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스킨케어 기기, 그리스 뷰티 트렌드의 미래를 이끌다
  • 트렌드
  • 그리스
  • 아테네무역관 박혜윤
  • 2025-04-15
  • 출처 : KOTRA

그리스의 스킨케어 기기 수입, 2024년 한해에만 전년대비 6.23% 증가

LED 마스크와 같은 기술 기반 뷰티 도구가 일상적인 피부 관리 필수품으로 정착

한국 브랜드, 그리스 뷰티 시장에서 우위 점유

그리스 스킨케어 뷰티 디바이스 시장은 개인 관리 산업 내에서 급부상하는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소비자들은 LED 마스크, 마이크로 전류 디바이스, 진동 어플리케이터 등 다양한 뷰티 기기를 일상 속 루틴에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들 기기는 종종 ‘뷰티 테크(Beauty Tech)’라는 보다 광범위한 카테고리 내에서 다뤄지지만, 스킨케어 기기 시장로 국한해 살펴봐도 독보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Statista에 따르면, 글로벌 뷰티 테크 시장은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7.95%를 기록할 전망이며, 2025년 시장 규모는 약 93억8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뷰티 테크는 주로 앱, 스마트 디바이스, AI 진단 등 디지털 플랫폼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2024~2025년 뷰티테크와 스킨케어 시장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GMI, Precedence Research]

 

한편, 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스킨케어 기기 시장의 글로벌 수익은 2025년 약 213억4000만 달러로 추정되며, 2032년까지 연평균 10.8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LED 마스크, 롤러, 마이크로 전류 기기, 미세 각질 제거 도구 등 기술 기반 피부 관리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가 이러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이는 한국 제조업체가 그리스와 유럽 시장에 진출할 유망한 기회가 있음을 시사한다.


<2024~2034년 스킨케어 도구 시장 규모 변화>

(단위: US$ 백만)


[자료: Precedence Research]

 

그리스 소비자, 점차 기기를 동반한 뷰티케어를 선호


그리스의 전체 스킨케어 시장은 2025년까지 약 3억756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은 2.80%로 전망된다. 스킨케어 기기 부문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는 제한적이나, 고급 스킨케어 솔루션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기기를 함께 쓰는 비율도 함께 상승하고 있다. 이는 유럽 전역에서 나타나는 ‘기술 융합형 뷰티 루틴’ 확산과 맥을 같이 한다.


그리스 시장엔 여러 글로벌 브랜드와 한국 브랜드가 혼재해 있다. 주요 브랜드로는 포레오(Foreo), 닥터 데니스 그로스(Dr. Dennis Gross), 누페이스(NuFACE) 등이 있으며, 해당 브랜드 제품들은 진동식 세안 브러시, 전문가급 LED 마스크, 미세 전류 얼굴 토닝 기기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그리스 내 소비자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그리스 내 소비자 트렌드>

트렌드 카테고리

주요 추세

스마트 스킨케어 도구

LED 마스크, 마사지 기기, 초음파 피부 각질제거기 일상화

홈 기반 스킨케어 트리트먼트

제품 흡수 및 효능 향상을 위한 보조도구

개인 맞춤형 뷰티 기술

피부 상태 분석 및 맞춤형 치료 기기

지속 가능하고 충전 가능한 장치

재사용 가능성과 친환경성

[자료: KOTRA 아테네무역관 정리]


뷰티 전문 매장, 백화점, 약국 등...다양한 채널로 유통되는 스킨케어 뷰티 기기


그리스에서 스킨케어 뷰티 기기는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소비자에게 다다른다. 주요 채널은 다음과 같다:


<그리스 스킨케어 뷰티 기기 유통 채널>

카테고리

매장 이름 및 특징

뷰티 전문 매장

Sephora, Galerie de Beauté

백화점

Attica, Hondos Center

약국

피부과 추천 기반의 전문 기기 유통

전자상거래

Skroutz.gr, 브랜드 공식몰, 온라인 뷰티 리테일러

[자료: KOTRA 아테네무역관 정리]


고급 백화점인 Attica와 Hondos Center는 다양한 뷰티와 라이프스타일 제품을 판매한다. 한편, Sephora, Gallerie de Beauté, Oggi, Lili Drogerie 등의 전문 뷰티 체인점도 있다. 이들 채널은 고소득층부터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까지 다양한 계층을 타깃으로 하고 있어, 한국 브랜드의 현지 시장 진출에 적합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그리스 주요 뷰티 유통망>

회사명

주요 보유 품목

홈페이지

아티카

쇼핑몰(화장품, 의류, 가방, 신발 등)

www.atticadps.gr

혼도스 센터

쇼핑몰(화장품, 의류,신발, 가방, 생활소비재 등)

www.hondoscenter.com

세포라

미용도구, 미용도구, 소모품

www.sephora.gr

갤러리 드 보테

화장품, 미용, 사이트

www.galeriedebeaute.gr

오기

화장품, 미용, 사이트

https://www.facebook.com/oggishops

릴리 드로게리

화장품, 미용, 사이트

www.lilidorgerie.gr

[자료: 개별 기업 홈페이지]

 

K-뷰티와 스킨케어 기기의 융합


그리스 내 한국 뷰티 시장은 뷰티테크의 수요 증가와 함께 확장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EL Beauty는 아테네에서 온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며 한국의 대형 브랜드 C사 등 주요 한국 브랜드를 유통하고 있다.


<EL BEAUTY 오프라인 매장>

[자료: KOTRA 아테네무역관]


EL Beauty 공동소유자인 니키 베카(Nikki Bekka) 씨는 KOTRA 아테네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LED 마스크와 진동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라고 하면서, "이는 주로 인플루언서 마케팅과 온라인 트렌드의 영향이다.”라고 밝혔다. 그녀는 또한, “토너나 크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 세트 제품이 특히 인기가 있으며, 휴대용·충전식 기기를 선호하는 경향도 있다.”라고 전했다.


베카 씨는 가격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브랜드는 프리미엄 혁신과 합리적인 가격 사이의 균형을 유지해야 하며, 고급 소비자와 중간 가격대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리스 뷰티도구 수입, 작년 한 해에만 6.23% 성장


그리스의 스킨케어 기기 시장 규모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확인이 어렵지만, HS 코드 9019(마사지 및 피부 관리 기기)에 대한 수입 데이터를 통해 시장 동향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스 뷰티도구 수입 현황 (HS 코드 9019)>

(단위: US$ 천, %)

산책

국가명

수입액

점유율

증감율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총합

39,948

41,432

48,156

100.00

100.00

100.00

6.23

1

중국

12,560

16,262

21,927

31.44

39.25

45.53

34.84

2

독일

10,816

6,392

7,775

27.07

15.43

16.15

21.64

3

네덜란드

3,418

5,026

6,441

8.56

12.13

13.37

28.15

4

지역

2,564

2,701

2,142

6.42

6.52

4.45

-20.67

5

프랑스

1,581

1,822

1,518

3.96

4.40

3.15

-16.65

6

이태리

1,151

1,463

1,371

2.88

3.53

2.85

-6.26

7

미국

1,083

2,137

996

2.71

5.16

2.07

-53.40

8

스위스

533

311

650

1.33

0.75

1.35

109.09

9

아일랜드

85

99

645

0.21

0.24

1.34

553

21

대한민국

73

101

149

0.18

0.24

0.31

47.26

* 주: HS 9019 코드는 의료 및 웰빙 기기를 광범위하게 포괄하나, 스킨케어 목적의 개인용 디바이스 수입을 상당 부분 포함함

[자료: Global Trade Atlas ( 2025. 4월)]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HS 9019 코드에 따른 수입액은 약 3995만 달러에서 4815만 달러로 16.23% 증가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024년 기준 14만9100달러로, 전년 대비 47.26% 증가해 한국이 그리스의 뷰티도구 수입국 중 21위로 부상했다. 이는 그리스 내 K-뷰티 기술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출 전 고려 사항


한국 기업이 그리스에 화장품 및 스킨케어 기기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유럽연합(EU)의 규제 기준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주요 요건은 다음과 같다.

  • EU 화장품 규정(1223/2009) 준수
  • 제품 안전성 평가 및 CPNP(화장품 제품 통보 포털) 등록
  • INCI 형식 성분 목록과 그리스어 번역 포함 라벨링
  • CE 마크 획득 및 해당 시 의료기기 규정(MDR) 준수


시사점


그리스 시장 진출 시 뷰티 리테일러, 유통업체, 전자상거래 플랫폼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이 중요하다. 제품 포지셔닝 관점에선, 고급 기술력을 유지하면서도 가격 경쟁력을 갖춰야 하며, 인플루언서 마케팅 및 피부과 전문의와의 협력을 통한 현지화 마케팅 전략도 중요하다. 또한, 제품에 대한 튜토리얼, 고객지원, 2년 보증 제공 등 사후관리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소비자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친환경 및 지속 가능성이 점점 더 중요한 구매 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므로, 충전식·다기능·친환경 소재 제품 개발도 고려해야 한다.


그리스의 스킨케어 뷰티 디바이스 시장은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뷰티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AI 기반 기기, 홈케어 트리트먼트, 다기능 디바이스 등은 이 분야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스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선 합리적인 가격, 혁신, 사용자 친화성을 조화시켜야 하며, 규제 준수 및 현지화 마케팅 전략이 필수적이다. 스킨케어 기기는 그리스 소비자의 일상 속 뷰티 루틴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있는바, 이는 한국 기업에게도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자료: Statista, Global Market Insights, Precedence Research, National Organization for Medicines(EOF 그리스식약청) , Global Trade Atlas, KOTRA 아테네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스킨케어 기기, 그리스 뷰티 트렌드의 미래를 이끌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