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타이어 시장동향
- 상품DB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장성원
- 2025-06-23
- 출처 : KOTRA
-
2024년 사우디 자동차 타이어 시장규모는 약 18억 달러
프리미엄 글로벌 브랜드와 중국산 저가형 브랜드 경쟁구조 뚜렷
HS Code 및 상품명
HS Code
품목 설명
고무타이어 및 타이어튜브(레디알 구조의 것, 바이어스 구조의 것, 기타)
사우디 자동차 타이어 시장동향
글로벌 리서치기업인 유로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타이어 시장은 2022년부터 점차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 중이며, 최근 3년간 17억 달러대 시장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2024년 타이어 판매량은 약 2290만 개로, 2033년 2560만 개까지 증가할 전망이며, 연평균 성장률(CAGR)은 1.2%로 예상된다.
<2019~2024년 사우디 자동차 타이어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유로모니터]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HS코드 401110 기준,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자동차 타이어 수입 규모는 6억9339만 달러로 전년 대비 5.8% 감소했다. 최대 타이어 수입국은 중국으로, 수입액은 3억1015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 태국, 일본, 한국으로, 이 네 국가의 비중만 해도 전체의 86.9%에 달해 아시아 중심 수입구조를 보여준다. 한국은 9171만 달러를 기록하며 4위를 차지했고 전년 대비 수입액이 5.1% 감소했다.
<2022~2024년 사우디 자동차 타이어(HS Code 401110 기준) 주요 수입국 현황>
(단위: US$ 천)
순위
국가/지역
2022년
2023년
2024년
점유율
증감률('23/'24)
-
전체
754,876
735,807
693,392
100.00
-5.76
1
중국
293,962
334,539
310,151
44.73
-7.29
2
태국
84,893
90,577
106,059
15.30
17.09
3
일본
140,471
112,235
94,850
13.68
-15.49
4
한국
111,483
96,663
91,711
13.23
-5.12
5
독일
13,532
15,992
12,901
1.86
-19.33
6
베트남
4,150
6,905
11,049
1.59
60.01
7
인도
13,879
6,872
8,651
1.25
25.89
8
대만
17,670
10,184
7,007
1.01
-31.20
9
미국
12,065
8,928
6,926
1.00
-22.42
10
멕시코
2,848
5,454
5,095
0.73
-6.57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5.28]
경쟁동향
사우디아라비아의 자동차 타이어 시장은 프리미엄 글로벌 브랜드와 중국산 저가 브랜드 간의 이중 구조 경쟁이 뚜렷하다. Bridgestone, Michelin, Continental, Sumitomo 등 일본·유럽계 브랜드는 고온과 거친 도로 환경에 적합한 고품질 제품으로 프리미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SUV, 상용차, 고급 승용차를 타깃으로 하며, 현지 유통 파트너와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기반으로 확고한 신뢰를 구축해 왔다. 반면, 중국은 수입액 기준 1위임에도 불구하고 Linglong, Triangle, Sailun 등 개별 브랜드의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중국산 타이어는 대부분 B2B 또는 OEM 방식으로 유통되며, 소비자 직접 판매보다는 경제형 차량 및 법인 수요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사우디 타이어 시장은 브랜드 가치 중심의 소비층과 가격 중심의 대량 수요층이 공존하는 양극화된 구조를 보여준다.
<사우디 자동차 타이어 시장 주요 기업>
브랜드
내용
Bridgestone
- 회사명: Bridgestone Corp
- 설립연도: 1931년
- 본사 소재지: 도쿄, 일본
- 주요 제품군: SUV, 트럭, 고성능 차량용 타이어
- 시장 포지션: 프리미엄 시장 주도, 고온 환경에 적합한 제품 제공- 직원 수: 약 12만5000명
Michelin
- 회사명: Michelin
- 설립연도: 1889년
- 본사 소재지: 클레르몽페랑, 프랑스
- 주요 제품군: 승용차, 항공, 농기계용 타이어
- 시장 포지션: 고급 승용차 시장에서 강세, 다양한 제품 라인업 보유
- 직원 수: 약 12만5000명Continental AG
- 회사명: Continental AG
- 설립연도: 1871년
- 본사 소재지: 하노버, 독일
- 주요 제품군: 승용차, 상용차, 산업용 타이어
- 시장 포지션: 유럽 OEM 시장에서 강세, 기술력과 품질 우수성 인정
- 직원 수: 약 20만 명Sumitomo corp
- 회사명: Sumitomo Corporation
- 설립연도: 1919년
- 본사 소재지: 도쿄, 일본
- 주요 제품군: 승용차, 트럭, 중장비용 타이어
- 시장 포지션: 중가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가격과 품질로 입지 확보
- 직원 수: 약 10만8000명[자료: 각 회사 홈페이지, 리야드무역관 정리]
유통구조
사우디아라비아의 자동차 타이어 시장은 글로벌 브랜드와 현지 유통 파트너 간의 전략적 제휴를 기반으로 한 직접 유통 모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구조는 브랜드 신뢰도 확보와 안정적인 공급망 운영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형태로 나타난다.
Bridgestone은 일본계 글로벌 1위 타이어 제조사로, 현지에서는 Al-Talayi Company Ltd.와 70년 이상 독점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Al-Talayi는 사우디 전역에 걸쳐 대규모 유통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Michelin은 프랑스 대표 타이어 브랜드로, Juffali Tyres Company와의 협력을 통해 1961년부터 사우디 시장에 진출했다. 2002년 이후에는 합작회사를 설립해 현지 생산 및 공급을 병행하고 있다.
Continental AG는 독일계 브랜드로, Almutlak Trade & Industries와 공식 파트너십을 맺고 승용차 및 상용차용 타이어를 공급 중이다.
Sumitomo Corporation은 일본계 종합상사로, 자체 현지법인을 통해 Dunlop, Falken 브랜드를 유통하고 있으며, 중가 시장을 겨냥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Dunlop은 브랜드 인지도 기반으로, Falken은 성능 중심 포지셔닝을 통해 각기 다른 수요층을 공략하고 있다.
관세 및 인증
사우디아라비아 관세청(ZATCA)에 따르면, 자동차 타이어(HS Code 401110)의 일반관세율은 5%다.<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타이어 (HS Code 401110류) 관세율>
HS 코드
상품명
관세율
4011.10.000000
자동차용(스테이션 왜건 및 경주용 자동차 포함) 타이어
5%
4011.10.100000
관광용 차량용 신품 공기 타이어
5%
4011.10.200000
스테이션 왜건용 신품 외부 공기 타이어
5%
[자료: ZATCA]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자동차용 타이어(HS Code 401110 등)를 수입하거나 유통하기 위해서는 ‘GSO 타이어 규정(Gulf Technical Regulation for Tires)’에 따른 적합성 인증을 반드시 받아야 한다. 이 기준은 사우디를 포함한 GCC(걸프협력회의) 국가들이 공동으로 설정한 기술 표준에 근거하며, 타이어의 안전성, 성능, 에너지 효율을 평가한다. 이 인증을 통해 취득한 제품은 사우디뿐 아니라 UAE,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바레인 등지에서도 유통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인증은 사우디 표준청(SASO)에서 총괄하며, SASO가 운영하는 SABER 전자 플랫폼을 통해 신청 및 발급 절차가 진행된다. 수입자는 SABER에 제품을 등록하고, 지정된 인증기관을 통해 품질마크(Quality Mark, QM) 또는 에너지 효율 라벨(Energy Efficiency Label) 중 하나를 취득해야 한다. 두 인증 중 하나는 필수이며, 시험 성적서, 기술 문서, 제품 이미지 등을 제출해야 한다.
심사는 SASO가 지정한 제3자 평가기관이 수행하며, 타이어의 접지력, 회전 저항, 내구성 등이 평가 대상이다. 기준을 통과하면 인증이 발급되고, 이후 제품은 정식으로 통관과 유통이 가능해진다. 인증 유효기간은 일반적으로 1년이며, 만료 후에는 갱신 절차를 밟아야 한다.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타이어 (HS Code 401110류) 관련 규정>HS 코드
제품 분류
기술 규정
인증서
4011.10.200000
스테이션 왜건용 신품 외부 공기 타이어
GSO 타이어 규정
품질마크 인증서(QM) 또는 타이어용 에너지 효율 라벨
4011.10.100000
관광용 차량용 신품 공기 타이어
GSO 타이어 규정
품질마크 인증서(QM) 또는 타이어용 에너지 효율 라벨
[자료: SABER]
시사점
사우디 정부의 ‘비전 2030’에 따른 인프라 개발 확대, 관광 산업 활성화, 물류·운송 부문에 대한 투자가 본격화되면서, 향후 차량 운행 증가에 따른 타이어 교체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사우디는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 정책의 일환으로 전기차(EV) 보급 확대 및 충전 인프라 구축을 국가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타이어 시장에서도 EV 전용 제품에 대한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한국 타이어 기업은 주요 글로벌 전기차 모델에 OE 타이어를 공급한 경험과 기술 경쟁력을 이미 보유하고 있어, 향후 사우디 시장 진출에 긍정적인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Euromonitor, IMARC Group Report, Global Trade Atlas, ZATCA, SABER, 개별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리야드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타이어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이집트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시장 동향
이집트 2025-06-23
-
2
대만 색조화장품 시장동향
대만 2025-06-23
-
3
파키스탄 중고 건설기계 굴삭기 시장동향
파키스탄 2025-06-22
-
4
중국 사출성형기 시장 동향
중국 2025-06-23
-
5
슬로바키아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슬로바키아 2025-06-23
-
6
케냐 작물보호제 시장 트렌드 및 진출 전략
케냐 2025-06-23
-
1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12-20
-
2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07-09
-
3
2021 사우디아라비아 방산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4
2021 사우디아라비아 재생에너지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5
2021 사우디아라비아 농림식품수산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0
-
6
2021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06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