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NG 패권 강화에 박차를 가하는 미국... 우리 기업의 기회는?
- 경제·무역
- 미국
- 달라스무역관 이재인
- 2025-03-28
- 출처 : KOTRA
-
미국, ’23년 세계 최대 LNG 수출국 등극 이래 생산량·수출 인프라 지속 확대 중
’30년까지 미국이 전 세계 LNG 공급량의 1/3 점유… ‘에너지 도미넌스’ 실현 전망
지난 3월 19일, 미국 에너지부(DOE)는 루이지애나 소재 칼카슈 패스 2(Calcasieu Pass 2, 이하 ‘CP2’) LNG 수출 터미널 프로젝트에 대해 비자유무역협정(Non-FTA) 국가향 수출을 조건부 승인했다. 이번 승인은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LNG 산업 지원을 위해 발표 된 다섯 번째 조치이자,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승인 된 LNG 수출 프로젝트 중 역대 최대 규모다. 이처럼, 미국은 에너지 독립 실현과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의 영향력 강화를 위한 핵심수단으로 LNG에 주목하며, 수출 확대를 위한 규제 완화에 속도를 내고 있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LNG 플랜트 기자재, 파이프·피팅, LNG 운반선 등 우리 기업에 새로운 시장 기회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 최대 LNG 수출국, 미국은 LNG 패권 강화 중
미국 에너지부에 따르면, 미국은 현재 명실공히 세계 최대 천연가스 생산국이자 세계 최대 LNG 수출국으로, 2024년 한 해 11.9 bcf/d(10억 입방피트/일)의 LNG를 수출하며, 2년 째 세계 최대 LNG 수출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에너지정보청(EIA)은 미국 내 3곳의 신규 LNG 수출 터미널 프로젝트가 연내 본격 가동 개시 됨에 따라, 올해 미국의 LNG 수출량이 14.2 bcf/d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2030년까지 현재 건설 단계에 있는 미국 내 모든 LNG 수출 프로젝트가 상업 생산을 시작할 경우 수출량은 최대 26 bcf/d까지 확대 될 것으로 예상했다.
<’16-’30년 미국 LNG 수출 터미널 별 수출 용량 추이 및 전망>
(단위: bcf/d)
[자료: RBN Energy(2025.1)]
<미국 내 가동 예정, 건설 중 LNG 터미널 현황>
터미널 명
용량(bcf/d)
생산시점
운영사
’25년 본격 가동 예정
Plaquemines LNG Phase 1
1.3
’24년 말 상업생산 및 선적 旣개시
Venture Global LNG
Plaquemines LNG Phase 2
1.3
’25년 9월 상업생산 및 수출 개시 목표
Corpus Christi Liquefaction Stage 3
1.3
’24년 12월 상업생산, ’25년 2월 최초 선적,
총 7개 트레인 중 ’25년 3개, ’26년 하반기 나머지 4개 트레인 가동 시작 예정
Cheniere Energy
건설 중
(’26~’28년)
Golden Pass Train 1
0.7
’26년 상반기 상업생산 및 선적 개시 예정
QatarEnergy, ExxonMobil
Golden Pass Train 2
0.7
’26년 하반기 상업생산 및 수출 개시 목표
Golden Pass Train 3
0.7
’27년 상반기 상업생산 및 수출 개시 목표
Port Arthur LNG Phase 1
1.6
’27년 상업생산 및 수출 개시 목표
Sempra Energy
Rio Grande LNG Phase 1 Train 1,2,3
2.2
총 3개 트레인 중 ’27년 2개, ’28년 나머지 1개 트레인 가동 시작 예정
NextDecade Corporation
[자료: EIA(2025.3), KOTRA 달라스 무역관 종합]
<미국 내 旣가동, 예정, 건설 중 LNG 터미널 현황>
[자료: EIA(2025.3)]
블룸버그NEF는 미국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집권 전반기에만 LNG 생산량을 약 60% 확대할 계획이라며, 이에 따라 2030년까지 세계 LNG 운반선 3척 중 1척은 미국에서 출발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단순한 에너지 수출 확대를 넘어, 미국이 LNG 패권을 통해 지정학적 영향력을 새롭게 구축해 나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승인 재개, 규제 완화… 미국, LNG 인프라에 속도
한편,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더욱 강력해진 미국의 LNG 수출 확대 기조에도 불구하고, LNG 액화 설비까지 천연가스를 이동시킬 파이프라인 인프라, LNG 변환을 위한 액화설비, 저장탱크 그리고 이를 실어 나르기 위한 선적시설 등 LNG 수출을 위한 핵심 인프라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다만, 최근 들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수송 인프라 확충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정보청에 따르면, 작년 한 해 플래키마인즈(Plaquemines) LNG 터미널에 연결된 게이터 익스프레스(Gator Express) 1, 2단계와 베니스 익스텐션 파이프라인(Venice Extension Pipeline), 코퍼스 크리스티 3단계(Corpus Christi Stage III) LNG 터미널에 연결된 ADCC 파이프라인(ADCC Pipeline), 루이지애나 헤인스빌(Haynesville) 지역에서 걸프 연안을 잇는 길리스 액세스(Gillis Access) 프로젝트, 베니스 익스텐션(Venice Extension) 프로젝트 등 텍사스와 루이지애나 지역을 거치는 5개의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완공에 따라, 수출 터미널까지의 천연가스 공급 가능 용량은 약 8.5 bcf/d 확대 되었으며, 주요 천연가스 생산지인 퍼미안 분지(Permian Basin)에서 텍사스 휴스턴 인근 수요지까지 연결되는 매터호른 익스프레스(Matterhorn Express) 등 대형 파이프라인들 또한 상업 가동을 시작하며 LNG 수출 전 단계에서 공급 기반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국 내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인프라 및 프로젝트 현황>
[자료: EIA(2025.3)]
미국은 올해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미국 에너지 해방(Unleashing American Energy) 행정명령을 발표하며, 에너지부로 하여금 바이든 정부 시절 중단되었던 신규 LNG 수출 허가를 전면 재개할 것을 지시하였다. 이어 2월과 3월에는 커먼웰스(Commonwealth) LNG 수출 터미널 프로젝트와 CP2 LNG 수출 터미널 프로젝트에 대한 비FTA국가 대상 조건부 수출 면허를 연이어 승인했는데, 많게는 수백 억 달러에 달하는 LNG 수출 터미널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Final Investment Decision, 이하 ‘FID’) 도달을 위해서는 에너지부의 수출 승인이 사실상 핵심 선결조건인 점을 감안하면 이는 단순한 행정 절차 이상의 의의를 넘어, 프로젝트의 상업성 확보와 금융 조달, EPC 계약 체결 등 실질적인 사업 추진을 가능케 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최근 발표된 일련의 LNG 수출 승인과 인프라 관련 조치들이 그간 지연돼 왔던 미국 내 LNG 인프라 투자가 본격적으로 재개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보고 있다.
전망 및 시사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와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 심화로 전 세계 에너지 수급과 가격 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미국은 셰일가스를 중심으로 한 천연가스 생산과 LNG 수출을 대폭 확대하며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핵심 공급국으로 부상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생산 및 수출 인프라 확대를 통해 LNG 패권국의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미국 내 총 11개의 LNG 수출 터미널 프로젝트가 FID 결정을 앞두고 있으며, 특히 최근 수출 승인을 마친 커먼웰스 LNG 프로젝트는 올해 9월 FID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프로젝트들이 향후 2~3년 내 FID 후 본격 투자 집행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액화설비, 저장탱크, 파이프, 피팅, 밸브 등 LNG 터미널 핵심 인프라를 중심으로 한 기자재 수요도 점차 본격화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내 FID 전 단계 LNG 터미널 현황>
터미널 명
용량(bcf/d)
’25년 목표
운영사
Cameron LNG Train 4
0.9
FID
Cameron LNG
Woodside Louisiana
3.6
FID
Woodside Energy
Commonwealth LNG
1.2
FID
Kimmeridge
Corpus Christi Stage 4
0.4
FID
Cheniere Energy
CP2
2.7
FID
Venture Global
Delfin LNG
1.6
FID(잠재)
Delfin Midstream
Lake Charles LNG
2.2
에너지부 수출 승인, FID(잠재)
Energy Transfer, LP
Freeport LNG Train 4
0.7
SPA*
Freeport LNG Development, L.P.
Texas LNG
0.6
SPA, FID(잠재)
Glenfarne Energy Transition, LLC
Gulf LNG
1.4
FID(잠재)
Kinder Morgan
Alaska LNG
2.6
FEED* 결과 스터디
Alaska Gasline Development Corporation (AGDC)
주1: 장기 판매·구매계약(Sales and Purchase Agreement, SPA)
주2: 기본설계(Front End Engineering Design, FEED)
[자료: Evaluate Energy(2025.1)]
다만, 건설 단계에서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미국 LNG 산업이 넘어야 할 주요 과제로 꼽힌다. 최근 벤처글로벌(Venture Global)은 인플레이션과 기타 요인으로 인해 루이지애나주 플래키마인즈 LNG 터미널 프로젝트의 완공 비용이 현재 추산 대비 약 20억 달러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표하며 시장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또한 고금리 기조와 더불어 철강·알루미늄을 대상으로 한 무관세 쿼터제 폐지 및 25% 수입관세 부과, 환경 단체들의 반발 및 이로 인한 인허가 지연, 건설 숙련 인력 부족 등 또한 프로젝트 추진에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NG 및 천연가스 산업 전반에 대한 업계의 예상은 매우 긍정적인 분위기다. 프리포트 LNG(Freeport LNG)의 CEO 마이클 스미스(Michael Smith)는 지난 3월 초 개최된 에너지업계 최대 행사 세라위크(CERAWeek) 컨퍼런스에서의 패널 토론 중 AI 데이터센터의 급증하는 전력 수요를 언급하며, 천연가스는 더 이상 에너지 전환을 향한 ‘브릿지 연료(Bridge Fuel)’가 아니라 ‘기저부하 연료(Baseload Fuel)’로 간주되어야 한다며 천연가스와 LNG의 역할에 대해 역설하기도 했다.
이처럼, 최근 미국의 LNG 패권 강화 기조는 글로벌 에너지 질서 재편 속에서 LNG가 단순한 전환 에너지를 넘어 전력 안정성과 에너지 안보를 동시에 담보하는 핵심 자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LNG 및 천연가스 관련 기자재 시장 진출을 엿보는 우리 기업들은 향후 수출 기회를 선점하기 위해 관련 프로젝트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주요 전시회 및 산업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현지 네트워크와 판로 개척의 발판을 마련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5년 미국 가스 산업 관련 전시회>
전시회명
개최지
기간
OTC 2025
텍사스주 휴스턴
’25.5.5-8
6th American LNG Forum
’25.5.27-28
ILTA 2025 Conference & Trade Show
’25.6.9-11
Turbomachinery and Pump Symposia 2025
’25.9.16-18
Americas LNG Summit & Exhibition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
’25.10.19-21
[자료: KOTRA 달라스 무역관 자료 종합]
자료: U.S. DOE, EIA, RBN Energy, Bloomberg NEF, Venture Global, Evaluate Energy, KOTRA 달라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LNG 패권 강화에 박차를 가하는 미국... 우리 기업의 기회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AI 데이터센터발 전력난에 따른 천연가스발전 재부상
미국 2024.10.04
-
2
미국, 원유·천연가스 역대 최대 생산량 기록 전망
미국 2024.01.30
-
1
미국 음료수 용기, 이젠 재활용 플라스틱이 대세
미국 2025-03-28
-
2
미국, 뒷자석 안전벨트 경고 시스템, 2027년부터 의무화
미국 2025-03-28
-
3
말레이시아 스마트시티 추진 동향과 우리기업의 진출 기회 요인
말레이시아 2025-03-28
-
4
中,1인 가구 증가로 간편식 시장 급성장
중국 2025-03-28
-
5
미국의 중국 조선업 견제 본격화, 항구세의 글로벌 해운업계 영향은?
미국 2025-03-26
-
6
일본, 수출규제 강화 통한 무역안보 관리 움직임
일본 2025-03-27
-
1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2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3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4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
-
5
2021년 미국 사이버 보안 산업
미국 2022-01-04
-
6
2021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2-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