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콜롬비아 색조화장 트렌드 중심에 있는 한국 화장품
- 트렌드
- 콜롬비아
- 보고타무역관 김민정
- 2025-04-14
- 출처 : KOTRA
-
콜롬비아 색조화장품 시장 진출, 제품 성분·현지 유통전략이 핵심
기능성 색조화장품 인기 속 한국 제품 수출 증가
2024년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의 콜롬비아 색조화장품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자연스러운 화장 추세에 힘입어 색조화장품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또한, 기초 화장품과 색조화장품의 경계가 흐려지면서, 히알루론산, 콜라겐, 레티놀 등 피부 관리 기능이 첨가된 입술화장용 제품과 비타민 성분이 포함된 마스카라와 눈썹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블러셔는 스틱형, 액체형 등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가 유행하고 있다. 반면, 연령층에 따라 구매 성향이 다른데, 젊은 소비자층은 이전 세대보다 브랜드 충성도가 낮고 더 많은 정보를 기반으로 구매하는 특징을 보인다.
GTA 통계 분석 결과, 최근 3년간 콜롬비아의 화장품 및 미용 제품(HS 코드 3304) 수입은 꾸준히 증가해 2024년에는 10.24%의 증가율을 보였다. 입술화장용 제품류는 44.15%의 높은 연간 성장률을 보이는데, 특히 천연 오일이 포함된 액체 및 스틱 형태의 입술화장용 제품이 연중 인기 제품으로 자리 잡았다.
<화장품 및 미용 제품(HS 코드 3304) 최근 3개년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HS 코드
품목명
2022년
2023년
2024년
‘24/’23 증감율
3304
화장품 및 미용 제품
206,786
243,715
268,674
10.24
330499
기타
158,783
193,599
213,895
10.48
330420
눈화장용 제품류
22,718
22,394
21,278
-4.98
330410
입술화장용 제품류
7,413
11,647
16,789
44.15
330491
가루(압축 여부 상관없음)
6,017
7,787
8,875
13.97
330430
매니큐어용 제품류와 페디큐어용 제품
11,855
8,287
7,837
-5.43
[자료: GTA]
콜롬비아에 화장품 및 미용 제품을 수출한 국가 중, 2024년 대한민국의 수출액은 748만6000달러로, 2023년 427만6000달러에서 크게 증가했다. 2023년 대비 75% 이상 증가한 수치다. 주요 수출 국가 중 압도적으로 높은 증가율이다. 이는 대한민국이 콜롬비아 화장품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한다.
<화장품 및 미용 제품(HS 코드 3304) 최근 3개년 대콜롬비아 수출 국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2022년
2023년
2024년
‘24/’23 증감율
1
스페인
27,967
38,660
43,957
13.70
2
중국
26,538
27,372
37,852
38.28
3
프랑스
27,286
32,611
33,025
1.27
4
미국
29,172
33,568
30,187
-10.07
5
브라질
17,833
22,580
24,995
10.69
6
멕시코
17,125
17,273
19,290
11.67
7
폴란드
12,422
15,180
16,764
10.44
8
이탈리아
7,263
11,036
13,292
20.45
9
대한민국
4,066
4,276
7,486
75.07
10
독일
3,558
3,900
5,022
28.78
[자료: GTA]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콜롬비아 색조화장품 전체 소매 판매액은 2021년부터 매해 증가하고 있다. 2021년 2억400만 달러에서 2024년 3억56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색조화장품 판매액은 2029년까지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색조화장품에서 2023년 가장 많이 판매된 품목은 아이메이크업 제품으로 9180만 달러 판매액을 기록했다. 피부메이크업(6550만 달러), 립메이크업(5980만 달러), 네일 제품(4560만 달러)이 그 뒤를 따른다.
<콜롬비아 색조화장품 전체 소매 판매액 및 2023년 품목별 판매액>
(단위: US$ 백만)
[자료: Euromonitor, KOTRA 보고타 무역관 재구성]
한국 기업 진출 가능성
GTA 통계에 따르면, 콜롬비아 화장품 시장에 수입되는 한국산 화장품(HS 코드 3304)은 최근 3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입술화장용 제품류, 가루, 매니큐어용 제품의 수입이 급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에는 입술화장용 제품류의 수입액이 35만2000달러로 2023년 대비 400% 이상 증가했으며, 매니큐어용 제품류와 페디큐어용 제품도 346% 증가한 3000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가루 제품은 527% 증가하여 10만7000달러로 수입액이 급증했다. 눈화장용 제품류의 수입액만 소폭 감소했다.
<최근 3개년 한국산 제품(HS 코드 3304) 수입액>
(단위: US$ 천, %)
순위
HS 코드
품목명
2022년
2023년
2024년
‘24/’23 증감율
1
330499
기타
3,789
3,889
6,730
73.06
2
330410
입술화장용 제품류
43
70
352
400.67
3
330420
눈화장용 제품류
194
299
294
-1.70
4
330491
가루(압축 여부 상관없음)
-
17
107
527.54
5
330430
매니큐어용 제품류와 페디큐어용 제품
41
1
3
346.45
[자료: GTA]
KOTRA 보고타 무역관은 콜롬비아 색조화장 트렌드와 수출 유망 품목을 알아보기 위해, 현지에서 영향력 있는 메이크업 아티스트 세 명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이 중 페르제타(FerZeta)는 칼리 출신으로 자신의 SNS를 통해 메이크업 영상을 공유하고 있다. 멜리 모랄레스(Meli Morales)는 메데인 출신으로 자신의 브랜드 MakeUp By Meli Morales를 운영하고 있다. 엘리아나 카브레라(Eliana Cabrera)는 보고타 대형 교회에서 활동하는 전문 메이크업 아티스트로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활동한다.
Q1. 요즘 콜롬비아에서 유행인 화장은?
A. 광채와 지속력을 갖춘 피부 표현이 대세다. 자연스러운 속눈썹, 눈썹과 컬러 마스카라가 유행한다. 투명한 피부 표현과 크림 블러셔가 유행하고 있다. 특히 부드러우면서 자연스러운 새틴 스킨 화장이 트렌드이다. 또한 체리, 레드 계열의 립 제품, 블러셔가 유행하며 90년대에서 영감 받은 실버 글리터가 유행한다.
Q2. 최근 인기있는 메이크업 제품은?
A. 고정력 있는 파운데이션, 프라이머, 픽서, 세팅 파우더를 많이 찾는다. 무너짐 없고 보송보송하게 유지되는 화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가볍고 촉촉한 틴트 제형의 립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다양한 색상과 촉촉한 제형의 립글로스와 눈매를 강조하는 마스카라가 인기가 많다.
Q3. 연령대별로 인기 있는 제품은?
A. 10대는 립 틴트, 립 오일, BB크림, 컬러 선크림, 리퀴드 블러셔 등 가볍고 자연스러운 제품을 선호한다. 20~30대에는 스틱 형태의 컨투어 제품, 커버력 좋은 파운데이션, 워터프루프 마스카라, 발색력 좋은 아이섀도우가 인기 있다. 40대 이상은 클래식한 립스틱, 촉촉하고 안티에이징 효과 있는 제품을 찾는다.
Q4. 화장품 구매 시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A. 좋은 성분, 기능, 패키지를 종합해서 고려한 후 구매로 이어진다. SNS 영향으로 성분과 제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피부 타입에 맞는 순한 성분을 꼼꼼히 확인하는 경향이 있다. 제품의 품질, 효과, 가격 대비 만족도가 구매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화장품 수출 관련 법률 및 규정
콜롬비아에 화장품을 제조하거나 수출하려면, INVIMA(콜롬비아 식품의약품감독청)에 위생신고(NSO)를 해야 한다. 먼저 해당 제품이 화장품의 정의에 부합하는지 확인한 후, 제품명, 사용 용도, 성분 등 주요 정보를 포함한 신청서를 작성하고, 공인 약사의 서명과 수수료 납부 영수증 등 관련 서류를 준비해야 한다. 이 서류들은 INVIMA에 직접 제출하거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접수할 수 있으며, 심사를 거쳐 위생신고번호(NSO 코드)가 부여된다. 이 코드는 제품 라벨에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유효기간은 없지만 성분, 라벨, 소유권 등에 변경이 발생할 경우에는 반드시 변경 신고를 해야 한다. 신청인은 콜롬비아에 거주해야 하며, 구체적인 절차는 INVIMA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국과 콜롬비아는 FTA 발효 이후 지속적으로 관세를 인하해 왔으며, 2022년 1월 1일부터는 HS 코드 3304 하위 범주(HS 코드 330410, 330420, 330430, 330491, 330499)에 해당하는 한국산 화장품에 대해 관세가 0%로 적용되고 있다.
한편 2023년 기준 콜롬비아 색조화장품 유통의 약 94%는 오프라인에서 거래된다. 이 중 일반 잡화점, 화장품 전문점에서 약 53%의 오프라인 소매가 이뤄진다. 반면, 방문판매나 식료품점에서 판매하는 형태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다. 또한 주요 색조화장품인 립, 아이 메이크업 제품과 네일 제품의 HS 코드(330410, 330420, 330430)를 수입하는 콜롬비아 회사는 BEL STAR S A, YANBAL DE COL S A, TRENDY SHOP BTA SAS, PREBEL S A등이 있다.
<2024년 콜롬비아 주요 색조화장품 주요 수입 회사 통계>
(단위: US$)
수입 회사명
총 FOB 금액
BEL STAR S A
4,291,765
YANBAL DE COL S A
2,697,448
TRENDY SHOP BTA SAS
2,671,846
PREBEL S A
2,407,755
NATURA COSMETICOS LTDA
1,801,205
L OREAL COL S A S
1,732,393
CERESCOS S A S
1,273,573
C E LOGISTICA INTEGRAL SAS
1,183,909
MINISO COLOMBIA S A S
1,148,261
PROSALON DIST S A S
1,108,892
[자료: SICEX]
색조화장 관련 전시회
한국 기업들은 콜롬비아 미용 박람회에 참가해 색조화장품 시장에 진출하고 현지 유통망을 확보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메데진에서 열리는 Expo Belleza Colombia와 보고타에서 열리는 Feria Belleza y Salud이 있다.
<색조화장 전시회>
Expo Belleza Colombia
Feria Belleza y Salud
개최 시기
매년 6월경
매년 8월경
개최 도시
메데진
보고타
주요 분야
미용실 전문 제품, 메이크업, 네일, 바버샵, 피부 관리, 제품 출시 쇼, 콘테스트 등
화장품, 건강, 통합 미용, 웰니스, 스파, 미용 의학, 천연 제품, 학술 포럼 등
참가 대상
미용 전문가, 유통업체, 뷰티 전공 학생, 일반 대중
건강·미용 전문가, 유통업체, 기업 관계자
특징
민간 부문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미용 전문 박람회
국제적 위상을 가진 가장 전통 있는 종합 미용 박람회
[자료: 각 행사 홈페이지]
향후 전망
유로모니터 보고서에 따르면, 앞으로 색조화장품 시장은 실용성과 경제성을 갖춘 다기능 제품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아름다움과 건강의 경계가 점차 흐려지면서, 보습이나 노화 방지처럼 피부에 이로운 성분을 담은 제품들이 인기를 끌 전망이다. 또한, 짧은 영상 기반의 온라인 매체와 SNS 서비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제조업체와 판매업체는 가상 체험 기능과 함께 인터넷과 매장을 아우르는 통합 유통 전략을 강화해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혀야 한다. 한편, 천연·유기농·동물성 원료를 사용하지 않은 성분을 바탕으로 한 친환경 제품과 내용물을 다시 채워 쓸 수 있는 포장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피부 관리와 색조화장의 경계가 흐려지는 가운데 추가 기능을 앞세운 제품들이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Euromonitor, GTA, Arancel Electrónico Legis, SICEX, INVIMA 등 KOTRA 보고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콜롬비아 색조화장 트렌드 중심에 있는 한국 화장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필리핀 기초 화장품 시장 동향
필리핀 2025-04-14
-
2
윤리 소비 뷰티 트렌드: 중국 비건 뷰티의 부상
중국 2025-04-15
-
3
스킨케어 기기, 그리스 뷰티 트렌드의 미래를 이끌다
그리스 2025-04-15
-
4
인도 부동산 시장, 고급 주택 중심 성장 지속
인도 2025-04-14
-
5
2024년 인도네시아 경제동향 및 2025년 전망
인도네시아 2025-04-08
-
6
중국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 티몰 베스트셀러와 ‘홈뷰티’ 트렌드 분석
중국 2025-04-15
-
1
2024년 콜롬비아 화훼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4-08-30
-
2
2024년 콜롬비아 커피 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4-06-07
-
3
2021년 콜롬비아 제약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1-05-14
-
4
2021년 콜롬비아 자동차 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1-05-14
-
5
2021년 콜롬비아 인프라 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1-05-14
-
6
2021년 콜롬비아 석유&천연가스 산업 정보
콜롬비아 2021-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