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4년 스위스 반도체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스위스
  • 취리히무역관 채창림
  • 2024-08-27
  • 출처 : KOTRA

스위스,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Swisschips Initiative 발족

반도체 산업은 미국이 설계, 일본과 유럽이 소재와 장비공급, 한국과 대만이 제조를 담당하면서 공급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다 2021년 글로벌 물류대란과 공급망 위기로 발생한 반도체 수급난으로 자동차 등 여러 산업에 영향을 미쳤다. EU에서는 2030년까지 반도체 시장 글로벌 점유율을 현재의 2배인 20%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Chips for Europe을 발족했으며 스위스 역시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Swisschips Initiative를 발족했다. 이하에서는 최근 스위스 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시장 규모와 예의주시해야 할 시장동향을 중심으로 우리 기업의 시장 진출방안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스위스 반도체 시장 규모


스위스 내 반도체 매출은 2024년에 920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나 집적회로는 2024년에 63290만 달러의 시장 규모를 예상하며 시장을 장악할 것으로 예상된다. 매출은 연간 성장률(CAGR 2024~2029) 9.61%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9년까지 시장 규모는 14억2468만 달러에 이를 예정이다. 


<스위스반도체 매출>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수출


스위스의 반도체 수출(HS코드 8542 전자 집적회로 기준)은 2019년도부터 2023년까지 33.85% 증가으며, 2023년 수출 총액 대비 비율은 0.2%를 차지했다. 국가별로는 상위 3위 국가인 독일, 중국, 미국에 대한 수출이 전체의 약 79%를 차지한다. 

<스위스 HS Code 8542 수출 동향>

(단위: US$ 백만)

순위

교역국

2019

2020

2021

2022

2023

전세계

687

668

842

925

920

1

독일

120

121

143

162

154

2

중국

124

129

149

151

149

3

미국

52

43

52

81

121

4

베트남

82

90

100

100

98

5

홍콩

53

59

117

79

55

6

프랑스

40

40

45

52

52

7

태국

30

26

35

40

44

8

인도

11

10

13

15

22

9

아일랜드

2

2

1

5

21

10

말레이시아

13

14

16

17

20

[자료: Global Trade Atlas취리히 무역관 정리]


스위스의 반도체 수출(HS코드 8486 반도체 웨이퍼 제작 장비 및 검사 장비 기준)은 2019년도에서 2023년까지 수출량이 71.91% 증가으며, 그중 2022년에서 2023년으로 넘어가는 해에만 4억9255만 1596달러에서 6억1544만 7249달러로 25%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국가별로는 중국, 독일, 말레이시아 순으로 이 3개 국가가 전체 수입량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스위스 HS Code 8486 수출 동향>

(단위: US$ 백만)

순위

가/지역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세계

502

456

584

663

846

1

중국

87

65

123

108

142

2

독일

73

55

90

103

140

3

말레이시아

24

13

21

13

57

4

대한민국

17

19

7

28

43

5

미국

55

33

50

61

43

6

대만

23

34

24

40

36

7

싱가폴

10

27

17

23

35

8

네덜란드

9

12

21

30

32

9

오스트리아

8

9

9

20

20

10

일본

5

26

35

31

15

[자료: Global Trade Atlas취리히 무역관 정리]

 

수입


스위스의 반도체 수입(HS코드 8542 전자 집적회로 기준)은 2019년도부터 2023년까지 83.28%의 증가율을 보였다. 2023년도 전 품목 총수입액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0.3%다. 국가별로는 독일, 중국, 미국 순으로 이 3개 국가가 전체 수입량의 46%를 차지하고 있다.


<스위스 HS Code 8542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순위

교역국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세계

687

668

842

925

920

1

독일

120

121

143

162

154

2

중국

124

129

149

151

149

3

미국

52

43

52

81

121

4

베트남

82

90

100

100

98

5

홍콩

53

59

117

79

55

6

프랑스

40

40

45

52

52

7

태국

30

26

35

40

44

8

인도

11

10

13

15

22

9

아일랜드

2

2

1

5

21

10

말레이시아

13

14

16

17

20

[자료: Global Trade Atlas취리히 무역관 정리]


스위스의 반도체 수입(HS코드 8486 반도체 웨이퍼 제작 장비 및 검사 장비 기준)은 2019년도에서 2023년까지 수입량이 59% 증가다. 국가별 수입 대상국 순위 1위는 독일이다. 2023년도 기준 對독일 수입은 6004만7820달러로 수입 비중은 26%를 차지한다. 對한국 수입도 증가했다. 2023년 6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0% 증가율을 보였다.


<스위스 HS Code 8486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순위

교역국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세계

687

668

842

925

920

1

독일

120

121

143

162

154

2

중국

124

129

149

151

149

3

미국

52

43

52

81

121

4

베트남

82

90

100

100

98

5

홍콩

53

59

117

79

55

6

프랑스

40

40

45

52

52

7

태국

30

26

35

40

44

8

인도

11

10

13

15

22

9

아일랜드

2

2

1

5

21

10

말레이시아

13

14

16

17

20

[자료: Global Trade Atlas, 취리히 무역관 정리]


반도체 관련 정책 및 규제


산업 전반에 걸쳐 반도체 수급의 전략적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촉진하기 위해 미국은 2022년에 CHIPS Act, EU는 2023년에 Chips for Europe Initiative를 제정했다. 스위스는 EU와 기본 협상이 결렬되면서 Horizon Europe과 같은 유럽 연구 프로그램에서 부분적으로 제외됐을 뿐만 아니라 Digital Europe에서 완전히 배제되면서 중요한 연구 기금을 확보하는데 제한이 발생했다. 이러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스위스는 2024년 "SwissChips initiative”를 발족했다. 이 프로그램은 스위스 연방공과대학(ETHZ, 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이 주도하고 스위스연방교육연구혁신청(SERI, State Secretariat for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스위스 전자 및 미세전자 센터(CSEM, Swiss Center for Electronics and Microtechnology), 로잔 연방공과대학(EPFL, 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이 지원하며 집적 회로(IC) 설계 및 마이크로 전자 분야에서 국내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이니셔티브는 강력한 스위스 연구 네트워크를 육성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할 예정이다. 2024년부터 2026년 초기 3년간 우선 적용되는 총예산은 3380만 스위스 프랑(약 3969만 달러)이며, 이중 2600만 스위스 프랑(약 3053만 달러)은 SERI가, 나머지 780만 스위스 프랑(약 916만 달러)은 CSEM, EPFL 및 ETH Zurich가 공동으로 부담한다. CSEM은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6G 통신 자율 IoT 장치용 SoC(System On Chip Edge AI용 칩 생물의학 회로 및 시스템과 같은 분야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한다


스위스 기계∙전자∙금속 산업 협회(Swissmem)의 반도체 산업 분과인 SEMI 역시 반도체산업이 스위스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SEMI는 공공 및 정책 입안자들에게 산업의 중요성을 알리는 한편, 연구 개발 분야를 강화하고 숙련된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며 스위스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또한, 산업 내 네트워킹을 촉진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협력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현재 EU에서 검토 중인 과불화화합물(PFAS) 규제가 유럽의 화학물질규정인 '리치(REACH)'에 반영될 경우 반도체 필수 소재인 PFAS의 제조·사용·수입이 제한 스위스의 반도체산업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높은 안정성과 내구성과 같은 우수한 화학적 특성을 지닌 PFAS는 반도체 산업에서 필수적인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그리는 포토레지스트, 에칭 공정에 사용하는 냉매 등에 투입된다. 그뿐만 아니라 제조 장비 내부 배관·밸브 등 여러 용도로도 사용된다. 하지만 '영원한 화학물질'이라 불릴 정도로 분해되지 않는다는 점과 장기적으로 인체에 축적돼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는 이 같은 유럽의 규제 움직임이 글로벌 반도체 공급난의 장기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PFAS가 반도체 산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데다 품질 및 안정적 공급망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체품 개발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주요 이슈


스위스는 다른 선진국들과 달리 대만과의 과학기술 협력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마이크로 및 나노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대만과 교류는 스위스 대학과 비공식적인 연구 교류에 그치고 있다. 반도체 부족에 대한 전 세계적인 우려가 커지면서 전문가들 사이에선 앞으로 보다 광범위한 협정이 필요하다는 판단하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스위스 정부는 SwissChips Initiative를 통해 자체적으로 반도체 기술 분야의 공급 주권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SwissChips Initiative 관련   일부 전문가들은 의문을 제기한다. 이들은 이니셔티브의 성공 여부는 단순히 재정적인 투자에만 달려 있지 않고 연구, 개발 간 협력을 촉진 기술 발전을 주도하고, 연구 결과를 실용적이면서 실제 시장과 관련된 기술로 전환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주장한다.


반도체 관련 대 EU 되고 있다. 스위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반도체 리더인 STMicroelectronics는 이탈리아 카타니아에 세계 최초의 통합 실리콘 카바이드(SiC) 시설인 SiC 캠퍼스를 건설할 예정이다. 세계 SiC 전력반도체 기판 시장 규모는 2022년 8억6500만 달러 수준이지만 연 19%씩 성장해 2027년 2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리콘 카바이드 캠퍼스는 글로벌 SiC 생태계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SiC 기판 개발, 에피택시얼(Epitaxial) 성장 공정, 200mm 프런트엔드 웨이퍼 제조 및 모듈 백엔드 조립, 공정 R&D, 제품 설계, 다이, 전력 시스템 및 모듈을 위한 고급 R&D 랩, 전체 패키징 기능을 포함한 생산 흐름의 모든 단계를 통합 운영할 예정이다. 이 캠퍼스는 2026년에 생산을 시작하고 2033년까지 최대 용량으로 늘려, 전체 설비 구축 시 주당 최대 1만5000개의 웨이퍼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이탈리아 정부는 EU Chip법의 틀 안에서 20억 유로 지원을 포함한 총 50억 유로 규모의 투자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STMicroelectronics와 카타니아 대학교, CNR(이탈리아 국립 연구 위원회) 간의 장기적인 협업을 포함한 전력 전자 분야에서 형성된 생태계와 대규모 공급업체 네트워크를 통해 카타니아가 SiC 기술 및 추가 성장 기회에 대한 글로벌 센터로서 맡은 역할을 강화하고자 한다. STMicroelectronics는 이탈리아 카타니아와 싱가포르 앙모키오의 150mm 웨이퍼 라인에서 SiC 제품을 대량 생산하고 있으며 세 번째 허브로써 중국 Sanan Optoelectronics와 협력해충칭(중국)에 200mm 시설을 건설 중으로, 2025년 4분기에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주요 기업 현황


스위스에는 전후방 산업 관련 기업 및 IP전문기업(RAAAM Technology), 팹리스(ST-Ericsson), IDM(STMicroelectronics), OSAT 후공정(Swissbit) 등 반도체 생산 공정별 매출액 1억 달러 이상의 글로벌 기업과 소부장 기업이 다수 소재하고 있다.


유형

주요 특징 및 대상 기업

스위스 기업

전방산업

(반도체 수요)

반도체가 들어가는 전자제품, 자동차, 우주항공 등

모든 산업

AlpsenTek, AMS, AXELERA AI, Belenoscleanpower, Beyond Gravity, Cisco, IDUN, Kandou,

Maxwell Biosystems, Meta, SynSense

반도체산업

(반도체 설계/생산)

IP전문기업

반도체 설계와 관련된 지식재산권 취득

Advanced Silicon, RAAAM Technology

팹리스

반도체 제조시설 없이 설계만을 수행

IBM, Miromico, NovaWave, U-Blox

디자인하우스

팹리스의 설계를 업그레이드


IDM

설계 제조 패키지 테스트 등 모든 

생산과정을 직접 수행

EM Microelectronic, ON Semiconductor, Renesas, STMicroelectronics

파운드리

(웨이퍼 가공)

전공정

산화

팹리스 업체가 설계한 반도체를 위탁 생산


노광

식각

이온주입

증착

연마/세정

열처리

금속배선

측정/분석

OSAT 기업

후공정

가공된 웨이퍼 조립 패키징 전문

Cicor, swissbit

후방산업

(소부장)

소재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재료를 개발생산 기업 (웨이퍼, 포토 레지스트, 산업용 가스 등 )


부품

반도체 제조장비의 제조 및 운영에 필요한 부분품 개발·생산

Dyconex, Fischer Connectors, LEMO, Meister Abrasives, Optotune, 

TE Connectivity

장비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장비 제조 기업

ABB, Artemis Control, Comet, Evatec, Georg Fischer, Inficon, Kistler, Metrohm, MPS Micro Precision Systems, Ovivo Switzerland, Stäubli, VAT Group, VDL ETG, CSEM

[자료: 각 기관 홈페이지, 취리히 무역관 정리]


<스위스 반도체 산업 주요 기업>

기업명

RAAAM Technology

STMicroelectronics

Swissbit

유형

IP 전문기업

IDM 기업

OSAT 후공정기업

설립연도

2021

1987

2021

매출액

n.a

172.9억달러

2억달러

홈페이지

https://raaam-tech.com/

https://www.st.com/content/

st_com/en.html

https://www.swissbit.com/en/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취리히 무역관 정리]


RAAAM Technology


On Chip 메모리를 구현하는 솔루션을 개발한 신생 기업 RAAAM Memory Technologies는 2024년 7월 유럽 혁신 위원회(EIC)로부터 525만 유로를 지원받는다고 발표했다. 17개국 969개 기업 중 68개 기업을 선정해 지원되는 이 자금에는 EIC 액셀러레이터(EICA)의 초기 보조금 250만 유로에 EIC 펀드를 통한 275만 유로가 포함돼 있다.

 

STMicroelectronics


2024년 3월 STMicroelectronics는 차세대 임베디드 프로세싱 장치를 지원하기 위해 임베디드 위상변화 메모리(ePCM)를 탑재한 18nm 완전 고갈 실리콘 온 절연체(FD-SOI) 기술 기반의 첨단 공정을 발표했다. STMicroelectronics와 삼성 파운드리가 공동 개발한 이 새로운 공정 기술은 임베디드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전력 소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동시에 더 큰 메모리 크기와 아날로그 및 디지털 주변장치의 높은 수준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새로운 기술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차세대 STM32 마이크로컨트롤러는 2024년 하반기에 일부 고객들에게 샘플 공급을 시작하고, 2025년 하반기에 생산될 예정이다.

 

Swissbit


2024 4Swissbit은 USB-C 인터페이스를 갖춘 새로운 하드웨어 기반 보안 키 iShield Key Pro제품을 발표했다. 기존 USB-A 인터페이스 제품과 마찬가지로 이 모델은 FIDO2 (Fast IDentity Online) 표준과 문서 서명 및 암호화를 위한 PIV(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오프라인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HOTP(HMAC 기반 일회용 비밀번호) 및 TOTP(시간 기반 일회용 비밀번호) 보안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진출전략


Strength

Weakness

- ETHZ(취리히연방 공과대학) EPFL(로잔 연방 공과대학) 초엘리트 교육연구기관 소재

- 반도체 설계 분야의 고급인력 자원


- 높은 물가로 인한 반도체생산시설(파운드리) 기업의 부재와 그에 따른 생산 기술 훈련 부족

- 타국가 대비 높은 인건비

Opportunities

Threats

- 스위스 이니셔티브를 통한 글로벌 반도체 시장 입지 강화 시도

- 넷제로 정책으로 인한 전기차, 재생에너지 등 반도체 수요 성장 전망


- EU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 제한 규정 논의

- 미국, EU 등 타국의 반도체산업 육성 및 경쟁력 강화로 시장 선도

[자료: Swissmem, Scem 기관 홈페이지, 무역관 정리]


한국은 반도체산업에서 세계 최고의 공정 기술 및 생산능력 확보하고 있다. 특히 메모리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우수한 제조 프로세스 기술력을 지니고 있다. 한편, Swissmem에 따르면, 스위스는 대학 수준의 교육훈련은 매우 우수하지만 직업 학교나 고등 기술 학교 및 기술 대학 수준의 기술훈련이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의 앞선 기술력은 기업들의 스위스 진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한국은 아직 여타 반도체 선진국에 비해 시스템 반도체(비메모리) 분야는 설계기술 및 설계 전문 인력이 부족하며, 반도체 설계를 위한 IP(Intellectual Property, 반도체 설계자산) 개발도 취약한 상황이다. 또한 시스템 기술과 반도체 설계기술을 겸비한 전문 인력 양성 시스템이 취약하고, SoC 연구개발에 필요한 IP의 표준화 및 공동 활용 미흡, 파운드리 이용 제약 등으로 적기 시장진입을 위한 기반이 부족한 상황이다.


스위스는 ETHZ(취리히연방 공과대학)와 EPFL(로잔 연방 공과대학)과 같은 유럽을 대표하는 초엘리트 교육연구기관이 협력을 더욱 강화 연구 교류와 통합의 추가 기회를 마련하고 있다. 특히 CSEM, EPFL 및 ETH Zurich 간의 공동 프로젝트인 SwissChips Initiative 는 SoC(컴퓨팅 시스템 온 칩), 6G 통신, 우주 전자 및 포토닉스, 자율 IoT 장치용 SoC, EDGE AI용 칩, 생체 의학 회로, 시스템, 장치 및 센서와 같은 광범위한 영역을 다루며 반도체, 마이크로 전자 공학 및 IC 설계 분야에서 스위스의 연구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 기업의 기술력 강화가 필요한 경우 스위스의 R&D 기관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KOTRA 취리히 무역관에서는 1. 공급망 위기에 대응하고 2. 스위스 반도체산업에 대한 이해 제고, 3. 한-스위스 간 학계-산업 협력 촉진, 그리고 4. 양국 협력 수요 발굴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사업을 진행하며 한국의 반도체산업 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스위스 반도체 협력 포럼 연계 글로벌 파트너링 온라인 상담회>

사업명

한-스위스 반도체 협력 포럼 연계 글로벌 파트너링 온라인 상담회

사업 기간

2024.9.2.(월)~2024.9.27.(금)

* 연계포럼 일시/장소: 2024.9.6.(금) / 취리히연방공대(ETH)

사업 내용

- 재스위스한인과학기술자협회주스위스한국대사관, KOTRA, 취리히연방공대(ETH Zurich) 주관으로 열리는 포럼에 취리히연방공대로잔연방공대(EPFL), KAIST, POSTECH, 서울대학교삼성전자 등에서 주요 인사들이 연사로 참여해 반도체산업의 현재와 미래에 관련 발표

- KOTRA 취리히 무역관에서는 포럼과 연계 온라인 상담회를 진행하며 구매/판매/공동 R&D와 같은 사전발굴 수요 기반 양국 기업 상담과 내용 관련한 후속지원 추진


- 사업명: 한-스위스 반도체 협력 포럼 연계 글로벌 파트너링 온라인 상담회

- 사업 기간: 2024.9.2.(월)~2024.9.27.(금)

* 연계포럼 일시/장소: 2024.9.6.(금) / 취리히연방공대(ETH)

- 사업내용

재스위스한인과학기술자협회, 주스위스한국대사관, KOTRA, 취리히연방공대(ETH Zurich) 주관으로 열리는 포럼에 취리히연방공대, 로잔연방공대(EPFL), KAIST, POSTECH, 서울대학교, 삼성전자 등에서 주요 인사들이 연사로 참여해 반도체산업의 현재와 미래에 관련 발표. KOTRA 취리히 무역관에서는 포럼과 연계 온라인 상담회를 진행하며 구매/판매/공동 R&D와 같은 사전발굴 수요 기반 양국 기업 상담과 내용 관련한 후속지원 추진


한편, 스위스의 환경 관련 규제가 한국기업 진출에 어려움을 줄 것으로 예상 주의가 요구된다. 스위스는 2024년 6월 재생에너지의 사용을 늘리는 데 동의하는 재생에너지법이 유권자 과반수 이상의 지지를 받을 정도로 지속가능성에 관심도가 높은 나라로 반도체 산업도 이러한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EU는 2025년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을 제한을 준비하고 있으며, 유럽의 화학물질 규정인 '리치(REACH)'에 해당 규제가 반영되면 앞으로 PFAS의 제조·사용·수입이 제한 스위스 반도체 산업 역시 이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의견을 모은다.

 

시사점


스위스는 전통적으로 높은 수준의 연구개발(R&D) 역량과 기술력을 보유한 국가로, 반도체 산업의 성장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다만 협소한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독일 등 주변국 대상 반도체 칩 생산보다는 소부장 기업을 중심으로 산업이 발전다. 특히, 엔지니어링, 계측 등 소부장 기업의 국제적 경쟁력 유지를 위해 ETH Zurich와 같은 유럽 최정상 연구기관과 협력 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산업에 적용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기관들과 기업 간의 협력은 혁신적인 반도체 기술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전 세계적인 반도체 공급망 위기가 지속 각국이 자체적인 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추진하는 가운데 스위스 역시 안정적인 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유럽연합(EU) 회원국이 아닌 스위스는 Chips for Europe Initiative에 의한 기금을 지원을 받을 수 없어 자체적인 SwissChips Initiative를 발족해 CSEM, EPFL, ETH Zurich를 중심으로 다양한 스위스 및 유럽 연구 기관, 반도체 협회, 산업 파트너의 지원을 통해 반도체 역량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EU 반도체법으로 인해 연구, 개발 혁신지원 정책이 추진되는데 기존 Horizon Europe이나 Digital Europe이 아닌 Chips for Europe Initiative 산하로 통폐합될 예정이다. 현재 스위스가 EU와 기본협상을 추진하고 있어 빠르면 연내 타결될 경우 이 기금을 활용한 반도체 연구개발에 스위스가 참여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스위스는 보유한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2나노미터 미만 첨단 반도체 기술, AI 혁신 기술, 에너지 고효율 프로세서, 슈퍼컴퓨터 등에서 유럽 반도체 산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통적 칩 시장 수요는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기업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현지 연구기관 및 기업과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자료: 스위스 연방의회, 스위스 기계전자금속 산업 협회(Swissmem), 스위스 연방공과대학(ETHZ), 스위스연방교육연구혁신청(SERI), 스위스 전자 및 미세전자 센터(CSEM), 로잔 연방공과대학(EPFL), RAAAM Technology, STMicroelectronics, Swissbit, GTA, STATISTA Market insight, KOTRA 취리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스위스 반도체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