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코트디부아르 교역 분석: 한국기업 진출 기회와 전략적 시사점
- 경제·무역
- 코트디부아르
- 아비장무역관 윤하림
- 2025-03-31
- 출처 : KOTRA
-
2024년 코트디부아르 총교역액은 40,419 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8.72% 증가, 한국과의 교역은 약 200% 증가
한국기업, 선박(62.9% 증가), 기계류, 의료용품(11.88% 증가) 분야의 진출 기회 유망
다만, 2025년 대선 관련 정치적 리스크 및 프랑스어 사용에 따른 언어 장벽 고려 필요
2024년 코트디부아르 총교역액
2024년 코트디부아르의 총교역액은 404억19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8.72%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주요 교역국 중 중국은 여전히 최대 무역 파트너이지만 증가율은 1.44%로 다소 낮았고, 네덜란드(+17.79%), 미국(+18.29%), 스위스(+40.44%), 벨기에(+33.98%) 등과의 무역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한국과의 교역은 6억77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99.94% 증가해 교역국 중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반면 나이지리아는 유일하게 전년 대비 교역액이 -11.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코트디부아르 수출 현황
2024년 코트디부아르의 총수출액은 약 210억19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4.59% 증가하며 견고한 성장세를 보였다. 수출 상위 5위는 스위스(13.08%), 네덜란드(12.20%), 말리(7.68%), 미국(4.38%), 그리고 독일(4.16%)로, 이들 국가가 전체 수출의 약 41.00%를 차지했다. 스위스는 약 27억5000만 달러 규모로 1위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41.22% 증가해 가장 큰 성장세를 보였다. 네덜란드도 21.60% 증가하며 뒤를 이었고, 미국과 독일은 각각 약 20.00%, 34.71%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주목할 점은 한국으로의 수출이 8074만 달러로 전년 대비 무려 13,987.33% 급증하였고, 코트디부아르의 대(對)한국 수출순위는 38위를 기록했다.
<2024년 코트디부아르 주요 수출국>
(단위: %, $)
순위
국가명
2022
2023
2024
점유율
증감률('23/'24)
전세계
16,433,799,353
18,342,371,139
21,018,957,722
100.00
14.59
1
스위스
1,311,793,883
1,947,482,947
2,750,223,621
13.08
41.22
2
네덜란드
1,439,180,968
2,108,484,483
2,563,958,045
12.20
21.60
3
말리
1,443,118,220
1,587,878,407
1,613,367,783
7.68
1.61
4
미국
886,574,023
766,810,296
919,935,575
4.38
19.97
5
독일
577,285,695
649,203,216
874,549,075
4.16
34.71
6
베트남
564,957,408
914,944,019
828,730,284
3.94
-9.42
7
벨기에
682,813,066
607,882,123
813,194,119
3.87
33.77
8
프랑스
744,093,609
673,107,964
792,529,386
3.77
17.74
9
부르키나파소
847,658,244
791,945,790
760,519,206
3.62
-3.97
10
스페인
318,091,419
378,877,296
728,650,798
3.47
92.32
38
한국
2,843,578
573,160
80,742,899
0.38
13,987.33
[자료: Global Trade Atlas(25년 3월 기준)]
2024년 코트디부아르의 상위 5대 수출품은 코코아, 고무 등 농산물과 특정 자원에 집중돼 있으며, 이는 전체 수출의 약 79%를 차지한다.
1위는 코코아로 전년 대비 23.52% 증가했으며, 천연진주·양식진주와 광물성 연료도 전년 대비 각각 33.43%, 5.97% 증가했다. 한편, 고무는 전년 대비 19.82% 상승했다.
반면, 5위인 과실 및 견과류는 14억4600만 달러로 수출 상위 10위 품목 중 유일하게 전년 대비 4.42% 감소했다. 전체적으로 코트디부아르는 농산물과 자원 중심의 수출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귀금속·고무 등 고부가가치 품목의 수출이 확대되는 추세로 분석된다.
<2024년 코트디부아르 상위 10위 수출품목>
(단위: %, $)
순위
HS 코드
품목명
2022
2023
2024
점유율
증감률('23/'24)
1
18
코코아 및 그 제품
5,034,091,264
5,800,016,273
7,164,274,442
34.08
23.52
2
71
천연진주ㆍ양식진주
1,913,136,537
2,354,024,209
3,141,035,600
14.94
33.43
3
27
광물성 연료ㆍ광물유
3,000,377,597
2,886,146,662
3,058,476,651
14.55
5.97
4
40
고무와 그 제품
1,856,073,864
2,053,376,188
2,460,343,544
11.71
19.82
5
08
식용의 과실과 견과류
1,224,407,705
1,513,232,995
1,446,341,225
6.88
-4.42
6
89
선박과 수상 구조물
361,567,612
1,005,775,574
868,905,830
4.13
-13.61
7
15
물성 지방과 기름
565,398,131
327,611,236
361,098,319
1.72
10.22
8
52
면
404,602,748
223,722,455
294,686,633
1.40
31.72
9
33
정유와 레지노이드
263,629,868
286,827,479
275,782,796
1.31
-3.85
10
39
플라스틱과 그 제품
169,062,649
175,979,313
207,796,737
0.99
18.08
[자료: Global Trade Atlas(25년 3월 기준)]
2024년 코트디부아르 수입 현황
2024년 코트디부아르의 총수입액은 약 194억 달러로, 전년 대비 3.01% 증가하며 완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상위 5대 수입국은 중국(14.99%), 나이지리아(11.91%), 바하마(5.86%), 프랑스(5.60%), 벨기에(4.47%)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국가는 전체 수입의 약 43%를 차지했다. 특히 바하마는 전년 대비 171.67% 급증해 눈에 띄는 수입 교역국으로 떠올랐고, 벨기에도 34.17%, 프랑스는 3.24% 증가했다. 반면, 나이지리아는 12.35% 감소하며 전년 대비 수입 비중이 줄었다.
한편, 한국은 2024년 약 5억9600만 달러 규모의 수입을 기록하며 전체 수입의 3.07%를 차지, 164.84%의 급격한 증가율을 보여 단숨에 주요 수입국 반열에 올랐다. 이는 한국과의 교역 확대가 수입 부문에서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미국은 수입액이 약 8억5000만 달러로 4.41%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성장세(16.54%)를 유지했으며, 이탈리아(33.56%), 베트남(36.60%)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수입 구조는 다양화되는 추세이며, 일부 국가와의 교역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2024년 코트디부아르 주요 수입국>
(단위: %, $)
순위
국가명
2022
2023
2024
점유율
증감률('23/'24)
세계
17,945,774,009
18,834,519,309
19,400,538,769
100
3.01
1
중국
2,578,028,633
2,797,568,989
2,908,179,653
14.99
3.95
2
나이지리아
2,170,022,143
2,636,146,716
1,310,489,371
11.91
-12.35
3
바하마
571,167,336
418,295,316
1,136,365,719
5.86
171.67
4
프랑스
1,207,081,736
1,052,087,516
1,086,213,444
5.60
3.24
5
벨기에
817,966,251
646,036,889
866,782,081
4.47
34.17
6
미국
840,943,390
734,718,063
856,242,959
4.41
16.54
7
인도
930,302,124
980,992,282
807,682,526
4.16
-17.67
8
한국
331,168,595
225,106,935
596,169,076
3.07
164.84
9
베트남
456,481,113
377,960,054
516,286,408
2.66
36.60
10
이탈리아
343,457,277
343,457,277
454,584,628
2.34
33.56
[자료: Global Trade Atlas(25년 3월 기준)]
코트디부아르는 상위 5대 수입품목은 전체 수입의 약 66.4%를 차지하며, 수입이 특정 품목에 집중되는 경향을 드러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품목은 광물성 연료 및 광물류로 약 46억1600만 달러(23.80%)였으나, 전년 대비 3.70% 감소해 수입 규모가 다소 줄었다. 반면, 선박 및 수상구조물은 24억2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62.90%의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해 주목을 끌었다. 원자로 및 기계류는 약 15억6000만 달러로 소폭 감소했으며, 곡물은 12억6000만 달러로 26.45% 증가했다. 마지막으로 자동차 및 기타 차량은 약 10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코트디부아르 상위 10위 수입 품목>
(단위: %, $)
순위
HS 코드
품목명
2022
2023
2024
점유율
증감률('23/'24)
1
27
광물성 연료ㆍ광물유
4,820,822,701
4,793,535,716
4,616,381,059
23.80
-3.70
2
89
선박과 수상 구조물
889,417,644
1,483,002,016
2,415,810,396
12.45
62.90
3
84
원자로․보일러ㆍ기계류
1,473,757,679
1,574,619,171
1,557,813,468
8.03
-1.07
4
10
곡물
1,166,226,661
999,813,740
1,264,292,012
6.52
26.45
5
87
차량과 그 부분품
1,085,131,846
1,212,180,086
1,083,152,200
5.58
-10.64
6
03
어류ㆍ갑각류ㆍ연체동물
739,807,688
839,609,700
859,527,428
4.43
2.37
7
85
전기기기와 그 부분품
815,937,511
855,127,880
710,557,041
3.66
-16.91
8
39
플라스틱과 그 제품
782,002,191
702,870,986
651,808,324
3.36
-7.26
9
30
의료용품
498,334,637
477,318,181
534,041,557
2.75
11.88
10
73
철강의 제품
515,591,358
569,481,103
499,542,617
2.57
-12.28
[자료: Global Trade Atlas(25년 3월 기준)]
코트디부아르 진출 희망 한국기업에게 주는 시사점
코트디부아르의 2024년 교역 현황을 종합해 보면, 전체적으로 수출입 모두 증가세를 보이며 안정적인 무역 성장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수출은 여전히 코코아, 귀금속, 광물성 자원 등 전통적인 자원 중심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한편 수입은 광물 연료와 기계류 중심이나 선박, 곡물 등 일부 품목의 수입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 주목된다. 특히, 한국으로의 수출이 전년 대비 13,987% 로 급증했는데, 한국무역협회 한국의 대코트디부아르 수입통계에 따르면, 천연고무 및 코코넛 수입 급증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코트디부아르는 한국과의 교역이 전년 대비 약 200% 증가했고, 특히 한국으로의 수출이 급증함으로써 향후 한국-코트디부아르 간의 교역 동향을 주의깊게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코트디부아르의 주요 수입품목이 선박, 기계류, 자동차인 점을 고려하여 한국의 관련 산업 기업들은 진출 기회를 노릴 수 있으며 특히 선박 수입이 약 63% 증가한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코트디부아르는 의료용품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가 중 하나로, 최근 정부 및 민간기업의 보건분야 투자 증가로 인해 의료용품 수요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꾸준한 의료용품 수입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의료분야 시장 진출도 유망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코트디부아르는 서아프리카 지역 진출의 교두보로서 프랑스어권 서아프리카 국가 중에서도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 시장 접근을 위해서 코트디부아르 시장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다만, 프랑스어권에 따른 언어적 제약 및 문화적 차이, 2025년 대통령 선거에 따른 정치적 리스크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시장 접근을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한국무역협회 및 KOTRA 아비장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코트디부아르 교역 분석: 한국기업 진출 기회와 전략적 시사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中 통관 간편화 정책 발표, 톈진 해관 시행 세부 내용 소개
중국 2025-03-31
-
2
Z세대 공략부터 무인화까지, 중국 프랜차이즈 트렌드를 한눈에 보는 전시회 참관기
중국 2025-03-31
-
3
영국 해상풍력 산업에 한 획을 긋다, ‘세아윈드(SeAH Wind)’ 인터뷰
영국 2025-03-31
-
4
남아공과 AGOA, 무역 혜택의 지속 가능성은?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3-24
-
5
2024년 한국-나이지리아 교역 동향
나이지리아 2025-03-25
-
6
LNG 패권 강화에 박차를 가하는 미국... 우리 기업의 기회는?
미국 2025-03-28
-
1
2024년 코트디부아르 산업 개관
코트디부아르 2024-08-07
-
2
코트디부아르 기타 산업_제조업 동향
코트디부아르 2021-06-01
-
3
코트디부아르 금융 산업동향
코트디부아르 2021-06-01
-
4
코트디부아르 농업 등 1차 산업동향
코트디부아르 2021-05-31
-
5
코트디부아르 소매유통산업 정보
코트디부아르 2021-05-28
-
6
코트디부아르 신재생에너지산업 현황 및 시사점
코트디부아르 2020-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