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년 카자흐스탄 정밀농업 및 유기농업 시장 동향
  • 트렌드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김민정
  • 2025-04-14
  • 출처 : KOTRA

물 부족 해결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해결책, 정밀 농업

유기농업에 대한 정부 관심 증대 및 시장 성장 가능성

 HS Code 


HS Code

품목 분류

제품 예시

8436.80

기타 농업용 기계

자동 파종, 분무 장비 등 포함

9032.89

자동 조절 기기(기타)

온실 제어 장치, 환경 제어 시스템 등


카자흐스탄의 농업 환경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와 동유럽에 걸친 넓은 국토를 가진 나라이다. 바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계절 변화가 뚜렷한 대륙성 기후로 겨울은 춥고 여름은 더우며, 스텝과 사막지대가 넓게 분포돼있다. 연 강수량은 북부가 약 250mm, 남부 산악지대가 450mm에 이르며, 동남부 평원 지대의 경우 강수량이 600mm를 넘기도 한다. 넓은 국토만큼이나 넓은 농지 면적을 보유하고 있다. 1인당 경작 가능 면적은 1.56헥타르로 호주 다음으로 넓으며, 비옥한 토지와 다양한 기후대를 보유하여 농업 잠재력이 높은 국가로 평가된다.

 

<카자흐스탄 지역별 주요 생산 농축산물>

 

지역

주요 농작물

1

아크몰라

밀, 보리, 유채씨

2

코스타나이

밀, 유채, 아마

3

파블로다르

보리, 메밀, 수수, 해바라기씨

4

북 카자흐스탄

밀, 보리, 유채씨, 감자

5

악토베

듀럼밀, 보리, 사료용 작물

6

서 카자흐스탄

듀럼밀, 사료용 곡물

7

아티라우

채소 및 멜론 작물

8

동 카자흐스탄

사료용 곡물, 해바라기씨

9

카라간다

듀럼밀, 사료용 곡물

10

알마티

사료용 곡물, 유지작물, 채소, 사탕무, 과일, 열매

11

잠빌

채소 및 멜론 작물

12

키질로르다

쌀, 채소, 멜론

13

남 카자흐스탄

채소 및 멜론, 과일, 면화

[자료: 카자흐스탄 농업부]

 

주요 경작지는 카자흐스탄 남부 평원과 동부 산악지역, 카스피해 연안과 북부 지역 일부에 분포해 있다. 카자흐스탄 북부지역에서는 밀을 중심으로 한 곡물의 재배가, 동부에서는 유지작물의 재배가 활발하다. 수자원과 일조량이 풍부한 남부에서는 쌀, 과일, 면화, 채소의 재배가 이루어지며, 스마트 온실을 활용한 작물 재배 또한 남동부 지역에 집중돼 있다.

 

<카자흐스탄의 농산물 총 수확량>

(단위: 십만 톤, %)

품목

총 생산

구분

대형 농업 기업

소규모 농장

그 외(일반 농가)

생산량

증감

생산량

증감

생산량

증감

생산량

증감

곡물

전체

252.0

47.4

158.7

58.0

93.0

32.5

0.3

-2.4

벼 제외

246.9

48.6

156.7

59.2

89.9

33.4

0.3

-2.4

5.1

5.7

2.0

-1.4

3.2

10.8

-

-

채소

전체

102.5

4.2

13.3

19.7

63.4

1.8

25.8

-3.6

노지 채소

35.7

-15.3

1.9

9.7

21.1

-13.1

12.6

-21.4

온실 채소

2.1

0

0.8

11.7

0.9

-6.1

0.4

-4.6

유지작물

33.4

52.8

20.0

9.7

13.4

-13.1

0.06

-15.8

면화

3.0

-8.0

0.3

50.7

2.7

-11.4

-

-

사료용 옥수수

22.8

32.8

17.5

45.4

5.2

2.8

0.8

-11.9

과일

2.9

-9.0

0.6

-18.7

1.5

-17.8

0.2

-16.3

[자료: 카자흐스탄 통계청]

 

2024년 카자흐스탄의 농산물 총 수확 중 곡물류와 유지작물의 생산량은 전년 대비 눈에 띄게 증가했다. 채소와 과일 중 일부 품목(노지 채소, 포도, 베리류)의 생산은 감소했으며, 사탕무는 전년 대비 2.5배 증가하며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온실 재배 채소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벼를 제외한 곡물의 경우 대형 농업 기업에서 대부분 생산됐으나, 벼의 경우 소규모 농장에서 전체 수확량의 절반 이상이 생산됐다. 노지채소 또한 소규모 농장에서 생산량의 대부분의 수확됐으며, 온실채소는 대행 농업 기업과 소규모 농장에서 고른 생산 분포를 보였다.

 

<2020-2024 카자흐스탄의 농축산품 수출 현황>

(단위: US$ 백만, %)

* HS Code 01-24의 동물성/식물성 제품 및 가공식품에 대한 수출 통계

순위

국명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전체

2,707

3,043

5,556

5,229

5,036

1

우즈베키스탄

966

1,095

1,537

1,519

1,439

2

중국

407

231

545

960

983

3

아프가니스탄

488

440

861

551

429

4

타지키스탄

342

387

508

446

493

5

러시아

-

-

521

438

528

6

키르기스스탄

-

-

221

271

322

7

투르크메니스탄

45

100

169

210

73

8

이탈리아

41

79

86

176

90

9

튀르키예

30

73

153

155

90

10

이란

128

274

316

82

121

47

한국

0

1

1

1

1

[자료: 카자흐스탄 통계청]

 

이렇게 재배된 작물과 그 가공식품은 전 세계로 수출되는데, 전체 수출량의 19%가 인근 CIS 국가들로 수출됐으며 그 다음으로는 중국, 아프가니스탄, 러시아, 이탈리아 등으로 수출됐다. 러-우 사태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지역의 곡물 공급이 어려움을 겪으며 공급망 재편이 발생했고, 카자흐스탄의 농축산 식품 및 가공품 수출은 2021년 30.4억 달러에서 55.6억 달러로 급증했다. 2023년에는 밀 공급을 안정화를 위해 카자흐스탄 정부가 인근 EAEU 국가로 밀수출을 금지하며 전년 대비 수출량은 다소 감소했고, 2024년에는 연초 북부지역에서 발생한 홍수로 수출량이 전년 대비 약 5% 감소했다. CIS 지역으로의 수출 구조가 확연한 가운데 중국과 이란 등 비 CIS 국가로의 수출 또한 꾸준히 증가 중이다.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정밀농업과 유기농업 도입

 

카자흐스탄은 넓은 농지와 저렴한 인건비로 최근까지도 전통적인 노지 농업이 강세를 보였다. 그러나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카자흐스탄에서도 유기농업과 정밀농업 도입 확대에 대한 논의 또한 활발해졌다.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ion of the United Nations)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인구의 23%가 황폐화된 토지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2040년까지 물부족은 전체 수요의 5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정부는 이에 대응하여 환경 보호 및 기후변화 대응, 식량 안보 확보, 농업 효율성 제고 및 농산물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밀농업과 유기농업을 국가 전략으로 채택하게 됐다.

 

카자흐스탄은 농업 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정밀 농업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GPS 기반 장비, 첨단 토양 모니터링 시스템, 위성 기반 작물 분석, 인공지능 기반 작물 생육 환경 조절 플랫폼 등이 주요 기술로 활용되며 이를 통해 자원 사용을 최적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정책을 통해 디지털 농업 도입을 적극 추진하며, UNDP 등 국제기구와 협력하여 법적 기반 마련, 보조금 제도, 시범 프로젝트 등을 시행하고 있다. 전체 농작물 재배에서 정밀 농업 도입률은 약 17%로 추정되며, 그 중 최첨단 온실 면적은 약 20헥타르에 불과한 것으로 보고됐다.

 

또한 토양 황폐화, 물 부족, 가뭄 등 환경 문제에 직면해있어 정부는 유기농업 도입을 통해 합성 비료, 농약, 성장 촉진제의 사용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토양을 회복하며, 궁극적으로는 저탄소 농업을 통해 국가의 녹색 경제 전환 전략을 실현코자 하는 것이다.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한 국제 시장에서의 유기농 제품 수요 증가 또한 카자흐스탄의 유기농업 도입을 촉진했으며, 특히 유기농 밀, 아마씨, 콩 등은 對EU 수출에 강점을 보여, 2022년 기준 카자흐스탄의 유기농 제품 수출액 3500만 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국제 유기농 인증(FiBL, IFOAM 기준)에 따라 카자흐스탄은 세계 유기농 수출국 중 9위, 유기농 밀 수출 4위, 아마씨 수출 6위에 오르며 유기농업에서의 잠재력을 보여줬다. 2024년 기준 약 30명의 생산자/농부가 국제 기준에 따라 유기농 인증을 받았으며, 30만 헥타르 이상의 토지가 유기농 상품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정밀농업 관련 정부 정책

 

카자흐스탄 정부는 2021년 12월 30일에 '2021-2030년 농업 개발 정책 문서'를 승인했다. 이 정책의 주요 목표는 농업 생산성 향상, 식량 안보 강화, 농업 수출 확대, 그리고 지속 가능한 농업 관행 촉진이다. 특히, 정밀 농업 기술의 도입을 통해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정책의 핵심 내용 중 하나는 지리정보시스템(GIS)과 같은 디지털 기술을 농업에 통합하여 작물 생산을 최적화하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정부는 농업 분야의 현대화를 위해 투자 프로젝트에 대한 비용의 일부를 보조하는 투자 보조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2021-2030 농업 개발 정책 중 정밀농업 관련 내용 요약>

구분

세부내용

비고

디지털 농업 지원

디지털 기술 도입

정부 주도 정밀 농업 파일럿 프로젝트 시행: 비용 20% 절감, 수확량 헥타르당 최대 25MT 증가

디지털 농업 생태계 구축

농민의 기술 접근성 향상 및 농업-IT 융합을 위한 단일 플랫폼 조성

정밀 농업 및 스마트 농업 지원

정밀 농업 기술 장려

GPS 농기계, 위성데이터, 센서 기술 도입 촉진: 농업 생산자들이 정밀 농업 기술을 도입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농업 기계 및 장비 구입 비용의 25%를 보조

스마트 농업 센터 

설립

카자흐 국립농업대 + 中란저우대 공동 설립: 종자, 디지털 농업, 저탄소 기술 연구

금융 및 

인프라 지원

그린 파이낸싱 및 

투자 확대

저탄소·지속가능 농업기술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금융 지원: 연 10% 이자율로 농업 기계를 금융 리스를 통해 구입 가능(카자흐스탄 기준금리 16.5%)

디지털 인프라 구축

디지털 기술 도입 기반 확보를 위한 농촌 통신망 및 인터넷망 개선


정부는 농업 분야 현대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투자 보조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보조금은 농업 생산자들이 새로운 기술과 장비를 도입하도록 장려하며, 특히 우선 분야로 지정된 농업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비용의 일부를 보상한다. 농업 기계 및 장비의 현대화, 가축 사육 시설 개선, 관개 시스템 구축, 생산성 향상과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프로젝트는 우선 투자 분야로 지정돼 투자비용의 최대 25%까지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다. 보조금 신청 시 농업 생산자는 관련 서류를 준비하여 해당 지역의 농업 부서에 제출해야 한다. 신청서는 프로젝트의 상세 내용, 예상 투자비용, 기대 효과 등을 포함해야 하며, 심사를 거쳐 승인 여부가 결정된다. 보조금을 받은 생산자는 해당 프로젝트를 일정 기간 내에 완료해야 하며, 정부는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과 결과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보조금을 받은 장비나 시설은 일정 기간 동안 매각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조건이 부과될 수 있다.

 

유기농업 관련 정부 정책

 

카자흐스탄은 2015년 11월 27일 「유기농 제품 생산 및 유통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유기농업의 법적, 경제적, 조직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 법률은 환경 보호, 건강한 식생활, 토지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동 법안은 유기농 제품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유기농 전환 및 유지 조건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유기농 제품 생산 및 유통에 관한 법률 내용 요약>

구분

내용

생산 조건

GMO 및 화학물질 사용 금지, 생태· 환경 중심 농법 사용, 분리 생산

전환 조건

전환 기간 중에도 기준 준스, ‘전환중’ 표시 가능

인증 시스템

자발적 인증, 정부 승인 마크 사용, 인증 기관 보고(의무)

유통 기준

표시, 광고에 대한 명확한 규제, 유통 중 위반 시 제품 회수 조치

감독 및 행정체계

중앙-지방 간 역할 분담, 다부처 간 협의 필요


유기농업에 관한 법률 제11조는 국제 식품규범(Codex Alimentarius) 가이드라인의 권고에 기반하며, 다음과 같은 항목들의 사용을 금지한다.

 

· (규정에서 명시적으로 허용한 경우를 제외한) 합성 물질, 농약, 호르몬제, 항생제, 식품첨가물의 사용 금지

· 유전자변형생물(GMO) 금지

· 토양을 사용하지 않는 작물 재배 방식 금지

· 전리 방사선 사용 금지

· 야생 식물에 대한 화학적 처리 방법 금지

 

유기농 제품 생산 조건은 아래와 같다

 

허용된 재료 및 방식만 사용:

· 건강한 가축 및 식물, 천연 재료 사용

· 합성물질, GMO, 항생제, 호르몬, 방사선 등 사용 금지

· 토양 및 환경 보호:

· 토양 비옥도 유지

· 생태계 보전 고려한 품종 선택

· 해충 방제 방식:

· 기계적·생물학적·물리적 방식 선호

· 농약 사용은 제한적으로 허용

 

가공 시 제한:

· 식품첨가물, 사료첨가물은 필요한 경우에만 허용

 

카자흐스탄 공화국의 현행 「유기농 제품 생산에 관한 법률」은 현재 개정 절차를 진행 중이며, 일부 조항은 새롭게 도입되거나 수정될 예정이다. 2021년 5월, 독일-카자흐 농업정책대화(APD)의 지원으로 「유기농 제품의 생산 및 유통에 관한 법률」(초안)이 작성됐다. 이 법안은 2015년 11월 27일 제423-V호 법률을 대체할 예정이며, 생산에서 유통으로 포괄하는 법률로의 확대와 주요 용어를 추가로 도입하고, 유기농 생산에 관한 기술 기준에 모든 인증 요건을 통합하여 기존의 모순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법률 개정에 따라 3년 이상 사용하지 않은 미개간지나 휴경지는 전환 기간 없이 유기농 생산에 바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종자 등록 및 추적 시스템 등 유기농 생산을 위한 기반 인프라 또한 구축 예정이다. 또한 카자흐스탄은 2024-2026 유기농업 발전 로드맵을 수립 중에 있다. 이는 2022년에 수립된 기존 로드맵을 보완하여 보다 실질적이고 실행 가능한 방안을 포함하며, 정부는 새로운 로드맵 수립 후 UNDP와 함께 시범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HS Code 제품별 수출입 통계

 

HS Code 8436.80 제품(농업용, 원예용, 임업용, 양봉 기계 및 발아 장비(기계식 또는 열 처리 장비 포함)에 대한 카자흐스탄의 연도별 수입 통계(2021-2024년)를 살펴보면 정부가 스마트팜 및 농업 자동화를 정부 정책으로 채택하며 관련 기기의 수입이 급증한 것을 볼 수 있다. 2024년의 총 수입액은 3847만 달러로 2021년 대비 약 5배로 증가했다. 스마트 농업 장비 선도국인 네덜란드로부터의 수입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튀르키예, 러시아, 이탈리아가 그 뒤를 이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022년 5만 7700 달러 발생했으나 그 후 뚜렷한 존재감을 보이지는 못했다.

 

<카자흐스탄의 HS Code 8436.80 제품 주요 수입국 통계>

(단위: US$ 천)

순위

국가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전체

7,515.5

8,298.1

15,567.1

38,469.5

1

네덜란드

273.5

253.8

212.0

22,333.8

2

튀르키예

151.9

1,061.4

84.7

3,610.9

3

러시아

0

2,715.7

3,282.6

3,360.0

4

이탈리아

45.5

63.4

296.6

3,063.9

5

독일

3,423.4

1,872.0

4,109.5

2,224.1

6

중국

1,151.4

325.8

3,729.4

1,279.8

7

폴란드

158.9

416.6

357,4

906.5

8

벨라루스

0

1,106.1

348.9

532.5

9

캐나다

301.5

183.5

88.6

396.6

10

프랑스

0

18.4

0

234.8

29

대한민국

0

57.7

0

0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04.02.)]

 

HS Code 9032.89(온도조절기, 압력조절기를 중심으로 한 자동 조절 및 제어기기(Automatic Regulating or Controlling Instruments and Apparatus)) 에 대한 카자흐스탄의 연도별 수입 통계(2021-2024년)를 살펴보면 2021년에서 2023년까지는 관련 시장이 급성장했으나, 2024년에는 조정기에 진입한 것을 볼 수 있다. 한국은 4년 연속 최대 수입국의 위치를 차지하며 핵심 공급국으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한국산 센서, 제어기기, 온실 시스템 등 자동화 분야 기술에 대한 신뢰도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024년 러시아로부터의 수입은 전년 대비 2배로 증가하며 반등했고, 이는 카자흐스탄-러시아 간 기술협력 및 EAEU 내 무역 촉진, 러시아의 카자흐스탄 내 프로젝트 참여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가격 경쟁력을 활용하여 중저가형 센서, PLC, IoT 장비 등을 카자흐스탄 시장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그 뒤를 미국, 독일, 폴란드 등이 이었다.

 

<카자흐스탄의 HS Code 9032.89 제품 주요 수입국 통계>

(단위: US$ 천)

순위

국가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전체

23,236.9

42,837.3

74,196.1

39,185.1

1

대한민국

6,478.5

12,480.0

12,119.4

8,816.9

2

러시아

0

5,149.0

3,904.3

8,004.5

3

중국

6,754.2

7,306.4

5,910.1

7,057.9

4

미국

1,645.7

2,935.4

4,674.8

4,854.7

5

독일

1,424.7

1,413.1

1,977.4

1,980.4

6

폴란드

2,855.0

2,398.7

2,038.5

953.4

7

프랑스

1,247.9

946.2

642.7

935.2

8

핀란드

298.1

349.8

856.1

912.0

9

튀르키예

145.1

101.1

13,296.6

637.1

10

우크라이나

148.5

154.2

370.9

535.7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04.02.)]

 

정밀농업 성공 사례

 

카자흐스탄의 대형 농업 그룹인 Aitas Agro는 Aitas KZ의 곡물 생산 자회사이다. Aitas KZ는 육계 생산을 위한 양계장과 부화용 알 생산 농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체 육계 고기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Aitas Agro는 닭 사료 생산과 다양한 곡물 생산 독립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주요 작물은 춘맥, 동계밀, 해바라기, 봄보리, 완두콩 등이고 모든 농장은 동카자흐스탄에 위치해 있다.

 

<Aitas Agro社의 생산성 지도(정밀 농업 기술) 적용 예시>

[자료: Aitas Agro]

 

Aitas Agro는 자사의 농장이 일반적인 초원이 아닌 산악지형에 위치하여 눈이 녹으며 영양분이 아래로 흘러 토양 생산성에 차이가 발생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드론과 센서를 활용해 생산성 지도와 고도 지도를 만들었고, 자사의 해바라기 밭에 적용한 것이 정밀 농업의 시작이었다. 이후 더욱 발전된 컨트롤 라인을 포함한 지도를 2023년 제작하게 되었고, 생산성이 낮은 지역에는 종자를 적게 뿌리고, 높은 지역에는 더 많이 뿌리면서 전체 평균 사용량이 줄고 종자 구매 비용을 절감했다고 밝혔으며, 자동 운전 시스템을 활용하여 라인을 따라 정확히 작업하게 되면서 파종 뿐 아니라 방제 작업 등 전반에서 큰 절감 효과를 가져왔다고 밝혔다. VRA(변량기술)을 적용한 결과 일부 밭에서는 수확량이 헥타르 당 200kg 증가했다고 발표했으며, 비료, 농약, 제초에 등에 대한 변량 기술(VRA)를 더욱 심화해서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관 정부 기관 및 주요 기업>

기관명

(한글) 카자흐스탄 농업부

(영어) Ministry of Agriculture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설립연도

1991

주소

010000, Republic of Kazakhstan, Astana city, Mangilik El avenue 8, 3rd entrance.

사업 분야

데이터 분석•소프트웨어

홈페이지

https://www.gov.kz/memleket/entities/moa?lang=en

대표이메일

office@minagri.gov.kz

대표전화

+7 (7172) 555 763


 

기관명

KazAgroFinance JSC

설립연도

1999

주소

2/1 Koshkarbayeva Street, Yesil District, Astana

사업 분야

농업 기계 및 장비의 리스, 금융 서비스 제공

홈페이지

https://www.kaf.kz/

대표이메일

info@kaf.kz

대표전화

+7 (7172) 55-99-55



기업명

Egistic

설립연도

2018

주소

Astana, 53 Kabanbai Batyr Ave., Technopark, office 13.3

사업 분야

데이터 분석•소프트웨어

홈페이지

https://egistic.kz/

대표이메일

info@egistic.kz

대표전화

+7 (705) 739 3965


 

기업명

Eurasia Group

설립연도

1998

주소

Qazanat St 1/1, Astana 010000, 4th floor

사업 분야

종합 농업 기술

홈페이지

https://agromanagement.kz/

대표이메일

info@eurasia.kz

대표전화

+7 (777) 936 1111

담당부서

International Business Development


 

기업명

Kac Consulti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0e8000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00pixel, 세로 350pixel

설립연도

2006

주소

(코스타나이) Al Farabi Ave 65, Kostanay, Office 601
(아스타나) Korgalzhyn Hwy 6, Astana, Karaotkel-3 microdistrict, 2nd floor

사업 분야

스마트 축사

홈페이지

https://kac.kz/

대표이메일

(코스타나이) kac@kac.kz

(아스타나) astana@kac.kz

대표전화

(코스타나이) +7 (714) 254 9428 / +7 (714) 239 0182

(아스타나) +7 (717) 247 2645 / +7 (747) 930 0655


시사점

 

카자흐스탄 정부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탄소 배출을 저감하며, 식량 안보를 제고하기 위해 유기농업과 정밀농업(스마트팜)의 도입을 장려하고 있다. 이를 위해 UNDP 등 국제기구 및 다양한 해외 기업과 협력하며, 정부 주도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시행중이다. 우리 농림축산식품부도 신북방 지역 스마트팜 수출 촉진과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를 목표로, 2021년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1헥타르 규모의 한국형 스마트팜 시범 온실(데모 온실)을 준공했다. 2024년 6월 대한민국 윤석열 대통령은 중앙아시아 순방을 계기로 카자흐스탄에 국빈 방문하였으며, 한국과 카자흐스탄 양국은 기후변화 극복과 식량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해결책으로서 스마트팜 기술에 주목하고, 한국 스마트팜 기업들의 카자흐스탄 진출 확대와 양국 스마트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협력하기로 한 조문이 포함된 공동 서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대통령 직속의 정책 연구소인 카자흐스탄 전략 연구소(Kazakhstan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약칭 KISI)의 수석 연구원 아셀은 무역관과의 면담에서 ‘카자흐스탄은 정밀농업과 유기농업 분야에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는 동 분야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정밀농업 및 유기농업 분야에서 기술을 가진 한국 기업의 진출 및 현지 기업과의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년 KOTRA 알마티무역관은 스마트팜 중점지원무역관에 선정됐으며, 다가오는 5월 12일 카자흐스탄(알마티)과 아제르바이잔(바쿠)을 방문하는 2025 CIS 스마트팜 로드쇼를 진행할 예정이다. 10개사 규모로 진행되는 동 사절단을 통해 기업들의 카자흐스탄 스마트팜 시장 진출의 초석을 놓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카자흐스탄 및 중앙아시아 시장을 공략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카자흐스탄에서 개최되는 KazAgro/KazFarm 2025(아스타나) 전시회 또는 AgroWorld Qazaqstan 2025(알마티) 전시회를 통해 시장 진출 기회를 모색해볼 수 있을 것이다.

 

 

자료: PrimeMinister.kz, 카자흐스탄 통계청, UNDP, FAO, Adilet.kz, Atis agro 등 각 회사 홈페이지, KOTRA 알마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카자흐스탄 정밀농업 및 유기농업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