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윤리 소비 뷰티 트렌드: 중국 비건 뷰티의 부상
  • 트렌드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5-04-15
  • 출처 : KOTRA

자연주의·지속가능성·가치소비를 추구하는 중국 Z세대

성분과 철학을 모두 담은 비건 뷰티, 중국 뷰티시장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및 지속 가능성’이 대두되며 티 산업에서도 해당 주제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소비자들은 화장품의 인체 안전성뿐만 아니라,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뷰티 브랜드는 지속 가능한 원료를 사용하고, 오염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자극이 적고, 동물 실험을 실시하지 않은 제품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또한,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재를 사용하고 포장 폐기물을 줄이는 것도 업계의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비건 화장품(vegan cosmetics, 纯素化妆品)>

동물성 원료를 일절 사용하지 않고,

제품 개발 및 생산 과정 전반에서 동물 실험을 하지 않은 화장품


 

시장 현황


중국 화장품 산업은 최근 몇 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대표 시장조사 기관 iiMedia Research(艾媒咨询)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중국 화장품 시장 규모는 516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했으며, 2025년에는 5791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국민들의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고, 외모와 자기만족을 중시하는 소비 성향이 강해지면서 화장품 소비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화장품 산업은 제품군 세분화, 기능성 제품 확대, 프리미엄 브랜드 경쟁력 강화 등 다양한 방향으로 구조가 재편되고 있다.

 

젊은 소비자들이 친환경, 건강, 지속 가능성과 같은 가치를 중시함에 따라, ‘클린’과 ‘비건’이 최근 뷰티 브랜드 마케팅의 핵심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다. 비건 뷰티는 채식주의 개념에서 출발한 뷰티 트렌드로, 제품에 동물성 원료와 동물 유래 성분(예: 꿀, 스쿠알렌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비건’이라는 용어와 함께, 동물 실험을 하지 않았다는 의미의 ‘크루얼티 프리(Cruelty-Free, 零残忍)’ 표현도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건 제품은 반드시 엄격한 표준 심사를 통과해야 인증 마크를 취득할 수 있다.

 

Grand View Research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비건 화장품 시장은 연평균 6.3% 성장하고 있으며, 2025년 시장 규모는 208억 달러(약 132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특징


비건 화장품의 주요 특징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비건 화장품은 동물성 성분을 일절 사용하지 않는다. 일반 화장품에 흔히 포함되는 꿀, 밀랍, 콜라겐, 코치닐 추출물(붉은색 염료), 동물성 글리세린, 우유 단백질 등은 모두 사용하지 않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식물유래 성분(예: 식물성 글리세린, 대두 단백질, 코코넛 오일 등)이나 인체에 안전한 합성 원료로 대체된다.

 

둘째, 완제품뿐만 아니라 원료 조달 및 생산 전 과정에서도 동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전혀 이뤄지지 않는다.

 

셋째, 비건 화장품은 국제적으로 공인된 비건 인증을 통해 소비자에게 신뢰를 제공하며, 대표적인 인증기관으로는 The Vegan Society, EVE VEGAN, V-LABEL 등이 있다.

 


대표 비건 브랜드


최근 동물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소비자들이 제품 성분의 안전성과 윤리성에 주목하면서 비건 화장품 제품을 출시하거나 브랜드 전체를 비건 뷰티로 전환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비건 뷰티가 처음 시작된 미국과 유럽은 중국보다 시장 기반이 잘 형성돼 있고, 소비자층도 더 넓고 다양하다.

 

글로벌 브랜드 중, 영국 브랜드 더 바디샵(The Body Shop)은 모든 제품의 성분 조합이 영국 비건 협회(The Vegan Society)의 인증을 통과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더 바디샵은 스킨케어, 퍼스널 케어, 메이크업, 향수 등 모든 제품 라인에서 100% 비건 성분 원재료를 사용한 첫 번째 글로벌 뷰티 브랜드로 주목받고 있다.

 

호주 브랜드 이솝(Aesop) 역시 대표적인 비건 브랜드로, 동물 실험을 거치지 않은 원재료만을 사용해서 제품을 제조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해당 브랜드는 ‘리핑 버니(Leaping Bunny)’ 인증을 취득했으며, PETA(동물윤리협회)가 선정한 ‘비동물실험·쿠루얼티 프리·비건 인증 브랜드 리스트(未经动物测试零残忍和纯素名单)’에도 포함된다. 특히, 이솝의 중국 시장 진출은 중국 비건 화장품 시장에 의미 있는 영향을 준 사례로 평가된다.

 

<글로벌 비건 화장품 브랜드>

브랜드 로고

브랜드명

특징

더 바디샵

(The Body Shop)

- 2024년 전 제품 라인업 100% 비건 전환 (영국 비건 협회 인증)

- 동물 실험 반대 운동 대표 브랜드

- 커뮤니티 공정 무역 원료 사용

이솝

(Aesop)

- 동물 실험 반대 브랜드

- PETA·리핑버니 인증 보유

- 100% 비건 제품군

러쉬

(Lush)

- 약 95% 제품이 비건

- 동물 실험 반대 운동 주도

- 핸드메이드 제품, 신선한 재료 사용

- 재사용 가능한 포장 활용

퍼시피카

(Pacifica)

- 100% 비건 & 크루얼티 프리

- 환경친화적인 포장재

- 저자극 성분 기반 제품 개발

e.l.f. Cosmetics 

(엘프)

- 100% 비건 전환 완료

- 전 제품 동물실험 미실시

- 저가+고품질 지향(대중 접근성이 높음)

[자료: 각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

 

이 외에도 러쉬(Lush), 퍼시피카(Pacifica), e.l.f. Cosmetics(엘프)와 같은 글로벌 브랜드들이 각기 다른 강점을 기반으로 비건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한국의 LG생활건강도 2022년 비건 뷰티 브랜드 프레시안(Freshian)을 선보이며 글로벌 트렌드에 발맞추고 있다. 반면, 중국 내에서도 식물성 원료 기반의 스킨케어 및 메이크업 브랜드가 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전체 시장 규모가 크지 않고 대중적인 인지도도 낮은 편이다


<중국 내 주요 비건 화장품 브랜드>

브랜드 로고

브랜드명

특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0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37pixel, 세로 334pixel

Whisper

(植想说)

-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비건 스킨케어 브랜드로, 식물 추출 성분을 활용해 기존의 화학 첨가물과 방부제를 대체해 제품 제조

- 영국 비건 협회(The Vegan Society) 인증을 취득했으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리어프리 제품도 개발해 적극 판매하고 있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0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9pixel, 세로 558pixel

SOBER BEAUTY

(素幸)

- 천연 원료 기반의 안전하고 환경 친화적인 제품에 주력하는 중국 국내 비건 메이크업 브랜드

- 중국 내 비건 뷰티 브랜드 중 최초로 국제 비건 협회 인증을 취득해 브랜드 이미지 및 신뢰도 제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0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0pixel, 세로 197pixel

SUXI

(素僖)

- 2015년 칭다오에서 설립된 비건 스킨케어 브랜드로, ‘기능 중심’, ‘무첨가’를 브랜드 핵심 콘셉트로 채택

- 2022년, 전 세계 70여 개국에서 인정받는 유럽 비건 협회의 ‘클린 비건(Clean Vegan)’ 인증을 취득하며 국제적 신뢰도 확보

[자료: 각 브랜드 공식 위챗 계정]

 


인증 및 정책


비건 화장품 브랜드는 공신력 있는 인증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형성하고자 하며, 소비자 또한 이러한 인증 마크를 기준으로 품질이 검증된 제품을 선택하기를 희망한다. 신뢰도 있는 인증기관이 마련한 엄격한 기준에 따라, 비건 화장품은 더 이상 모호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이 아닌,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반면, 중국 내 비건 화장품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어, 통일된 인증 기준이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일부 브랜드는 ‘비건’으로 제품을 홍보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동물성 원료를 포함한 제품이 유통된 사례가 확인되며, 비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저하와 정보 혼란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대응해, 중국생물다양성보호 및 녹색발전기금회(中国绿发会) 산하 표준위원회는 2024년 5월 24일, 중국 최초의 식물성 화장품 기준인 《식물성 화장품 표준(植物性化妆品标准)》을 제정·공표했으며, 5월 31일부터 해당 기준을 공식적으로 적용하기 시작했다.

 

<글로벌 주요 비건 라벨 및 인증 마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07.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3pixel, 세로 123pixel

EVE VEGAN

인증 기관:Vegan France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09.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9pixel, 세로 124pixel

THE VEGAN SOCIETY

인증기관:The Vegan Societ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1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1pixel, 세로 134pixel

VEGANOK

인증기관:VEGANOK association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1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0pixel, 세로 126pixel

CERTIFIED VEGAN

인증기관 :Vegan Action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1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2pixel, 세로 132pixel

VEGAN CERTIFICATION

인증기관 :NZ Vegetarian Societ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17.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6pixel, 세로 132pixel

KOREA AGENCY OF VEGAN CERTIFICATION AND SERVICES

인증기관 : 한국비건인증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19.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0pixel, 세로 139pixel

VEGAN BELARUS LABEL

인증기관:VEGANFEST.b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2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3pixel, 세로 123pixel

PLAMIL VEGAN TRADMARK

인증기관 : Plamil Foods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2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5pixel, 세로 128pixel

SELLO VEGANO

인증기관:Fundación Vegetarianos Ho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ip_image02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7pixel, 세로 122pixel

VEGAN AUSTRALIA CERTIFIED

인증기관:Vegan Australia

[자료: 망(茻) vegan(중국 비건 인증 플랫폼)]

 

또한, 2021년 5월 1일,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은 《화장품 등록 및 비안 자료 관리 규정(化妆品注册备案资料管理规定)》을 시행하고, 일반 수입 화장품에 한해 동물 실험 없이도 등록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완화했다. 이 조치로 동물 실험 요건으로 인해 진입이 제한되던 글로벌 브랜드들도 중국 시장에 본격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됐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중국 국내 비건 화장품 브랜드들은 치열해진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경쟁력 제고에 힘쓰고 있다. 특히 인증 획득, 제품 차별화, 소비자 인식 제고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글로벌 브랜드들과의 경쟁 속에서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시사점


중국 뷰티 시장은 단순히 규모만 확대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 취향의 다양화와 개인 맞춤형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화장품에 대한 수요는 스킨케어나 메이크업을 넘어, 퍼스널 케어와 향수 등 다양한 분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특히 20~30대 젊은 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자리 잡으면서, 이들은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뿐 아니라 개인의 취향과 환경적 가치까지 함께 고려하는 소비 행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수요 변화에 따라 뷰티 기업들은 다양한 소비자 요구를 반영한 제품 혁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비건 화장품의 뷰티 시장 내 점유율은 아직 크지 않지만, 충성도 높은 소비자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으며, 각 브랜드는 자체적인 브랜드 전략을 구축하며 시장 내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환경 보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고, 동물복지와 권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환경 속에서, 비건 화장품은 향후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시장으로 평가된다.


중국 내 한 의료미용 전문 기업 B 사의 관계자는 KOTRA 광저우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고유한 식물 자원이 풍부하며, 정부 차원에서도 전통 자원과 특산 식물을 기반으로 한 비건 화장품 원료 개발을 적극 장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천연 성분은 합성 원료에 비해 소비자에게 ‘자연스럽고 건강한 이미지’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과 효능 면에서도 높은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됩니다”라고 언급했다.

 

비건·친환경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중국 뷰티 시장은 단순한 제품 경쟁력을 넘어 지속 가능성과 윤리적 가치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을 고려하는 우리 기업은 현지 소비자 인식 변화와 인증제도, 친환경 트렌드 등을 반영한 브랜드 전략을 마련하고, 필요시 중국의 전통 자원 및 원료를 활용한 제품을 개발해 현지 시장에 적합한 차별화 전략을 모색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자료: iiMedia Researc(艾媒咨询), CBNData, 망(茻) vegan, GMW(光明网), KOTRA 광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윤리 소비 뷰티 트렌드: 중국 비건 뷰티의 부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