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페루 냉방기기 부품 시장동향
  • 상품DB
  • 페루
  • 리마무역관 한규민
  • 2025-06-10
  • 출처 : KOTRA

최근 2년간 페루 내 고온 현상으로 냉방기기 및 부품 수요 증가

2024년 페루 냉방기기 부품 수입액 2,800만 달러, 전년 대비 18% 성장

- 에너지 효율성 및 친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HS CODE 및 상품 설명

 


HS CODE

설명

8415

공기조절기(동력구동식 팬과 온도와 습도를 변화시키는 기구를 갖춘 것으로 한정하며, 습도만을 따로 조절할 수 없는 것도 포함한다)

8415.90

부분품

 

시장동향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에 따르면, 2024년은 중남미 지역에 유례없는 고온 현상이 나타난 해로 기록됐다. 중남미 지역의 평균 기온은 1990년까지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으나, 1991년 이후 가파르게 상승하기 시작해 2024년에는 평균기온은 1991~2020년 평균 대비 0.9도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관측 이래 가장 더운 해로 평가됐다.

특히 페루의 2024년 연평균 기온은 20.3도로 장기 평균 대비 1.18도 상승했다. 이는 종전 최고 기록이었던 2023년을 넘어선 결과로, 60년 만에 가장 더웠던 해로 공식 기록됐다. 페루 내 일부 지역에서는 40도를 초과하는 극심한 폭염이 관측되기도 했다.

 

<중남미 지역 기온 변화 추세>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WMO.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68pixel, 세로 494pixel

[자료: 세계기상기구(WMO), 2025.03]

 

이러한 급격한 기후 변화에 따라, 페루 내 냉방기기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2025년 페루 에어컨 시장 규모는 약 1999만 달러로 추정되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5.6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리마 상공회의소(Cámara de Comercio de Lima, CCL) 산하 가전제품 유통업협회(Gremio de Comerciantes de Artefactos Electrodomésticos) 또한 최근 3년간 고온 현상이 냉방기기 수요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으며, 20251분기 기준 에어컨 판매액이 전년 동기 대비 약 5~8% 성장한 것으로 추정했다.

 

냉방기기 수요의 확대는 유지·보수용 부품 수요 증가로도 이어지고 있다. 냉방기기 부품 주요 수입업체 중 하나인 T사의 블라디미르(Vladimir) 관리자는 KOTRA 리마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고온 현상으로 인해 병원, 쇼핑센터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냉방기기 관리가 강화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온도조절 기기 고장 시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식품 및 제약 산업에서 관련 부품 수요가 높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몇 년간 냉방기기 및 관련 부품 시장은 연간 1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자사는 다양한 혁신 제품 수입을 계획 중이라고 덧붙였다.

 

냉방기기 부품 중 냉난방 설비의 핵심 구성요소인 HVAC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다. HVAC는 난방(Heating), 환기(Ventilation), 공기 조화(Air Conditioning)를 통합하는 시스템으로, 실내 공기질과 온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사무실, 산업 시설, 병원, 학교, 호텔, 주택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아울러,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부품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제어 시스템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고효율 팬과 모터 등은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하며, IoT 기반의 스마트 부품은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과 제어를 가능하게 해 전반적인 운영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친환경적이면서 기술 집약적인 냉방기기 부품 시장도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수입 동향

 

페루는 냉방기기 부품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페루 내 냉방기기 부품 관련 업체는 주로 조립 및 사후 수리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는데, 부품 생산을 위한 제조 인프라가 미비하여 상당량을 해외로부터 조달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3년간 페루의 냉방기기 부품 수입액은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2023년에는 전년 대비 32.8% 증가한 2368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4년에도 수입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며 전년 대비 18.3% 증가해 2800만 달러를 넘어섰다.

 

<페루의 냉방 부품 주요 수입국(HS 841590 기준)>

(단위: US$ ,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점유율

(2024)

1

중국

7,704

13,293

15,163

54.1

2

대한민국

3,521

3,696

4,089

14.6

3

미국

4,360

3,374

3,123

11.2

4

말레이시아

34

49

1,702

6.1

5

스페인

561

568

1,048

3.8

6

태국

54

556

558

2.0

7

콜롬비아

459

315

371

1.3

8

멕시코

223

533

308

1.1

9

독일

59

96

285

1.0

10

이탈리아

348

386

220

0.8

합계

17,833

23,680

28,003

100

[자료: Veritrade, KOTRA 리마 무역관 가공, 2025.05]

 

2024년 페루 냉방기기 부품 수입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한 국가는 중국으로, 1516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54.1%를 차지했다. 매해 냉난방 부품 수입 시장이 성장함과 동시에 중국으로부터 수입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주로 HVAC 시스템의 핵심 부품인 팽창밸브, 응축기, 압축기 등이 수입되고 있다. 그러나 통계상의 중국 점유율에는 우리나라 주요 기업들의 제품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기업들이 제3국 생산기지를 통해 제조 후 페루로 수출하는 경우가 많아, 제3국 생산품을 포함한 국내 브랜드 부품의 실제 시장 기여도는 표면적인 수입 통계보다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미국은 2022년 수입액 436만 달러로 시장 점유율 2위를 기록했으나, 이후 수입 규모가 감소세로 전환되며 2024년에는 점유율 11.2%, 3위로 내려갔다. 반면, 대한민국은 최근 몇 년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며 2024년 점유율 14.6%를 기록, 전체 2위로 올라섰다.

 

경쟁동향

 

페루의 냉방기기 부품 시장은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진출하면서 치열한 경쟁 구도를 보이고 있다. 시장 내 주요 경쟁 요소로는 제품의 성능과 가격, 내구성, 사후 서비스 품질 등이 꼽힌다. 한국은 현재 페루 냉방기기 부품 시장에서 2위 수출국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지만, 최근 가격 경쟁력이 높은 국가들과 기술 혁신을 앞세운 기업들의 시장 진입이 확대되면서 경쟁 구도는 점차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로 중국에서 냉방기기 부품을 수입하고 있는 FCarlos(까를로스) 매니저는 KOTRA 리마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페루 에어컨 부품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격 경쟁력과 브랜드 인지도이지만, 최근 들어 혁신 기술력, 친환경성 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 세계 시장 흐름에 맞춰 페루에서도 에너지 효율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주요 글로벌 경쟁 기업들은 이에 대응하고자 에너지 절감 기술을 적용한 신제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아울러 전 세계적으로 환경 보호에 대한 규제가 점차 강화됨에 따라, 친환경 소재 활용, 탄소 배출 저감 기술 도입 등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제품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는 앞으로 시장 경쟁력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페루 내 주요 경쟁 기업>

기업명

내용

 

DAIKIN

- 본사 소재국: 일본

- 1924년 설립됐으며 에어컨, 냉매, 압축기 등 공조 시스템(HVAC)의 핵심 부품을 자체 개발 및 생산 중

- 환경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냉매 개발을 강조하고 있으며, 현재 말레이시아, 중국, 미국 등 다양한 국가를 통해 페루로 수입되고 있음

 

YORK®

- 본사 소재국: 미국

- 1874년 설립됐으며 압축기, 냉매 부품, 제어 부품 등 HVAC 부품을 자체 생산하여 수출하고 있음

- 가정용, 산업용 부품 모두 취급하고 있으며, 높은 A/S 품질 서비스에 대해 홍보하고 있음

 


LENNOX

- 본사 소재국: 미국

- 1895년 설립됐으며, 전 세계적으로 냉난방, 환기, 냉장 솔루션을 제공하고, 특히 북미 시장에서 큰 브랜드 파워를 보유하고 있음

- 미국, 멕시코, 중국 등에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알루미늄 기반 열교환기 같은 독자적인 기술을 통해 제품의 내구성과 친환경성을 높임

 

KOOL AIR

- 본사 소재국: 스페인

- 1968년 설립됐으며, 공조 시스템(HVAC) 관련 전문 제조업체로 전 세계 30여 개 국가의 수출 중

- 자체 R&D 사업을 통해, 병원 등 특수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제품 개발 중

 

Midea

- 본사 소재국: 중국

- 1968년 설립됐으며, 60개 이상 해외 지사와 200개 이상 자회사를 운영하고 있음

- 컴프레서, 모터 등 HVAC 시스템 관련 부품을 자체 개발 및 생산하고 있으며, 스마트공장과 R&D 및 테스트 센터를 운영하며 품질 개선에 집중하고 있음

 

LG전자

- 본사 소재국: 대한민국

- 페루에서 냉방기기 시장을 주도하는 한국 브랜드 중 하나로, 공감지능(Affectionate Intelligence) AI 기술 등 다양한 기술 혁신을 통해 효율적 에너지 관리, 친환경, 사용자 맞춤형 온도조절 서비스 등 제공

 

삼성전자

- 본사 소재국: 대한민국

- 페루에서 냉방기기 시장을 주도하는 한국 브랜드 중 하나로, 최근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인 독일 플랙트그룹(FlaktGroup)을 인수하는 등 글로벌 냉난방공조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입 중

[자료: Veritrade, 각 기업 홈페이지 등 KOTRA 리마무역관 가공, 2025.05]

 

유통구조

 

페루의 냉방기기 부품 유통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업별 전략 및 시장 수요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 MIDEA, DAIKIN 등 다수의 글로벌 기업은 공식 유통업체를 지정하여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들 유통사는 단순한 판매에 그지 않고 전문 기술 지원, 보증 관리, 설치 및 유지보수 서비스 등 통합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냉방기기 유지보수 전문 서비스 업체를 통한 간접 유통 경로도 활성화되어 있다. 해당 업체들은 도매상으로부터 부품을 구매한 후 서비스 과정에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된 부품 비용은 최종 소비자에게 직접 청구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냉방기기 부품(HS 841590)에 대한 기본 관세율은 0%로 무관세 품목에 해당된다. 다만, 페루 현지에서 유통 및 판매 시 부가가치세(IGV)18% 적용된다.

 

냉방기기 개별 부품에 대한 별도의 수입 제한이나 인증 요건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에어컨 기기 본체(HS 841520)의 경우, 페루 법(DS N° 033-2000-ITINCI, RM N° 277-2001-ITINCI, DS N° 003-2015-PRODUCE)에 따라 제품 인증이 의무화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내장된 부품의 사양이 인증 통과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오존층 파괴 물질(ODS)이 포함된 장비(에어컨, 냉장고 등) 수입 시 페루 생산부(PRODUCE) 산하 산업환경총괄국(Direccción General de Asuntos Ambientales de Industria, DGAAMI)의 사전 승인이 필요하며, 몬트리올 의정서 키갈리 개정 이행에 따라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높은 수소불화탄소(HFC)가 포함한 제품은 규제 대상이다.

 

시사점

 

리마 상공희의소(Cámara de Comercio de Lima, CCL)2025년 가전제품 판매가 전년 대비 5%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역내 주요국 대비 낮은 물가상승률과 기준금리 등으로 민간 소비가 활성화될 것으로 보이며, 최근 지속되는 고온 현상으로 냉방기기 및 관련 부품에 대한 관심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직까지 페루 냉방기기 부품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가격 경쟁력이다. 그러나 에너지 효율성, 친환경성, 스마트 제어 기술 등 혁신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단순히 저렴한 제품보다는 기술력 대비 가격을 중시하는 소비자층이 조금씩 확대되고 있다. 한국 제품은 이미 높은 기술력으로 인정받고 있는 만큼, 페루 내 주요 유통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시장 접근성과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고, 고효율·친환경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함으로써 시장 내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Veritrade, 리마 상공회의소(CCL), 세계기상기구, Gestion 기사 등 KOTRA 리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페루 냉방기기 부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