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멕시코 섬유 시장동향
- 상품DB
- 멕시코
- 멕시코시티무역관 박서영
- 2025-06-10
- 출처 : KOTRA
-
흡습속건, 향균, UV방지, 스포츠웨어용 등 고기능성 섬유 수요 커지는 중
'24년 12월부 섬유제품에 부과된 임시 관세 동향 주시 필요
상품명 및 HS코드
폴리에스테르(합성 스테이플 섬유)의 HS코드는 5503.20이다. 카드(card), 코움(comb), 그 밖의 방적 준비 처리한 것은 제외한다. 카드(card)는 원섬유를 고르게 풀고, 불순물을 제거해 섬유를 서로 평행하게 정렬시키는 공정이며 코움(comb)은 카딩(carding)이후 더 정밀하게 짧은 섬유와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뜻한다.
시장 규모 및 동향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 멕시코 섬유산업협회(CANAINTEX) 등 다양한 산업 보고서를 종합하면 2025년 기준 멕시코의 섬유 제조 시장은 약 150~175억 달러로 추산된다. 2025년에서 2030년 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은 3~5.4%로 전망되며 멕시코주, 푸에블라, 이달고, 과나후아토, 코아우일라 등이 주요 생산 지역으로 꼽힌다. 최근 멕시코 섬유 시장 내에서 CAD·CAM등을 활용해 디지털 설계와 연계된 첨단 섬유 기술의 도입, 고성능 섬유(향균, 방수, 자외선 차단 등)의 도입 등으로 인해 점진적으로 생산 효율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멕시코 최대의 섬유기업중 하나인 Grupo Kaltex, 흡습속건, 향균, 스트레치 및 기능성 스포츠 섬유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Vertical Knits 등을 중심으로 땀 배출 및 향균 기능이 강화된 폴리에스터-나일론 복합 소재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스포츠웨어, 의료·위생 분야에서 고성능 향균 섬유가 확대되면서 은 나노입자, 구리 이온, 식물성 추출물을 활용해 피부 자극을 최소화 하면서도 세탁 내구성을 높인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코로나 19이후 병원용 수술복 등에 향균 코팅 처리된 기능성 섬유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례로, 병원 커튼, 침대시트, 유니폼, 상처 치료제 등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향균 및 향바이러스 기능이 적용된 섬유나, 의료용 침구, 보호커버, 환자용 시트에 활용할 수 있는 투습·통기성 특성이 이는 기능성 섬유에 대한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또한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실내 디자인과 승객 편의성에 더 많은 비중을 두면서 시트, 실내 마감재, 카펫, 바닥재, 헤드라이너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기능성 폴리에스터, 난연성 섬유 등 고품질 섬유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건설 및 농업 분야에서도 방수, 내구성, UV 차단등 기능을 갖춘 산업용 섬유(방수 시트, 건축용 멤브레인) 등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잡초 억제, 토양 습도 유지, 온도 조절을 위한 멀칭 필름(플라스틱 직물)과 온실커버, 차광막 방충망 등의 기능성 섬유도 보편화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색상에 따라 투과되는 빛의 파장과 강도를 조절해 작물의 생장, 광합성, 품질, 수확량을 개선하는 포토셀렉티브 네트(photoselective nets)와 같은 신기술 직물은 태양광을 조절하여 작물 생장 환경을 최적화 하여 최근 멕시코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지난 2년간 멕시코 폴리에스터 섬유(5503.20) 연간 수입액은 2023년 1억3744만 달러, 2024년 1억4679만 달러로 전년 대비 6.8% 증가하였다. 중국, 미국, 베트남이 멕시코의 상위 3대 수입국으로 전체 폴리에스터 섬유 수입의 약 55%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2024년 기준 전체 수입의 22%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31% 증가하였고, 미국은 여전히 견고한 2위이긴 하나 2.8% 감소하며 점유율이 하락했다. 베트남은 3위 국가로 전년대비 수출액이 24.3% 증가하며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한국은 2024년 기준 멕시코의 7대 수출국으로 2023년 943만 달러, 2024년 618만 달러를 수출하여 전년 대비 34.6% 감소했으며,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등 경쟁국의 부상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태국, 말레이시아는 세자리 수 성장률을 보이며 신흥 수출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멕시코 폴리에스테르 섬유 주요 수입동향(HSCODE 5503.20)>
(단위: US$ 천, %)
순위
국명
2023년
2024년(기준)
점유율
증감율
-
전체
137,446
146,799
-
6.8
1
중국
24,640
32,274
22.0
31.0
2
미국
24,463
25,723
17.5
△2.8
3
베트남
18,319
22,775
15.5
24.3
4
대만
15,543
12,301
8.4
△20.9
5
인도
5,609
8,468
5.8
51.0
6
인도네시아
93
7,799
5.3
8,226
7
대한민국
9,433
6,148
4.2
△34.6
8
태국
892
2,286
2.1
156.2
9
말레이시아
154
663
1.6
331
10
벨기에
0
143
0.5
-
[자료: 멕시코 중앙은행]
멕시코 섬유산업협회(CANAINTEX)에 따르면 2025년 기준 멕시코 섬유 수출의 91%가 미국이며, 2024년 기준 멕시코 섬유 수출액은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 5위를 기록하는 등 미국 중심의 무역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의류 및 원단 교역에서 무역 적자가 커지면서 멕시코 경제부는 2024년 12월부로 섬유 및 원단 제품 155개 품목에 대해서 15~35%의 임시 관세를 부과했으며 2026년 4월 23일까지 적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멕시코 연방관보(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2024년 12월부 부과 중인 임시 관세 및 HS CODE>
관세율
주요 HS 코드
35% (의류, 138개)
6102.90.91/6103.31.01/6103.39.91/6104.19.91
6104.32.01/6104.41.01/6104.51.01/6106.20.01
6106.90.91/6110.12.01./6110.19.99
15% (섬유, 17개)
5512.11.05/5513.11.04/5514.21.01/5515.12.01
[자료: 멕시코 연방관보]
경쟁 환경
멕시코 섬유 산업은 대형 수직계열 기업과 중소형 기업, 그리고 특화된 기능성 섬유 기업들이 공존하는 복합적인 구조로 이뤄져 있다. 이 산업은 데님, 스포츠웨어, 산업용 섬유, 그리고 기능성·친환경 섬유 등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각 분야별로는 리더 기업이 존재한다. 또한 멕시코의 섬유 산업은 미국향 시장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업 및 B2B 계약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주요 대형 수직계열 기업으로는 Grupo Kaltex, Grupo Denim, Siete Leguas, Vertical Knits, Aztlan Textil 등이 있으며, 기술적 특화 기업으로는 Citosa Textiles, CSTech Contract Manufacturing, Novalan, Turbo Yarn 등이 있다.
해외 기업들도 멕시코 섬유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방콕에 본사를 두고 있는 Indorma는 케레타로, 푸에블라 등지에 대규모 생산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멕시코 내에서 중요한 산업 기여를 하고 있다. 이 기업은 PET 폴리머와 산업용 섬유(자동차용 고기능성 섬유 등)의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유통구조
멕시코 섬유 시장은 수직적으로 통합된 기업들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많은 대기업들이 생산부터 완제품 제조까지 전체 과정을 자체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Grupo Kaltex, Grupo Denim과 같은 주요 대기업들은 원사 생산부터 완제품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직접 관리하고 있다. 이와 함께, 멕시코시티, 멕시코주, 푸에블라, 이달고, 코아우일라 등은 주요 섬유 산업 클러스터로, 생산 및 유통의 핵심 거점이 형성돼 있는 편이다.
대형 브랜드 및 수직계열화된 기업들은 자체 유통망을 통해 백화점, 체인스토어, 대형 유통사에 직접 납품하는 방식으로 유통되고 있으며, 중소기업은 도매상이나 지역 유통상, 또는 Hilados de Alta Calidad와 같은 전문 유통업체를 통해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멕시코 내에서 섬유 제품이 효율적이고 다양한 유통 경로를 통해 시장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관세율
폴리에스터 섬유(HS Code 5503.20)의 일반 관세는 5503.20.03(De tereftalato de polietileno color negro, teñidas en la masa, 원료 상태에서 섞어 염색한 방식의 검은색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0%, 5503.20.99(그외 기타)는 5% 이다. 중국산 5503.20.99의 경우 반덤핑 관세가 적용되며 1kg당 0.46달러가 추가 부과된다.
인증
인증
내용
NOM-004-SE-2021
(섬유 제품, 의류, 액세서리 및 가정용 섬유에 대한 상업 정보 표시 기준)섬유 구성 비율, 세탁 방법, 제조국, 제조사 정보 등 의류 및 섬유 제품에 대한 상업적 라벨 부착의 의무화
NOM-020-SCFI-1997
(가죽, 무두질 가죽, 인조 가죽, 신발 및 관련 제품의 상업 정보 표시)신발, 벨트, 가방, 가죽 액세서리 등 가죽이 활용된 섬유 제품에 적용
사용 재료, 원산지, 제조자, 수입업체 정보 등 가죽 및 인조 가죽 제품의 라벨링 요건 규정
시사점
멕시코 섬유 산업은 최근 스포츠웨어, 의료용·의생용 섬유, 자동차 내장재, 농업·건축 자재용 섬유 등 고기능성 섬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흡습속건, 향균, 방수, UV 차단 기능을 갖춘 섬유 소재에 대한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맞춰 고기능성 섬유 분야는 향후 큰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무역 적자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155개 섬유 제품에 임시 관세가 부과됐다. 이에 따라 가격 경쟁력 확보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어 차별화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전환은 앞으로 경쟁력을 갖추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부과되고 있는 임시 관세는 2024년 12월부터 2026년 4월까지 한시적으로 적용되지만, 연장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대응이 필요하다.
자료: 멕시코섬유산업협회, 멕시코 경제부, 멕시코 중앙은행, Grupo Kaltex, Grupo Denim, El financiero 현지 일간지 종합,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멕시코 섬유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호주 마스크팩 시장동향
호주 2025-06-10
-
2
멕시코 전기차 시장, 아시아·유럽 기업이 주목하는 이유
멕시코 2025-06-10
-
3
중국 고무 씰(Seal) 및 개스킷(Gasket) 부품 시장 동향
중국 2025-06-10
-
4
미국 타이어 시장동향
미국 2025-06-10
-
5
캐나다 강관 시장동향
캐나다 2025-06-10
-
6
중미의 굳건한 금융·물류 투자 중심지 파나마
파나마 2025-06-10
-
1
2025년 멕시코 제약산업 정보
멕시코 2025-06-23
-
2
2025년 멕시코 건설·인프라산업 정보
멕시코 2025-03-21
-
3
2024년 멕시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 정보
멕시코 2024-07-09
-
4
2024년 멕시코 광산업 정보
멕시코 2024-06-07
-
5
2024년 멕시코 산업개관
멕시코 2024-05-28
-
6
2023년 멕시코 철강산업 정보
멕시코 2023-09-20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