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 명 | 고압전선 | 최종 업데이트 | 2025-06-10 |
---|---|---|---|
MTI CODE | HS CODE | 854460 | |
국가 | 미국 | 무역관 | 달라스무역관 |
제도 명 | UL(Underwriters Laboratories) | ||
인증 구분 | 임의 | 인증 유형 | 현행 |
인증마크 |
|
||
도입시기 | 1894년 | ||
근거 규정 |
o CFR 1910.303(a): OSH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에서 제정, 전기설비에 사용되는 모든 장비와 자재는 ‘인정된 실험실(Nationally Recognized Testing Laboratory, NRTL)’에서 시험/인증되어야 함을 명시, UL(Underwriters Laboratories)은 OSH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미국 산업안전보건청)으로부터 NRTL로 지정
o NEC(National Electrical Code, NFPA 70): NEC의 대표적인 조항(예: 110.2, 110.3(A), 110.3(B), 90.7 등)에서는 전기기기나 자재를 사용할 때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검증된 시험기관(Testing Laboratory)에서 인증(Approved, Listed, Labeled) 받은 제품만 사용하도록 규정 |
||
제도 내용 |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인증 제도는 미국의 대표적인 제품 안전 시험 및 인증 시스템으로, 전기·전자 제품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제품 안전에 관한 표준개발, 인증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여, 사회 전반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한 생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
이에 공공기관, 대형 건설 프로젝트, 에너지 설비, 정부·지자체 발주 사업 등에서는 입찰 참여나 납품 자격을 심사할 때 UL 인증 보유 여부를 중요하게 평가하는 경우가 있으며, 미국 시장 공공 및 민간 프로젝트의 입찰과 조달 과정에서 UL인증 보유 제품 신뢰 및 선호 |
||
품목정의 | 고압 절연 전선 및 케이블(1,000V 초과, 커넥터 부착 여부 무관) | ||
적용대상품목 | 고압전선 | ||
확대적용품목 | 전력기자재 | ||
인증절차 |
(1) UL 공인 인증 기관에 인증 서류 제출
(2) 인증기관향 샘플 및 추가 정보 제출 후 제품 구조 검토 및 시험 실시 (3) 인증부적합 사항 시정조치 및 확인 (4) 인증서 발행 및 사후 관리 |
||
시험기관 | UL Korea 또는 UL Korea가 지정한 시험기관 | ||
인증기관 | UL, UL Korea | ||
유의사항 | UL은 미국 노동부 산하의 OSHA는 UL을 대표적인 NRTL(National Recognized Testing & Laboratory)로 지정되어 있으며, 미국 내 공공기관, EPC 등 주요 발주처로 부터 높은 신뢰를 받고 있으나, Intertek 등 기타 NRTL 인증기관과 비교했을 때 비용이나 인증 절차의 효율성 측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타깃 바이어와의 협의를 통해 인증 기관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 |
구분 | 인증기관 #1 |
---|---|
기관 명 | UL Korea |
홈페이지 | https://korea.ul.com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82-2-2009-9100 |
팩스번호 | |
이메일 | customerservice.kr@ul.com |
기타 |
제품별 인증 관련 문의는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문의 가능
* 링크 : https://www.ul.com/ko/contact-us |
구분 | 시험기관 #1 |
---|---|
기관 명 | UL Korea |
홈페이지 | https://korea.ul.com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82-2-2009-9100 |
팩스번호 | |
이메일 | customerservice.kr@ul.com |
기타 |
제품별 인증 관련 문의는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문의 가능
* 링크 : https://www.ul.com/ko/contact-us |
인증절차도 |
---|
|
구분 | 시험 |
---|---|
시험규격 혹은 시험항목 |
고압전선(High Voltage Cable)에 적용되는 UL 시험규격은 UL 1072, UL 44, UL 854, UL 1581 등으로, 실제 제품의 전압 등급, 구조, 용도에 따라 적합한 규격 상이
또한 고압전선의 종류와 용도, 구조(예: 도체 재질, 절연재, 차폐 구조 등)에 따라 적용되는 규격이 세분화될 수 있고 세분화된 제품별로 요구되는 시험 규격 및 세부 시험항목이 달라질 수 있어, 사전에 인증 기관측에 구체적인 제품 정보를 전달하고 해당 제품에 적용되는 정확한 시험 규격과 시험 항목 등에 대한 확인 필요 |
시험 비용 | 품목별, 시험 항목별 상이 |
소요 기간 | 제품의 종류, 구조, 시험 항목, 샘플 준비 상황, 사후관리(공장심사) 일정 등에 따라 2개월에서 6개월 정도 소요 |
구분 | 인증 |
---|---|
초기공장심사 비용 | - |
인증 비용 | 품목별, 시험 항목별로 상이하여 인증기관에 직접 문의 필요 |
소요 기간 | 품목별, 시험 항목별로 상이하여 인증기관에 직접 문의 필요 |
인증 유효기간 |
o UL 인증은 사후관리(Follow-Up Service) 시스템을 통해 “계속 유효” 형태로 관리된다는 특징이 있어, 구체적인 인증 유효 기간은 없으나, 정기적인 사후관리(Follow-Up Service, 공장 심사 등)를 계속 통과해야만 UL 마크 사용 유지 가능
o 제품 자체가 단종되거나, 제품 규격·구조가 변경된 경우 신규 인증 필요 |
사후관리 비용 |
o 제품 유형, 제조 공장 수, 인증 범위, UL 마크 사용 방식(Type R 또는 Type L) 등에 따라 상이하며, 연간 유지 비용(Annual Maintenance Fee)은 각 기업이 보유한 UL 인증 개수에 근거해 산출
o 또한 정기 공장심사 비용(Follow-Up Inspection Fee), UL 마크 구매 비용(UL Marking Fee), 기타 시료 시험비용(Sample Test Fee), 수정 조치 비용(Corrective Action Fee) 등 부대 비용 추가 발생 가능성 유의 필요 |
자료원 | UL, UL KOREA |
필요 서류 |
1. UL 신청서 (Request Application Letter): 신청자 정보, 제품명, 모델명, 인증 목적 등 기본 정보 기재, 에이전트를 이용할 경우, 에이전트 명칭과 주소 기입 필수
2. 제품설명서(제품 개요): 제품의 용도, 주요 기능, 작동 원리 등 이해를 돕는 설명자료로 카탈로그, 브로셔, 사진 등 포함 가능 3. 부품 리스트: 제품에 사용된 모든 부품 명칭, 제조사, 규격, 인증 정보 등에 대한 정보 4. 제품 도면 및 회로도: 외형 치수, 구조도, 내부 배치도 등 제품 구조를 알 수 있는 도면 등 5. 주요 부품의 시험성적서 또는 인증서: 이미 UL 또는 기타 NRTL 인증을 받은 부품 사용 시 해당 증빙자료(사본), 기타 인증 등 6. 제조 공장 정보: 제조 공장 명칭, 주소, 생산설비 현황, 품질관리체계 등 7. 기타 추가 서류: 특수 기능/안전 특성에 대한 시험 성적서(있는 경우), (예: RoHS, REACH 등), 사용 설명서, 설치·운영 매뉴얼, 환경규제 준수 관련 서류(필요시) |
---|---|
유의 사항 |
o 인증을 받은 후에 제품 구조, 부품, 제조 공정 등에 변경이 발생할 시 UL에 변경사항을 통보 필수, 필요시 재시험 또는 인증서 갱신
o 정기 심사 불응이나 부적합 시 UL 인증이 정지·취소 o UL 인증을 받은 모델, 사양, 생산공장에만 UL 마크 사용 가능, 인증 범위를 벗어난 임의 UL 마크를 부착은 법적 책임 및 인증 취소 사유 o UL 인증만으로 모든 조달·입찰 자격이 자동으로 주어지는 것은 아니며, 발주처별로 추가 인증, 현지 규정, 추가 문서 요구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발주처별 요구조건은 반드시 사전에 확인 |
기타 | |
첨부 파일 |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고압전선)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트럼프 관세 여파에 美 대두·옥수수 수출 차질…한국 식품·사료·에너지 시장 영향
미국 2025-06-10
-
2
농약
캐나다 2025-06-10
-
3
필리핀 철강 시장 동향
필리핀 2025-05-30
-
4
차량용 배터리 외 자동차부품
아랍에미리트 2025-06-10
-
5
일반 화물자동차 타이어
중국 2025-06-10
-
6
관세 완화에도 부담 여전…美 유통·제조업 ‘보수 경영’ 나선다
미국 202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