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네시아 바탐 자유무역지대 및 투자 환경
  • 투자진출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도희수
  • 2025-04-16
  • 출처 : KOTRA

자유무역지대(FTZ)와 특별경제구역(SEZ)을 통해 매력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바탐

현지 경쟁환경 및 문화, 인도네시아 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을 깊이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

바탐은 인도네시아 리아우 제도 주(Kepulauan Riau Province)에서 가장 큰 도시로, 바탐, 름빵, 갈랑(통칭 바렐랑) 세 개의 주요 섬과 여러 작은 섬으로 이뤄져 있다. 전략적 위치 덕분에 동남아시아의 핵심 경제 허브로 성장했으며, 싱가포르에서 남쪽으로 약 20km, 말레이시아와도 인접해 무역과 투자 활동이 활발하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바쁜 해운 항로 중 하나인 말라카 해협을 따라 위치해 있어 글로벌 물류, 조선업, 수출 지향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970년대에 바탐은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가스 기업인 페르타미나에 의해 석유 및 가스 산업의 물류·운영 기지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이후 1973년, 인도네시아 대통령령 제41호에 따라 바탐 개발이 정부 기관인 바탐 섬 산업단지 개발청(현재의 바탐 사업관리기관, BP Batam)에 맡겨졌다. 2007년부터는 인도네시아 정부 규정 제48호에 따라 바탐 전 지역이 70년 동안 자유무역지대(FTZ)로 지정됐다.


바탐 자유무역지대(FTZ) 경제 현황


바탐은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자유무역지대로,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이뤄왔다. 2023년 바탐의 경제 성장률은 6.69%로, 전국 평균 성장률(5.03%)을 상회한다. 아구스 카다리얀토(Agus Kadaryanto) 바탐 통계청(BPS Batam) 청장은 바탐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가공산업(56.83%), 건설업(20.41%), 도소매·자동차·오토바이 수리업(6.33%)을 꼽았다.

 

인도네시아 중앙 통계청(BPS)에 따르면, 2023년 바탐시의 1인당 GRDP(지역 내 총생산)는 1억7197만 루피아(약 1만1282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은 8.23%를 유지하고 있다. 2024년 바탐의 GRDP는 약 100억8000만 달러로, 인도네시아 전체 GDP(약 1조4000억 달러)의 0.72%를 차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투자부에 따르면, 2023년 바탐의 외국인 직접 투자(FDI) 총액은 5억9590만 달러에 달했으며, 3551개 프로젝트에 분산되어 있다. 싱가포르가 3억6650만 달러를 투자하며 최대 투자국으로 부상했으며, 중국(5180만 달러), 홍콩(4170만 달러), 프랑스(4080만 달러), 일본(2270만 달러)이 그 뒤를 잇는다.

 

2023년 바탐의 수출 데이터에 따르면, FOB(본선 인도 가격) 기준 상위 5개 수출 대상국은 싱가포르(48억9000만 달러), 미국(34억7000만 달러), 중국(9억400만 달러), 일본(5억300만 달러), 호주(3억6800만 달러)이다. 한편, CIF(운임·보험료 포함 가격) 기준 바탐의 상위 5개 수입국은 중국(42억 달러), 싱가포르(20억9000만 달러), 일본(11억2000만 달러), 대만(10억4000만 달러), 말레이시아(6억6874만 달러)로 집계됐다.

 

<2015~2022년 바탐의 주요 5대 수입대상>

순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1

2022

1

싱가포르

싱가포르

싱가포르

싱가포르

싱가포르

중국

중국

2

중국

중국

중국

중국

중국

싱가포르

싱가포르

3

일본

일본

일본

일본

일본

말레이시아

대만

4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일본

일본

5

미국

독일

독일

미국

대만

대만

독일

[자료: BPS Batam,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BPS Batam에 따르면, 주요 수입국으로부터 들어오는 상위 5개 품목은 다음과 같다.


<2020~2022년 바탐의 주요 수입대상별 수입 상위 5개 품목> 

(단위: US$ 백만, CIF 가치기준)

수입국

수입연도

1위

2위

3위

4위

5위

중국

2020

전기 기계·장비

기계 및 기계설비

철·철강 제품

철·철강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830.7

142.3

111.5

81.1

48.3

2021

전기 기계·장비

기계 및 기계설비

철·철강

철·철강 제품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1,957.1

344.1

139.5

134.4

95.3

2022

전기 기계·장비

기계 및 기계설비

철·철강

철·철강 제품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2,658.9

548.0

342.9

174.2

126.5

싱가포르

2020

전기 기계·장비

기계 및 기계설비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철·철강 제품

철·철강

1,146.9

434.8

299.9

178.5

147.4

2021

전기 기계·장비

기계 및 기계설비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차량·차량 부품

철·철강 제품

955.3

433.3

268.1

126.4

101.9

2022

전기 기계·장비

기계 및 기계설비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철·철강

철·철강 제품

989.2

375.0

228.4

171

99.9

대만

2020

전기 기계·장비

철·철강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기계 및 기계설비

알루미늄

311.2

27.9

14.0

13.8

9.7

2021

전기 기계·장비

철·철강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기계 및 기계설비

종이·상자

418.1

35.4

28.3

15.5

8.3

2022

전기 기계·장비

철·철강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기계 및 기계설비

구리

807.4

41.4

17.3

16.5

11.2

일본

2020

철·철강 제품

선박

전기 기계·장비

기계 및 기계설비

철·철강

181.2

103.4

91.3

69.1

54.1

2021

전기 기계·장비

기계 및 기계설비

철·철강

무두질·염색 재료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163.1

111.7

78.2

43.8

43.0

2022

철·철강

전기 기계·장비

기계 및 기계설비

철·철강 제품

무두질·염색 재료

215.6

179.9

117.3

111.3

50.7

말레이시아

2020

전기 기계·장비

선박

기계 및 기계설비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편직물

231.3

62.8

62.3

29.5

20.6

2021

전기 기계·장비

기계 및 기계설비

선박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편직물

206.6

59.1

48.5

45.1

41.8

2022

전기 기계·장비

기계 및 기계설비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광물 연료

구리

268.4

55.9

40.0

35.1

25.3

[자료: BPS Batam,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2023년 바탐의 주요 수출입 품목 상위 5개는 아래와 같으며, 바탐시 정부에 따르면 2024년 6월 기준으로 바탐에 등록된 기업 수는 2만2082개에 달한다. 2023년 바탐의 노동자는 대부분 인도네시아인으로 총 64만5065명이 근무하고 있다. 반면, 외국인 노동자는 3328명으로 전체 노동력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2023년 바탐 주요 수출입 품목>

(단위: US$ 백만, %)

순위

수출 품목

수출 규모

총수출액 내 비중

수입 품목

수입 규모

총수입액

내 비중

1

전기 기계·장비

7,345.8

50

전기 기계·장비

6,015.0

43.4

2

기계 및 기계설비

1,591.8

10.9

기계 및 기계설비

1,974.5

14.3

3

·철강 제품

920.3

6.3

·철강 제품

1,437.5

10.4

4

기름 및 동물성·식물성 지방

736.2

5.0

·철강

962.9

7.0

5

기타 화학 제품

543.8

3.7

플라스틱·플라스틱 제품

636.9

4.6

 -

합계

11,137.9

76.23

합계

13,842.7

79.7

[자료: BPS Batam,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정리]

 

인도네시아 바탐 한국 기업 교류 현황


바탐은 전략적 투자와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과 협력 관계를 구축해 왔다. 바탐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한국은 대만에 이어 바탐의 7대 수입대상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나, 바탐의 주요 수출 대상국 상위 10위 안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2022년 바탐의 한국 주요 수입품은 다음과 같다.

 

<2022년 한국으로부터의 주요 수입 품목>

(단위: US$백만)

순위

품목

HS 코드(2자리 기준)

수입규모

1

기계·전기 장비

85

354.5

2

선박

89

107.3

3

·철강 제품

73

40.9

4

·철강

72

32.6

5

기계 장비

84

24.8

[자료: BPS Batam]

 

바탐에 진출한 주요 한국 기업으로는 롯데마트, CGV, 신라면세점 등이 있다. 2024년 6월 라이온에어와 제주항공의 협력으로 바탐 Hang Nadim 국제공항과 인천을 연결하는 직항 노선이 개설됐으며, 2024년 12월 말에는 바탐과 인천을 잇는 직항 화물 노선도 운항을 시작했다. 다만, 공식적인 한국 진출기업 수는 파악에 어려움이 있으며, BP Batam에서 별도로 한국 진출 기업에 대한 정보는 관리하고 있지 않다고 답변했다. 


바탐 산업 단지


바탐에는 총 31개의 산업 단지가 있으며, 특히 제조업, 전자, 조선, 물류 분야에서 경제 성장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 단지들은 바탐의 자유무역지대(FTZ) 및 경제특구(SEZ) 혜택을 받아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바탐의 주요 산업 단지는 다음과 같다.

 

<바탐의 6대 주요 산업단지>

산업 단지

주요 산업

Batamindo Industrial Park

전자, 정밀기계

Bintang Industrial Park II

전자, 금속가공, 플라스틱

Kabil Integrated Industrial Estate (KIIE)

석유 및 가스, 조선, 물류

Panbil Industrial Estate

전자, 제약, 식품 가공

Tanjung Ucang Industrial Zone

조선, 해양, 해양 석유 및 가스

Sekupang Industrial Estate

경공, 물류

[자료: BP Batam,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바탐특별경제구역(SEZ)


바탐은 외국인 투자 유치, 산업 발전, 무역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특별경제구역(SEZ)로 지정됐다. 이를 통해 세금 감면, 통관 절차 간소화, 인프라 개선 등 다양한 인센티브가 제공되며, 기업 친화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바탐 특별경제구역 지도>


[자료: BP Batam]

 

현재 바탐에는 두 개의 경제특구(SEZ)가 운영되고 있다. Nongsa Digital Park는 IT 및 창조 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Batam Aero Technic은 항공기 유지보수, 수리, 및 점검(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바탐 사업관리기관(BP Batam)은 기존 두 개의 경제특구(SEZ) 외에도 공항 물류 및 의료 서비스·피트니스 관광 분야에서 두 개의 추가 경제특구를 개발 중이다. 


먼저 Batam Aerocity는 공항 주변 지역을 경제 중심지로 개발코자 하며, 투자자들이 항공 운송을 활용해 상품을 효율적으로 배송할 수 있도록 한다. Batam Aerocity를 통해 인도네시아 바탐의 항 나딤 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전략적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 계획에 있으며, 이 지역을 종합 물류 및 비즈니스 허브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 번째로는 Sekupang International Health 특구가 있다. 스쿠팡에 있는 국제 의료 관광 경제특구(SEZ)는 바탐을 인도네시아 최고의 의료 관광지로 만들기 위한 핵심 프로젝트로, 매년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 해외로 나가는 이백만 명의 인도네시아 의료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바탐 경제특구(SEZ) 세부내용>

① Nongsa Digital Park

홈페이지

https://www.nongsadigital.com/

개발자

PT Taman Resor Internet

산업

IT, 창조 산업, 데이터 센터

규모

166ha

위치

농사 지구

접근성

-       항공: Hang Nadim 국제항공 (10km)

-       항구: Nongsapura 페리 터미널 (1.2km)

관할기관 연락처

전화번호 +62 778 7100 673

이메일 marketing@nongsadigital.com

대표입주기업

-       GDS 데이터 센터(중국)

-       Apple Developer Academy(미국)

-       Gaw Capital(홍콩)

-       CPR Vision(싱가포르)


② Batam Aero Technic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batamaero.technic/?hl=en

개발자

Lion Group

산업

항공기 유지보수, 수리, 및 점검(MRO)

규모

5ha

위치

바탐 시내

접근성

-       항공: Hang Nadim 국제 항공 (12km)

-       항구: Batam Center 국제 페리 터미널 (1.3km)

관할기관 연락처

+62 811 9474 364


③ Batam Aerocity 투자 프로젝트(추진 중)

 개발자

BP Batam

규모

1763ha

산업

공항, 물류, 도심, 항공

위치

항나딤 공항(Hang Nadim)

접근성

-       항공: 항나딤 국제공항 (0 km)

-       항구: 카빌 치트라누사(Kabil Citranusa) 화물 항구(12.5km)

프로젝트 상태

경제특구 제안 문서 준비

관할기관 연락처

+62778 462 047 / humas@bpbatam.go.id


④ Sekupang International Health 투자 프로젝트(추진 중)

 개발자

BP Batam

규모

44.5ha

산업

의료 서비스 및 피트니스 관광

투자 규모

216 백만 달러

위치

스쿠팡

접근성

-       항공: Hang Nadim 국제공항

-       항구: Sekupang 국제 페리 터미널

프로젝트 상태

바탐, 빈탄, 카리문(BBK) 자유무역지대 협의회와 논의 중

관할기관 연락처

+62778 462 047 / humas@bpbatam.go.id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정리]

 

바탐 최저 임금 동향


2025년부터 바탐의 최저임금은 월 498만9600루피아로 공식 결정됐으며, 이는 전년도(468만5050루피아) 대비 6.5%(30만4550루피아) 인상된 금액이다. 이번 조정으로 바탐은 리아우 제도 주(Kepulauan Riau Province)내에서 최저임금이 가장 높은 도시이며, 인도네시아 내에서는 최저임금이 10번째로 높은 도시가 됐다. 

 

<2025년 인도네시아 최고 최저임금 비교>

도시

최저 임금

순위

브까시

Rp5,690,752

1

까라왕

Rp5,599,593

2

자카르타

Rp5,397,761

3

땅그랑

Rp5,069,708

8

바탐

Rp4,989,600

10

[자료: Kompas]

 

시사점

바탐은 싱가포르에서 약 20km 거리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로, 잘 발달된 항만과 항나딤(Hang Nadim) 국제공항을 통해 제조, 물류, 수출에 있어 이상적인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아울러 다양한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자유무역지대(FTZ)와 특별경제구역(SEZ) 지위를 통해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주요 혜택으로 생산 및 수출을 위한 원자재, 기계, 자본재에 대한 수입 관세, 부가가치세(VAT), 사치품세(LST) 면제 등 세금 및 관세 혜택이 포함된 만큼, 우리 기업들은 산업 군에 따라 법인 소득세 감면 및 면제 등의 운영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어 투자 시 이 점을 려할 수 있다.  

 

현재 바탐의 주요 산업을 크게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제조업 분야에는 전자 및 전기, 산업 기계, 건설, 조선, 석유 및 가스 장비, 정보통신 기술(ICT), 반도체 및 전자 장비, 자동차 및 부품 산업이 있으며 서비스업 분야는 관광, 의료, MRO(유지보수·수리·정비), 프쇼어 금융, 물류, 교육 등이 핵심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을 염두해 둬야 한다. 또한 바탐은 전자·조선·제조 분야의 숙련된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첨단 기술 산업의 경우 추가 교육이나 외국인 전문가 영입이 필요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하며, 무엇보다 현지 경쟁환경 및 문화, 인도네시아 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을 깊이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자료인도네시아 중앙 통계청(BPS), 인도네시아 투자부, 인도네시아 바탐 통계청(BPS Batam), 바탐 사업관리기관(BP Batam), 현지언론(Kompas 등),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바탐 자유무역지대 및 투자 환경)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