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관세 여파에 美 대두·옥수수 수출 차질…한국 식품·사료·에너지 시장 영향
- 트렌드
- 미국
- 뉴욕무역관 정진수
- 2025-06-10
- 출처 : KOTRA
-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중국 수출 물량 줄줄이 취소
중국의 미국산 수입 감소로 한국에 간접 피해 예상
미국산 의존도 높은 품목 수입처 다변화 필요
HS Code: 옥수수(1005.90), 대두(1201.00)
관세 영향으로 미국 농가에 직격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로 미국 농수산물 수출에 직접적인 영향이 미치고 있다. 미국 농업 운송 협회(Agriculture Transportation Coalition, AgTC)에 따르면, 옥수수와 대두 같은 농산물부터 돼지고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품목의 수출이 취소되면서 미국 농가가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 미국 농산물의 최대 수입국인 중국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한 보복 조치로 미국산 농산물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에 중국 바이어들이 미국 농산품 구매를 줄이거나 아예 주문을 취소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AgTC는 4월 마지막주에 1만 2000톤의 돼지고기 주문이 취소됐으며, 이는 2020년 팬데믹 이후 가장 큰 규모의 돼지고기 수출 취소 사례라고 밝혔다. 목재 회사를 운영중인 A씨는 “주문 취소와 재고량 변화로 인해 ‘해방의 날(4월 2일 상호관세 발표일)’ 이전에 비해 제품 가치가 약 20% 하락했다”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부 직원을 해고했으며, 비용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내 수요는 일정 수준에서 안정적이며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으로 수출되던 물량 전체를 소화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덧붙였다.
해상 물류 차질, 미국 농산물 수출에도 부정적 영향
해상 물류 차질 역시 상황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해방의 날’ 이후 중국발 물동량이 급감하면서, 반대로 극동 아시아로 향하던 신선식품 배송 선편 68편에 블랭크 세일링(Blank Sailing)*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수출이 가능한 선복량은 미국으로 향하고 있거나 이미 입항한 선박에 한정되는 상황이다. 물류사에 근무중인 B씨는 “남아 있는 선복을 확보하려면 가장 비싼 프리미엄을 지불해야 할 것”이라며 “미국에서 수출하는 농산물은 단가가 낮은 품목이 많기 때문에 급등한 물류비를 감당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라고 밝혔다. 4월 둘째주 기준 미-중 양국 간 운항 선편 수는 전주 대비 22.2%, 전년 대비 44%가 감소했다. B씨는 “지난 몇 주간 중국에서 수입하는 물량을 취소하거나 변경하는 추세였다면, 이제는 미국발 수출 물량에 대한 취소나 변경이 증가하는 트렌드”라고 설명했다. AgTC의 관계자는 “물류사들이 중국행 화물을 일본, 두바이, 대만 등으로 우회하라는 통보하고 있다”며, “중국행 물량을 대체 소화할 수 있는 항구는 현실적으로 없다”고 지적했다. 극동아시아로 향하는 선복량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한국 수출입 물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B씨는 “올해 들어 이미 지난 3년 평균보다 낮은 수출량을 기록하고 있는데, ‘해방의 날’ 이후 중국행 물동량이 줄면서 블랭크 세일링이 잦아지거나 항로 취소, 감편도 빈번해지고 있다”며, “이 여파로 한국행 선복량도 감소하거나 비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더불어, 올 10월부터 중국 선박에 대한 입항세가 부과될 것으로 예고돼돼 극동아시아향 물류 사정은 더욱 불안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 운송 수요나 운임이 급감할 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정된 운항을 취소하는 것
<미국 월별 농산물 컨테이너 수출 동향>
(단위: TEUs)
[자료: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중국, 트럼프 1기 시절 미국산 대두 수입 줄이며 미국 농가에 타격
미국 농가는 이미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긴장으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바 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산 대두 수입을 중단했다. 미국 대두 최대 수출처였던 중국과의 거래가 중단되면서 대두 재배 농가는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손실을 입었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도산 위기에 처한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230억 달러에 달하는 보조금을 지급했다. 이후 중국은 대두 수입처를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로 다변화했고, 미국산 대두 수출이 원활하지 않자 일부 농가가 재배 작물을 옥수수나 기타 작물로 전환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당선이 확정된 지난 2024년 말부터 중국은 미국산 옥수수와 대두의 예약 구매를 취소했고, 2025년 1월 이후에는 예약 구매를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해관총서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3월 기준 미국산 닭고기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80%, 면화는 90% 감소했다. 옥수수는 2024년 1분기 대비 2025년에 무려 99% 급감했다.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의존도는 2017년 40%에서 2024년에는 20%까지 낮아졌다.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아르헨티나 수출업체와 약 9억 달러 규모의 대두, 옥수수, 식물성 기름의 구매 의향서를 체결했다.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마찰에 대비해 일찌감치 농산물 수입처 다변화해 온 사실이 드러나면서, 미국 농산물 업계의 우려는 더욱 깊어지고 있다.
대미 농수산물 수출 동향
미 농무부(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에 따르면, 2024-2025 시즌 기준 미국은 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의 31%를 생산했다. 이 외에도 대두 28%, 치즈 29%, 호두 23%, 닭고기 21%, 소고기 20%를 생산하며 전 세계 주요 농축산물의 생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4-2025 시즌 미국의 주요 농수산물 전세계 점유율>
[자료: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우리나라는 미국산 옥수수의 주요 수출 대상국으로 멕시코, 일본, 콜롬비아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대한국 수출액은 6억9918만 달러로 전년 대비 2.5배 증가했다. 2024년 한국 옥수수 수입 시장에서 미국은 3위 수입국으로 250만 톤(전체 수입량의 22%)을 공급했다. 대두의 경우, 우리나라는 미국의 12번째 수출 대상국이다. 그러나 반대로 한국의 입장에서 보면, 2024년 한국의 대두 수입 시장에서 미국은 1위 공급국으로, 총 58만 톤(전체 수입량의 50%)을 수입해 대미 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최근 3년간 미국 옥수수 수출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23 vs '24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18,702,129
13,266,864
14,056,057
100.00
100.00
100.00
5.95
1
멕시코
4,963,439
5,435,248
5,669,869
26.54
40.97
40.34
4.32
2
일본
3,018,299
2,085,390
2,788,576
16.14
15.72
19.84
33.72
3
콜롬비아
962,203
1,140,241
1,564,966
5.14
8.59
11.13
37.25
4
대한민국
515,689
278,962
699,177
2.76
2.10
4.97
150.64
5
캐나다
1,337,755
671,211
449,102
7.15
5.06
3.20
-33.09
6
대만
270,135
252,767
385,039
1.44
1.91
2.74
52.33
7
중국
5,211,896
1,632,831
330,932
27.87
12.31
2.35
-79.73
8
과테말라
296,481
272,355
289,414
1.59
2.05
2.06
6.26
9
스페인
156,665
12,789
247,683
0.84
0.10
1.76
1836.67
10
사우디 아라비아
249,453
184,408
242,010
1.33
1.39
1.72
31.24
주: HS Code 1005.90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5.8.]
<최근 3년간 미국 대두 수출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23 vs '24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34,456,927
27,785,142
24,570,059
100.00
100.00
100.00
-11.57
1
중국
17,920,463
15,056,573
12,761,370
52.01
54.19
51.94
-15.24
2
멕시코
3,645,418
2,791,893
2,304,737
10.58
10.05
9.38
-17.45
3
인도네시아
1,245,134
1,251,130
1,257,531
3.61
4.50
5.12
0.51
4
독일
1,330,192
1,720,547
1,048,411
3.86
6.19
4.27
-39.07
5
이집트
1,939,131
477,855
1,010,529
5.63
1.72
4.11
111.47
6
일본
1,832,293
1,370,312
1,003,546
5.32
4.93
4.08
-26.77
7
이탈리아
385,798
675,392
639,882
1.12
2.43
2.60
-5.26
8
대만
1,094,686
622,294
603,363
3.18
2.24
2.46
-3.04
9
베트남
390,516
414,654
489,035
1.13
1.49
1.99
17.94
10
방글라데시
382,523
303,703
348,896
1.11
1.09
1.42
14.88
11
튀르키예
120,750
37,252
336,014
0.35
0.13
1.37
802.01
12
대한민국
462,083
320,504
325,577
1.34
1.15
1.33
1.58
주: HS Code 1201.00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5.8.]
시사점
선물 거래소 CME Group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2025년 시즌 동안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대두 선물을 전혀 구매하지 않았다. CME Group의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중국은 2024-2025년 시즌에 2000만~2200만 톤의 대두를 수입해야 수요를 맞출 수 있으나, 여러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미국산 농수산물 수입을 줄이고 있는 상황이다. CME Group은 지난해부터 중국이 브라질산 대두 수입을 늘려왔으며, 2025년에는 브라질의 대두 생산량 증가로 인해 중국의 수요를 대부분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대두를 수입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분석된다. 문제는 이 같은 수급 변화가 한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미국에서 중국으로 향하는 컨테이너선이 줄어들면, 전체적으로 극동아시아행 농산물 선복도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한국이 미국산 대두를 수입하기 위한 선복을 확보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브라질산 대두의 예상 생산량이 중국 수요에 집중될 가능성이 커, 한국이 브라질산 대두를 확보해 수입하는 것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두는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돼 우리 생활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주로 탈지대두박 형태로 가공돼 배합사료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며, 이 과정에서 얻어지는 기름은 정제해 식용유로 활용된다. 또한 한식에 많이 사용되는 장류(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와 두부, 두유를 제조하는데 핵심적인 원료로 쓰인다. 이처럼 대두는 식품 원료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농가에서 가축의 사료로도 널리 이용된다. 대두와 옥수수는 잘게 분쇄돼 가금류와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며, 이는 국내 축산물 가격 형성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대두와 옥수수는 정제과정을 거쳐 바이오 디젤과 바이오 에탄올과 같은 친환경 에너지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산업 전반에 걸쳐 중요한 자원으로 꼽힌다. 그러나 2022년도 식품수급표에 따르면 대두의 국내 자급률은 7.7%에 불과해 사실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한국은 대두와 옥수수를 포함한 미국산 농산물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고려해, 글로벌 생산 동향 및 수급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입처 다변화 및 대체 품목 발굴을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할 시점이다.
자료: CNBC, Bloomberg, Wall Street Journal, CME Group, Agriculture Transportation Coalition,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Global Trade Atlas, 한국 무역 협회, KOTRA 뉴욕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트럼프 관세 여파에 美 대두·옥수수 수출 차질…한국 식품·사료·에너지 시장 영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베트남 스마트시티, 기술과 거버넌스 수출의 새로운 무대
베트남 2025-06-10
-
2
미국 주도 AI 데이터센터 빅뱅과 한국 기업의 기회
미국 2025-06-10
-
3
미얀마인들 마음속으로 자리 잡는 K-푸드 열풍
미얀마 2025-05-30
-
4
UAE 스타트업 진출 및 투자 가이드
아랍에미리트 2025-06-02
-
5
멕시코 전기차 시장, 아시아·유럽 기업이 주목하는 이유
멕시코 2025-06-10
-
6
2025년 상하이 경제발전 목표의 중점은?
중국 2025-06-10
-
1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2
2025년 미국 조선업 정보
미국 2025-05-08
-
3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4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