai Mobis Slovakia s.r.o.

질리나

1,993,857,000

2004

샤시, 안전 부품,
전자 부품

Faurecia Automotive Slovakia s.r.o.
s.r.o.

브라티슬라바

899,422,000

2016

내부 시스템, 좌석 부품

Adient Slovakia s.r.o.

브라티슬라바

380,394,000

2016

자동차 좌석 시스템

Matador Automotive Vráble a.s.

니트라

272,968,000

1992

고무 부품, 컨베이어벨트, 기계류 부품

Železiarne Podbrezová a.s.

포드브레조바

298,260,396

1992

강관, 자동차 부품

Craemer Slovakia s.r.o.

립토프스키미쿨라시

43,150,977

1994

금속 성형, 플라스틱 가공

Plastic Omnium Auto Exteriors s.r.o.

로조르노

302,902,000

2000

자동차 외장 부품

[자료: 각 사 홈페이지, Finstat]

 

유통구조

 

슬로바키아 자동차부품 산업은 거대 OEM 기업과 Tier 1, Tier 2 기업들의 전통적인 계층형 유통 구조를 따른다. 슬로바키아 내 거대 OEM 기업인 폭스바겐 슬로바키아, 스텔란티스, 기아, 재규어·랜드로버 등과 같은 자동차 기업들은 적시 배송(JIT) 및 적기 배송(JIS) 모델을 따르며, Tier 1 및 Tier 2 자동차부품 기업들과 협력해 자동차를 생산한다. Faurecia 사, 현대모비스 슬로바키아 사, Adient 사와 같은 1차 자동차부품 공급업체(Tier 1)들은 OEM 기업들에 직접 자동차부품을 조달하며, 적시 배송(JIT) 수요를 맞추기 위해 OEM 기업 근처에 현지 창고 및 생산 공장을 두고 있는 경우가 많다. 2차 자동차부품 공급업체(Tier 2)들은 Tier 1 업체들에 플라스틱 부품, 전자부품, 철강 부품 등을 공급하며, 슬로바키아 내 혹은 인근국(체코, 폴란드, 헝가리 등)에 위치해 생산 및 공급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생산된 자동차부품은 주로 B2B 거래를 통해 유통되며, 현지 지역 창고 혹은 글로벌 창고에서 슬로바키아 내 생산 공장 및 서비스 센터로 부품이 유통되는 경우가 많다. 전문 도매업체와 수리점에도 유통되며, 특히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소비자 대상 자동차부품 판매가 증가하는 추세다.

 

관세율


-EU FTA에 따라 슬로바키아의 자동차부품(870899) 관세율은 0%이다


인증


슬로바키아는 EU 회원국으로, EU 전체에서 유효한 모든 자동차부품 관련 규정을 따라야 한다. 따라서, 슬로바키아에 자동차부품 관련 제품을 수출하고 싶다면 반드시 CE 인증을 받아야 한다. 또한, EU 내에서 연간 1톤 이상 제조 또는 수입되는 모든 화학물질에 대해 제조량, 수입량과 위해성에 따라 등록, 평가, 허가 및 제한을 받도록 하는 화학물질 관리 규정(REACH)을 따라야 한다. 아울러 배터리 내 중금속 제한 규정도 따라야 하며, 품질경영시스템의 국제 표준인 ISO 9001, ISO/TS 16949 등을 따라야 한다.

 

시사점

 

슬로바키아의 자동차부품 산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1인당 자동차 생산량과 체계적으로 갖춰진 자동차 제조 기반 등을 바탕으로 슬로바키아 국가 경제의 초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폭스바겐, 기아, 스텔란티스, 재규어·랜드로버와 같은 주요 OEM 기업들과 Tier 1, Tier 2 자동차부품 기업들이 대거 슬로바키아에 진출해 공급망을 형성했고, 슬로바키아뿐만 아니라 유럽 시장 전체를 대상으로 수출하고 있다. 유럽의 배꼽으로 불리는 슬로바키아는 유럽 자동차 공급망의 핵심 허브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최근 환경 이슈에 맞게 기존 내연기관차 생산 중심에서 전기차 생산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다. 즉, 전기차 공급망 구축이 진행되고 있는바, 슬로바키아를 비롯한 유럽 자동차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은 슬로바키아를 진출 거점으로 고려해 봄 직하다.

 


자료: Finstat, Global Trade Atlas, IBIS World, 슬로바키아 통계청현지 언론, KOTRA 브라티슬라바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슬로바키아 자동차부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