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4년 한국-나이지리아 교역 동향
  • 경제·무역
  • 나이지리아
  • 라고스무역관 최형권
  • 2025-03-25
  • 출처 : KOTRA

알루미늄조가공품, 화학기계, 윤활유, 발전기, 승용차, 화장품, 이륜차부품 등 수출 호조

화장품,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전력 기자재, 플랜트 기자재 등 분야 수출 유망

2024년 우리나라의 나이지리아 수출은 64893만 달러로 7.6% 증가

 

우리나라의 나이지리아 수출은 화학제품 수출 증가 및 점진적 경기 회복 기대 따라 202196300만 달러(+86.5%), 202288700만 달러(7.9%)를 기록 후 20236300만 달러(32.0%)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2024년에는 64800만 달러(+7.6%)를 기록하며 회복세로 반전했다.

 

수입의 경우, 2022년 원유 및 천연가스 수입 대폭 증가 등의 영향으로 179100만 달러(+83.8%)를 기록하였으나, 2023년은 원유, 천연가스의 수입이 감소하며 102800만 달러(42.6%)를 기록했다. 2024년은 나프타, 천연가스 수입이 확대되며 161100만 달러(+56.8%)로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2020년 이후 적자를 기록 중으로, 2024년은 96200만 달러 적자를 보였다.

 

<양국 간 교역 추이>

(단위: U$, %)

구 분

2020

2021

2022

2023

2024(12)

금 액

증감률

교역 규모

1,266,510

1,937,453

2,677,823

1,630,752

1,898,408

16.4

나 수출

516,307

962,966

886,816

603,027

648,928

7.6

나 수입

750,203

974,487

1,791,007

1,027,725

1,611,887

56.8

무역 수지

-233,896

-11,522

-904,191

-424,698

-962,959

-

[자료: KOTIS]

 

주요 품목별 수출입 동향 : 알루미늄조가공품, 화학기계, 화장품 등 수출 호조


수출 선전 품목은 알루미늄조가공품, 공기조절기, 화학기계, 윤활유, 발전기, 승용차, 화장품, 이륜차부품 등이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수출이 확대되며 수출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화장품의 경우 2021년 이후 수출이 빠르게 계속 증가하며 나이지리아 15대 수출 품목 중 하나로 부상(14)했다. 이외에 기타어류, 기타섬유제품, 의약품 등은 2023년 수출 감소에서 벗어나 2024년 수출이 확대됐다.

 

수출 감소세를 보인 품목은 합성수지, 기타석유화학제품, 연초류, 축전지, 위생용품, 기타플라스틱제품 등이다.

 

<우리나라의 나이지리아 주요 수출 품목(MTI 4단위)>

(단위: U$, %)


순번

품목명

2023

2024(12)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총계

603,027

-32.0

648,928

7.6

1

합성수지

157,609

-30.7

145,206

-7.9

2

알루미늄조가공품

58,572

23.8

72,698

24.1

3

기타석유화학제품

76,160

8.5

66,780

-12.3

4

공기조절기

24,530

459.6

34,868

42.1

5

기타어류

20,510

-5.4

29,326

43.0

6

화학기계

6,289

91.5

24,293

286.2

7

연초류

24,843

65.2

22,001

-11.4

8

윤활유

15,533

6,450.6

18,058

16.3

9

기타섬유제품

16,136

-21.8

18,012

11.6

10

의약품

10,742

-56.6

17,320

61.2

11

발전기

797

9,614.0

17,175

2,054.7

12

축전지

20,060

-20.0

13,817

-31.1

13

승용차

10,392

3.6

12,817

23.3

14

화장품

8,004

150.6

12,540

56.7

15

이륜차부품

3,946

307.3

8,586

117.6

16

주단강

1,240

-79.0

7,371

494.5

17

건설중장비

1,817

-70.7

6,356

249.9

18

위생용품

10,247

-35.0

6,022

-41.2

19

기타플라스틱제품

7,956

25.3

4,568

-42.6

20

밸브

1,327

-65.4

4,108

209.4

21

철강관

3,988

-59.5

3,769

-5.5

22

기타정밀화학원료

6,107

-37.8

3,687

-39.6

23

폴리에스터직물

5,368

-16.0

3,596

-33.0

24

소스류

5,097

6.9

3,050

-40.2

25

기초유분

5,897

54.3

2,943

-50.1

26

자수포

4,095

-17.4

2,937

-28.3

27

철강및비합금강형강

1,337

2,716.6

2,704

102.2

28

가열난방기

1,946

-4.9

2,530

30.0

29

자전거

1,832

-0.4

2,471

34.9

30

안료

4,378

99.6

2,459

-43.8

굵은 표시는 2년 연속 수출 증가 품목

[자료: KOTIS

 

수입은 2023년까지 원유와 천연가스가 수입액의 절대 비중을 차지했으나, 2024년 들어 나이지리아 국내 석유 정제 능력이 확대되며 나프타가 수입 1위 품목으로 부상했다. 연괴 및 스크랩은 자동차용 폐배터리 수입, 국내에서 재생하기 위한 것이며 채유종실은 참깨 수입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나이지리아 주요 수입 품목(MTI 4단위)>

(단위: U$, %)

순번

품목명

2023

2024(12)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총계

1,027,725

-42.6

1,611,887

56.8

1

나프타

0

0.0

654,373

0.0

2

천연가스

443,105

-16.0

584,183

31.8

3

원유

451,364

-58.6

228,435

-49.4

4

동괴및스크랩

55,242

-37.5

51,107

-7.5

5

선박

31,548

0.0

39,158

24.1

6

채유종실

27,573

245.7

30,149

9.3

7

알루미늄괴및스크랩

8,252

10.9

14,237

72.5

8

기타목재류

5,418

-23.6

4,300

-20.6

9

기타금속광물

208

-32.6

3,003

1,345.5

10

무선통신기기부품

1,422

54.9

1,855

30.5

11

연괴및스크랩

1,945

-87.3

458

-76.5

12

식물성한약재

251

89.8

227

-9.6

13

합성수지

137

0.0

99

-28.1

14

기타비금속광물

0

-68.2

70

83,851.8

15

분석시험기

2

0.0

34

1,900.5

16

컴퓨터부품

32

49.6

28

-12.5

17

채소류

1

-99.4

25

3,985.5

18

기타기계류부품

8

1,818.6

19

122.5

19

X선및방사선기기

0

-100.0

19

0.0

20

직물제의류

5

-79.8

18

296.6

[자료: KOTIS]

 

2024년 나이지리아는 우리나라의 61위 수출 대상국, 38위 수입 대상국


나이지리아는 우리나라의 아프리카(사하라 이남) 5 수출국 중 하나로, 2024년에는 라이베리아, 앙골라, 남아공에 이어 나이지리아 순이었으며, 이어 탄자니아, 가나 등이 뒤를 이었다. 전체 수출 대상국 중에서는 나이지리아는 61위를 기록했다.

 

수입에 있어서는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수입국 중 남아공에 이어 나이지리아가 2대 수입국 지위를 차지했다. 나이지리아는 원유, 천연가스 등 자원 부국으로 우리나라는 주로 석유제품(나프타), 원유, 천연가스 등을 수입했다. 전체 수입 대상국 중에서는 38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아프리카 주요국 수출 현황>

(단위: U$, %)

순번

국가명

2023

2024(12)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수출금액

수출증감률

24

라이베리아

4,034,086

-3.4

5,215,049

29.3

57

앙골라

474,761

300.6

709,557

49.5

58

남아프리카 공화국

883,855

-22.8

707,165

-20.0

61

나이지리아

603,027

-32.0

648,928

7.6

73

탄자니아

308,448

-4.0

407,169

32.0

91

가나

180,896

-13.6

189,083

4.5

95

토고

1,031,295

-56.1

175,942

-82.9

96

케냐

269,981

-40.9

173,142

-35.9

97

코트디부아르

216,600

27.1

167,403

-22.7

99

세네갈

111,741

24.5

163,003

45.9

: 라이베리아 수출은 선적 취득을 위한 선박 수출이 약 99%를 차지

순번은 우리나라의 전세계 수출 순위

[자료: KOTIS]

 

<우리나라의 아프리카 주요국 수입 현황>

(단위: U$, %)

순번

국가명

2023

2024(12)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31

남아프리카 공화국

3,489,441

-7.4

2,629,117

-24.7

38

나이지리아

1,027,725

-42.6

1,611,887

56.8

52

콩고 민주공화국

716,966

-23.9

965,973

34.7

56

모잠비크

763,873

34.8

733,142

-4.0

77

적도 기니

245,801

-46.3

188,981

-23.1

80

카메룬

3,319

-98.0

164,910

4,868.5

83

나미비아

117,570

884.9

128,740

9.5

85

에티오피아

119,120

-6.5

125,902

5.7

86

마다가스카르

221,854

89.8

121,683

-45.2

96

코트디부아르

6,685

-62.4

89,332

1,236.2

순번은 우리나라의 전세계 수입 순위

[자료: KOTIS]

 

수출 유망 분야 및 시장 진출 기회

 

나이지리아는 세계 6위의 인구 대국(2억2000만 )으로 빠른 인구 증가와 젊은 소비층의 증가, 도시화의 진전 및 사회 인프라 확충 수요에 따라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 유망 분야로는 화장품, 식품 등의 소비재 분야뿐만 아니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와 노령 인구의 증가 등으로 의약품,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등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에너지 등 사회 인프라 확충 수요 및 석유, 천연가스 등 관련 프로젝트 추진으로 전력기자재, 플랜트 기자재 등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한국-나이지리아 교역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