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년 사우디 엔터테인먼트 및 어뮤즈먼트 엑스포(SEA)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장성원
  • 2025-06-11
  • 출처 : KOTRA

40개국 350개 기업 참가, 1만2000명 이상의 방문객 기록

사우디, 중동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새로운 허브로 부상

2025 사우디 엔터테인먼트 및 어뮤즈먼트 엑스포(SEA Expo)가 2025년 5월 20일부터 22일까지 사우디 리야드 프론트 전시 및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됐다. 올해 행사는 40개국 350여 개 기업이 참가하고, 1만2000명 이상이 방문했다. 


<2025 SEA EXPO 행사개요>

행사명

2025 사우디 엔터테인먼트 및 어뮤즈먼트 엑스포 (SEA)

개최기간

2025년 5월 20일(화) ~ 5월 22일(목)

개최장소

리야드 프론트 전시 및 컨벤션 센터

주최사

dmg events

개최연혁

2019년 1회 개최, 2025년 7회째

참가규모

350개 이상 기업 참가, 40개국, 1만2000명 이상 참여

전시품목

놀이기구, 시물레이터, 워터파크, 아케이드 게임, 엔터테이먼트 컨설팅, 

보안 및 안전장비 등

홈페이지

https://www.saudientertainmentexpo.com/

[자료: SEA EXPO 공식 홈페이지, KOTRA 리야드 무역관 정리]


사우디의 엔터테인먼트 시장


사우디아라비아의 엔터테인먼트 시장은 정부 주도 정책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사우디 정부는 2022년 이후 음악, 테마파트, 스포츠 시설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약 640억 달러를 투자했다. 2025년 사우디 엔터시장 규모는 28억2000만 달러이며 2030년에는 46억3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사우디아라비아 엔터테인먼트 시장은 국제적인 엔터테인먼트 대기업과(AMC, Six Flags, Cirque du Soleil) 현지 기업(Al Hokair Group, Balubaid Group)의 전략적인 파트너십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주요 사우디 정부 엔터테인먼트 산업 투자 내용>

연도

투자자

투자금액

투자내용

비고

2022년

SEVEN

133억 달러

사우디 전국 14개 도시 

21개 통합 엔터테이먼트 시설 개발

SEVEN은 2024년 5월부로 QIC 산하 자회사로 통합

2022년

Savvy games group

378억 달러

- 게임 퍼블리셔 인수

- 개임 산업 지분 투자

- 자체 개발 및 인프라 구축

- 스타트업 투자 등

 

2022년

NEOM

97억 달러

사업명: 트로제나

- WeBuild 메인댐 건설 계약
(향후 스키, 숙박, 레저, 전력 등 개별 시설 수주에 따라 투자금이 추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NEOM 예산(5000억 달러)의 

약 1.9%가 투입

2023년

QIC

27억 달러

(건설 계약 규모)

 

사업명: 키디야 시티

- Six Flags Qiddiya 테마파크

- Aquarabia 워터파크

- e스포츠 및 모터스포츠 지구

- 60만 명 이상 주거 및 상업지구

2025년 2월 기준 총 투자 규모 111억 달러

[자료: KOTRA 리야드무역관 자체 취합]


SEA EXPO 현장 스케치


이번 엑스포는 놀이기구 및 시뮬레이터, 워터파크 및 수상 놀이 시설, 아케이드 게임 및 인터랙티브 디바이스, 가족형 엔터테인먼트 시설, 보안 및 안전 장비, 시설 관리 장비, 식음료 솔루션, 엔터테인먼트 컨설팅 및 설계 서비스 등 8개 주요 섹션으로 구성됐으며, 전 세계 40개국에서 35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해 최신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SEA EXPO 현장 사진>

 

[자료: KOTRA 리야드무역관 직접 촬영]


사우디 기업 42개사를 제외한 308개 참가 기업 중 중국 기업이 128개로, 사실상 외국참가기업의 절반을 차지하며 가장 높은 참가율을 기록했다. 그 뒤를 미국(33개사), UAE(29개사), 영국(25개사), 독일(23개사), 이탈리아(19개사)가 이었다. 또한 SEA Summit’ 프로그램에서는 글로벌 업계 리더 75명 이상이 연사로 나섰다. 이들은 사우디의 엔터테인먼트 인재 양성, 실내스키 테마파크 개발, 공공-민간 협력을 통한 대규모 프로젝트 구축, 스포츠·관광·엔터의 융합, 그리고 사우디 문화유산을 활용한 글로벌 콘텐츠 개발 등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SEA Summit 현장사진>

[자료: KOTRA 리야드무역관 직접 촬영]

 

2025 SEA EXPO를 통해 본 중동 엔터테인먼트 시장 진입 전략


이번 2025 SEA EXPO에 참가한 주요 한국기업은 전자다트 전문기업 ㈜피닉스다트다. 해당 회사는 자체 개발한 스마트 다트 시스템으로 이미 29개국에 수출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은 글로벌 브랜드로, 사우디아라비아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해 2024년 사우디 시장에 진입했다.


종교적 이유로 주류 소비가 금지된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기존 방식과는 다른 형태의 시장 접근 전략이 요구된다KOTRA 리야드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피닉스다트의 최치선 이사는 “사우디는 기존 진출 국가들과는 문화적 특성이 매우 다른 시장인 만큼, 새로운 방식의 맞춤형 현지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라며 “기존 펍 기반의 진출 전략을 사우디 맞춤형으로 변경하고 스포츠로서의 다트문화를 사우디에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우디가 진입이 어려운 시장이지만, 구매력이 있는 시장인 만큼, 여러 루트를 모색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사우디아라비아 국민들은 소득의 평균 6.2%를 여가 및 엔터테인먼트에 지출하고 있으며, 이는 영국 가구의 평균 지출 비율인 4.2%보다 높은 수준이다. 사우디의 연간 엔터테인먼트 지출은 약 16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아랍에미리트(UAE)의 8억 달러, 카타르의 3억 달러와 비교해 각각 2배, 5배 이상 많은 수치로 사우디 소비자들이 프리미엄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 대한 강한 수요와 지출 의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SEA EXPO 한국 참가기업 부스>

[자료: KOTRA 리야드무역관 직접 촬영]


시사점


2025 SEA EXPO 참관을 통해 확인한 가장 인상적인 점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정부 주도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전환시키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Vision 2030 프로젝트 하에서 사우디 정부는 64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고, 엔터 전담 기관(GEA) 설립, PIF 주도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본격적인 산업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Qiddiya, NEOM, Red Sea 프로젝트 등 세계적 규모의 엔터 인프라를 구축 중이다. 앞으로 더 많은 한국 기업들을 사우디 엔터 시장에서 마주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자료: SEA 엑스포 홈페이지, Mordor Intelligence, Esports Insider, Seven 및 Qiddiya 홈페이지, KOTRA 리야드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사우디 엔터테인먼트 및 어뮤즈먼트 엑스포(SEA) 참관기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