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의 국영기업 민영화, 이번에는 성공할 수 있을까
  • 경제·무역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문숙미
  • 2025-04-09
  • 출처 : KOTRA

IMF 4차 리뷰, 이집트의 거시경제 지표 호조, 번묜 민영화에 대한 단호한 노력 필요

마드불리 총리, 2024년 12월, 1년간 4개의 군 관련 기업 포함한 10개사 매간 계획 발표

이집트 국영기업 중 42.2%가 수익 미창출, 재정건전성 및 수출경쟁력 향상을 위해 민영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필요

국영기업 민영화 프로그램의 추진 배경

 

이집트 정부는 작년 3IMF로부터 80억 달러의 금융지원을 받는 데 합의했다. IMF는 이집트 정부에 유연한 환율제, 통화 긴축, 재정 긴축, 국영기업 민영화 등 강도 높은 경제 개혁을 요구했고 이집트 정부는 이를 받아들였다. IMF는 지원금을 20269월까지 8차에 걸쳐 지원하되, 이집트 정부의 경제개혁 이행사항을 점검 결과에 따라 지속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IMF는 4차 검토를 마치고 지난 311일에 12억 달러 지원이 승인됐다. 이집트는 현재까지 36억 달러를 지원받았다.

 

IMF20253월 발표한 4차 리뷰 결과 보고서에서 이집트가 지역적 도전에 불구하고 거시경제 안정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지만, 국영기업의 민영화로 대표되는 구조개혁에 있어 진전이 부족하다고 언급했다. IMF경제에서 국가의 영향력을 줄이고, 민간 부문 신뢰를 제고하기 위해 더 단호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최근 이집트 국영기업의 민영화는 정부가 직면한 과제이다. 정부 역시 예전에 지지부진했던 태도에서 변화하여 세제개혁과 민간 부문 활성화를 위해 국영기업의 민영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2022년 이전 이집트 정부의 민영화 추진 경과

 

이집트 정부의 민영화(IPO 공개) 프로그램의 시작은 이집트 정부가 국유자산과 국영기업의 매각 계획를 처음 발표한 201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에도 정부가 120억 달러의 IMF 대출을 시행하면서 경제개혁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작됐다.

 

2018년에 이집트 정부는 23개 기업의 일부 지분을 이집트 증권 거래소(EGX)에 매각하여 2년간 800억 이집트 파운드(16억 달러, 적용환율: 1USD = 50EGP)를 조달할 계획을 발표했지만, 글로벌금융위기(GFC)로 세계경제상황이 악화되자 연기됐다.

 

이집트 정부는 2022년에 10개 기업을 매각 계획을 세웠지만, 2022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발발되면서 중단됐다. 2022년에는 스포츠 클럽인 가즐 엘-마할라 클럽(Ghazl El Mahalla Club)의 주식이 상장됐지만, 필요한 최소 금액을 달성하지 못했다.

 

2022 12, ’국가소유권정책 프레임워크’ 발표로 민영화 계획 수립

 

이집트 정부는 202212국가소유권정책프레임워크문서’(State ownership policy framework document)를 통해 국영기업의 민영화 프로그램을 구체화했다. 이 정책은 향후 2023~2026년까지 약 100억 달러의 수익 창출을 목표로 국가 경제에 있어 정부와 민간의 역할을 구분하고 이후 3년간 민간의 투자 확대를 목표로 정부의 개입이 필요한 분야와 축소 혹은 폐지할 분야로 구분했다. 이를 통해 2026년까지 민간의 경제 참여를 65%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집트 정부는 62개 분야는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의 역할은 3년 내 폐지할 방침이다. 56개 분야에서는 정부의 역할을 유지 혹은 축소할 계획인 반면, 76개 분야에서는 정부 투자를 유지하거나 확대할 방침을 세웠다.

 

산업별로는 섬유산업은 90%의 소유지분을 매각할 계획을 세웠고, 다음으로는 농업 83%, 엔지니어링 분야 77%, 인쇄 및 포장산업 78%, 식품산업 73%, 화학산업 56%의 순우로 정부 지분을 매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별 정부의 지분 조정 계획(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9e0678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2pixel, 세로 365pixel

[자료: 이집트 정부소유권정책프레임워크문서(’22.12)]

 

반면 일부 분야는 정부의 지분을 유지하거나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구제적으로 교육분야는 89%의 정부 소유권을 유지하거나 확대할 계획을 세웠고, 정보통신업은 78%, 금융/보험업은 67%, 교통분야는 58%, 부동산 분야는 50%의 정부 지분을 유지하거나 확대할 것이라고 명시했다.

  

<산업별 정부의 지분 조정 계획(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9e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3pixel, 세로 318pixel

[자료: 이집트 정부소유권정책프레임워크문서(’22.12월)]

 

정부의 국가소유권정책 이행 경과 발표

 

20248, 이집트의 정보 & 의사결정 지원센터(Information and Decision Support Center, 이하 IDSC)국가자산소유권정책 이행현황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정책 시행 이후 이집트 경제에 민간의 참여 비율이 2023/2024 회계연도에 37%로 증가했으며, 2024/2025 회계연도 말까지 48%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로써 최종적으로 2026년까지 민간의 참여율이 65%까지 무난히 도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보고서는 20248월 기준으로 국영기업은 18개 분야에 걸쳐 약 709개로 나타났다. 정부의 지분율이 75% 이상인 기업은 158, 25% 미만인 기업은 80개 수준이다. 수익 창출 여부를 보면, 정부가 지분을 보유한 기업 중 54.0%는 수익을 창출하고 있지만 나머지 42.2%는 손실을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2, 정부는 32개의 국영기업과 은행을 기업공개(IPO) 또는 매각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202311, 민영화 대상 기업에 3개 사가 추가되며 35개 기업으로 늘어났다. 관련 기업은 에너지, 보험, 석유화학 기업 외에 군 소유 기업 2, 은행 3곳 등 18개 분야에 걸쳐 있다. 세부 기업은 아래와 같다.

 

<민영화 대상 35개 국영기업 리스트>

No.

기업명

분야

No.

기업명

분야

1

Cairo Bank

금융(은행)

19

Port Said Container & Cargo Handling Co. (PSCCHC)

물류

(육상, 해상 운송)

2

The United Bank

금융(은행)

20

Damietta for container & Cargo Handling(DCHC)

물류(컨테이너 화물 처리, 운송수단 제공)

3

Arab African Int‘l Bank

금융(은행)

21

Al-Salhia Investment & Development Co.

농업

4

Misr Technology Services (MTS)

물류(무역 및 운송)

22

Hotels Owned by the Ministry of Public Business Sector

관광업

(호텔 운영)

5

El Nasr Housing & Development

부동산

23

Misr Life Insurance

보험사

(생명보험)

6

Maadi Co. for Development & Construction

부동산

24

Misr Insurance

보험사

7

El Mostakbal For Urban Development

부동산

25

Gabal El-Zeit wind farm

풍력발전

8

Misr Concrete Development Co.

건설

26

Zafarana Wind Farm

풍력발전

9

Helwan Fertilizers Co.

화학

(비료)

27

Beni Suef Power Plant

전력발전

10

Wataniya Petroleum

정유(주유소)

28

National Co. for Natural Water in Siwa (Safi)

생수

11

Egyptian Polypropylene & Polypropylene (EPP)

화학(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

29

Chemical Industries Development Co.(CID)

제약업

12

El Nasr Mining Co.

광업

30

Paints and Chemical Industries Co. (Pachin)

석유화학

(도료공업)

13

Egyptian Ethylene & Derivatives Co. (ETHYDCO)

화학

(에틸렌 등 생산)

31

Alamal Alsharif Plastics

석유화학

(플라스틱)

14

Egyptian Drilling Co. (EDC)

정유

(시추 장비)

32

Misr Pharma Co.

제약

15

Egyptian Linear Alkyl Benzene Production Co.(ELAB)

석유

(연성 알킬벤젠)

33

Al Ezz Dekheila Steel*

철강

16

Sinai Manganese Co. SMC)

광업

34

Eastern Co.*

화학

17

Egyptian Ferro Alloys Co.

금속가공

35

Telecom Egypt*

통신

18

Canal Company for Mooring & Lights (CCML)

물류

(선박 계류 및 해제)

36

 

-

* 3개사(33~35)2023.11.17일 추가 발표

[자료: IDSC(‘24.8), KOTRA 카이로 무역관 편집]

 

우선 20223월부터 20246월까지 국영기업의 민영화 현황은 연차별로 다음의 세 단계로 나뉠 수 있으며, 각 단계별 목표 대비 94% 이상의 달성률을 보였다.

 

<2022.3~2024.6월 국영기업 민영화 현황>

단계

실행 성과

세부내역

1단계

(달성액) 311000만 달러

(목표 대비 달성률) 94.2%

’223월 이집트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5개사의 주식을 UAEADQ(Abu Dhabi Developmental Holding Co.)에 약 18억 달러에 매각

’228, 사우디투자기금(Public Investment Fund)에 상장된 4개사의 주식을 총 13억 달러에 매각

2단계

(달성액) 199000만 달러

(목표 대비 달성률) 99.5%

’235Paints & Chemical Industries Co. (Pachin)의 정부가 소유한 주식 전체를 UAENational Co. for Print가 대표하는 외국 투자자에게 총 1,700만 달러에 매각

’239Al Ezz Dekheila Co. 의 정부 지분의 31%Ezz Dekheila Group을 대표하는 이집트 투자자에게 약 24,500만 달러에 부분 매각

’2311, Egyptian Drilling Co.(EDC), Egyptian Linear Alkyl Benzene Production Co.(ELAB), Egyptian Ethylene & Derivatives Co. (ETHYDCO)의 정부 지분을 ADQ에게 약 8억 달러에 매각

’235Telecom Egypt의 지분 10%12,800만 달러에 다수의 이집트 투자자들에게 매각

이집트 관광 및 호텔 종합회사(EGOTH)’관광 및 호텔 지주회사(HOTAC)’가 소유한 7개 호텔의 자본금을 8억 달러로 증액하는 계약 완료

3단계

(달성액) 2463000달러

(목표 대비 달성률) 492.5%

2310, 이집트 증권 거래소를 통해 Eastern Co.의 정부 소유 지분 30%UAEGlobal Investment Holding Co., Ltd.62,500만 달러에 매각

* UAEADQ라스 엘 헤크마 도시개발 프로젝트에 역대 최대 규모인 350억 달러 유입, 이 중 240억 달러는 현금 유입, 나머지 110억 달러는 기존 이집트 중앙은행 예치금으로 충당

[자료: IDSC(‘24.8), KOTRA 카이로 무역관 편집]

 

이에 따라 20223월부터 20246월까지 진행된 IPO(기업공개) 프로그램의 세 단계 실행 비율은 약 288.5%에 달했으며, 그 결과 약 300억 달러의 실적을 달성했다.

 

<20223~ 20246월까지 실행된 기업공개(IPO) 목록>

No.

기업공개

부문

거래자

국적

날짜

금액

(백만 달러)

1

Commercial International Bank

은행

ADQ

UAE

‘223

1,805

2

Fawry

금융서비스

3

Abu Qir Fertilizers and Chemicals Industries Co.

비료

4

Misr Fertilizers Production Co. (MOPCO)

비료

5

Alexandria Container & Cargo Handling)

운송

6

E-Finance

금융서비스

PIF

사우디

‘228

1,300

7

Abu Qir Fertilizers & Chemicals Industries Co.

비료

8

Misr Fertilizers Production Co. (MOPCO)

비료

9

Alexandria Container & Cargo Handling

운송

10

Telecom Egypt

통신

다수 매수인

이집트

‘235

128

11

Paints and Chemical Industries Co. (Pachin)

도료공업

National Co. for Paint

UAE

‘235

17

12

Al Ezz Dekheila Co.

철강

AHMED EZZ

이집트

‘239

245

13

Eastern Co.

화학

Global Co.

UAE

‘2310

625

14

Egyptian Linear Alkyl Benzene Production Co. (ELAB)

석유화학

ADQ

UAE

‘2311

800

15

Egyptian Ethylene and Derivatives Co.(ETHYDCO)

석유화학

16

Egyptian Drilling Co. (EDC)

석유화학

17

EGOTH HOTAC 소유 7개 호텔 자본금 증액

관광(숙박)

Talaat Mostafa Co.

-현지 투자자

이집트

‘242

800

18

라스 엘 헤크마 (Ras Al-Hekma) 도시개발 프로젝트

건설

ADQ

UAE

‘242

24,000

합계

29,720

[자료: IDSC(‘24.8), KOTRA 카이로 무역관 편집]

 

최근의 국영기업 매각 사례

 

이집트 기획경제개발국제협력부는 20249, 기획경제개발국제협력부 장관인 라니아 알 마샤트(Rania Al-Mashat)와 투자대외통상부 장관 하산 알 카티브(Hassan Al-Khatib)의 주도로 SPE PEF III (SPE Capital), EBRD(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TCV(Tanmiya Capital Ventures), BII(British International Investment) 등 국제 투자자 컨소시엄에 이집트 소액 금융 제공업체인 Tamweely의 주식 100%를 약 25억 파운드(5,000만 달러, 적용환율: 1USD = 50EGP)에 매각했다.


이 밖에 20235월에 Egypt Telecom의 지분 10% 매각하여 12200만 달러를 조달했고, 20237월에는 호텔, 석유화학, 철강 관련 국영기업 5개사 지분을 19억 달러에 매각한 바 있다.

 

진행 중인 공항 관리 및 운영 민영화 계획

 

2023, 모스타파 마드불리(Mostafa Madbouly) 이집트 총리는 공항 관리 및 운영 민영화 계획을 발표하며, 20개 이상의 교통, 물류, 해운 네비게이션 회사의 대표들과 해당 사업에 대해 논의했다. 20248, 이집트 민간항공부는 공항 관리 및 운영을 민간 부문에 위탁할 계획을 발표했다. 민간항공부는 이 조치가 항공 분야에 더 많은 민간 투자를 유치하여 수익을 극대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이집트는 23개의 공항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연간 승객 수를 7220만 명으로 늘리고 2030년까지 11000만 명까지 확대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412, 하산 알람 홀딩(Hassan Allam Holding)과 프랑스의 파리 공항 그룹(Groupe Aéroports de Paris, ADP France) 컨소시엄은 이집트 공항의 관리 및 운영을 위한 공동 제안서를 제출했다. 이 컨소시엄은 민간항공부와 여러 차례 워크숍을 열어 공항 운영 방안을 논의하고 민영화 계획에 대한 비전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외에도 이집트는 202410월에 그리스의 코펠로우조스 그룹(Copelouzos Group)과 공항 운영 및 개발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20253, 이집트 정부는 민간 부문과 협력하여 11개 공항 인프라 개선 계획을 발표했다. 이집트 경제개발·기획·국제협력부에 따르면, 개발이 예정된 공항은 후르가다, 샤름 엘-셰이크, 보르그 엘-아랍, 룩소르, 아스완, 소하그, 아시우트, 아부 심벨, -라메인, 마르사 마트루흐 공항이 포함된다. 국제금융공사(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IFC)는 공항 인프라에 대한 민간 투자를 활성화할 수 있는 민관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모델 구축에 자문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후르가다 국제공항이 PPP 시범 사업으로 선정되었으며, IFC는 정부와 협력해 국제 입찰을 통해 전략적 파트너 선정 작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공항 운영 및 유지보수는 민간 기업이 담당하되, 소유는 이집트 공항 및 항공 네비게이션 지주회사(Egyptian Holding Company for Airports and Air Navigation)가 유지할 예정이다. 또한, 향후 나머지 공항에도 단계적으로 PPP 모델 도입을 검토하고, 다수의 공항을 패키지로 계약하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다.

 

2025국영기업 10개사 민영화 계획

 

202412, 이집트의 모스타파 마드불리 총리는 2025년에 이집트 군 소속 4개 기업이 이집트 증권거래소에 상장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상장 예정 기업으로는 국영 석유 제품 마케팅 및 유통 회사인 와타니야(National Company for Petroleum Products Marketing and Distribution, Wataniya)와 시와 국영 자연수 회사(National Company for Natural Water in Siwa, SAFI)가 있으며, 두 회사는 2025년 상반기에 상장될 예정이다. 또한, 이집트는 국가 식량안보를 지원하는 곡물, 제빵, 식품포장제 생산 전문 기업인 사일로푸드(Silo Foods)와 주유소 체인인 칠아웃(Chill Out)을 상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마드불리 총리는 또한 2025년에 10개 이상의 국영기업이 상장될 계획이며, 이는 공개 매각 또는 전략적 투자자와의 협력을 통해 기업공개(IPO) 수를 늘릴 것이라고 했다. 올해 상장 예정이라고 거론되는 기업은 알렉산드리아 은행(Alexandria Bank), 카이로 은행(Banque du Caire), 자발 엘-제이트 풍력발전소(Gabal El-Zeit Wind Farm), -아말 알샤리프 플라스틱(Alamal Alsharif Plastics), 미스르 제약(Misr Pharma), 화학 산업 개발 회사(Chemical Industries Development Company, CID) 등이 있다.

 

시사점

 

이집트는 2022년에 향후 3년 동안 매년 100억 달러를 민간 투자 유치로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세웠고, 구체적으로 20232월부터 1년 동안 35개 기업의 지분을 매각할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로이터 등 해외 언론은 정부가 언급한 기업들 중 상당수는 이미 지난 수년 간 매각 대상이었다고 지적하며 지연의 원인을 시장 불안정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민영화의 속도와 실효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대이집트 투자를 주도하고 있는 걸프국가의 추진력이 정체된 상황이다. 걸프국가를 비롯한 해외기업들은 이집트에 투자 시 IMF가 권고하는 경제개혁 등 까다로운 투자 조건을 요구하고 있다. 투자가들은 이집트가 까다로운 투자조건을 충족하더라도 국영기업의 민영화에 대한 명확한 메시지가 없는 한 해외투자가 민간부문 활성화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있다. 이들은 이집트 정부가 소수 지분만 매각하고, 주도권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투자 매력도가 떨어진다고 지적한다. 울러 올해 2025년 민영화 대상에 포함된 4개의 군부 기업에 대해서는 군부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여전히 막강하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경제구조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여러 난제에도 불구하고 이집트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영기업의 민영화가 필수적이다. 이집트 정부가 추구하는 수출 지향적 경제구조를 위해서는 민간 기업들의 경쟁 강화를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가 절실한 상황이고 세수가 부족한 이집트 정부의 재정 수지 개선을 위해서도 국영기업의 민영화는 중요한 이슈이므로 이에 주목해 볼만 하다. 아울러 민영화에 과정에서의 투명성 확보와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도 살펴봐야 할 사안이다.   

 

 

자료: IDSE(정부소유권정책 프레임워크, 1~2차 정부자산소유권정책 이행 현황 보고서), IMF(이집트 4차 리뷰 보고서), CNN Arabic, Reuters, Arab Finance, Ahram, IDSC, BBC, Almasry Alyoum, African Markets 이외 KOTRA 카이로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의 국영기업 민영화, 이번에는 성공할 수 있을까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