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태국 고무 시장 동향
  • 상품DB
  • 태국
  • 방콕무역관 김지현
  • 2024-06-27
  • 출처 : KOTRA

태국에서 생산되는 중간재 고무 제품의 대부분은 해외 시장에 수출되어 최종 제품으로 가공

태국은 세계 주요 천연고무 공급국이며 태국에 이어 인도네시아, 코트디부아르, 베트남, 인도, 중국 순

2023년 태국의 합성고무(HS Code 4002 기준) 수출 금액은 약 26억19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8% 감소

상품명 및 HS Code

 

- HS Code 40.02: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and factice derived from oils)

- HS Code 4002.51: 라텍스(Latex)

 

태국 고무 시장 동향

 

조사 기관 Krungsri Research의 고무 가공 산업 전망 2023-2025에 따르면, 태국에서 생산되는 중간재 고무 제품의 대부분은 해외 시장에 수출되어(2022년 기준 80.9%가 해외로 판매) 최종 제품으로 가공된다. 2022년 기준 태국의 주요 고무 수출국은 중국(53.8%), 말레이시아(10.6%), 미국(5.7%), 일본(4.6%), 한국(4.5%) 순이다. 나머지 19.1%의 중간재 생산량은 국내에서 소비되며 최종 용도는 대부분 타이어(58.6%) 생산이다. 타이어 다음으로 라텍스 또는 수술용 장갑(Latex or Surgical gloves, 10.2%), 탄성 고무(Elastics, 9.3%), 오토바이용 타이어 및 튜브(2.2%), 고무밴드(Rubber bands, 1.4%) 등의 제품 순이다.

 

<중간재 고무 제품 수출 시장 비중(2022)>

[자료: Krungsri Research]


조사 기관 Krungsri Research에 따르면, 아시아는 전 세계 고무의 80% 이상을 공급하고 있다. 2022년 기준 태국은 세계 주요 천연고무(Natural Rubber) 공급국(33.4%)으로서의 위치를 지키고 있으며 태국에 이어 인도네시아(21.8%), 코트디부아르(9.0%), 베트남(8.7%), 인도(5.8%), 중국(5.2%) 그 뒤를 잇고 있다. 한편, 중국은 전 세계 고무 소비량의 39.8%, 전 세계 수입량의 46.8%를 차지하고 있다.

 

<전 세계 천연고무 생산량 및 소비량 점유율(2022)>

순위

생산량

소비량

1

태국

33.4

중국

39.8

2

인도네시아

21.8

인도

9.0

3

코트디부아르

9.0

태국

7.0

4

베트남

8.7

미국

6.4

5

인도네시아

5.8

일본

4.5

6

중국

5.2

인도네시아

4.1

7

말레이시아

2.8

말레이시아

2.8

8

캄보디아

2.7

브라질

2.8

9

미얀마

2.1

베트남

2.7

10

라오스

2.0

한국

2.5

[자료: Krungsri Research, KOTRA 방콕무역관 정리]

 

한편, 중국 투자자들은 2006~2021년까지 CLMV(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지역의 천연고무 농장 개발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했으며, 이는 현재 꾸준한 공급량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Krungsri Research에 따르면, 2018~2022년 동안 중국의 천연고무 공급량은 매년 13.7%씩 증가하여 2018년 45만 톤에서 2022년 76만 톤으로 증가했다. 이러한 공급 확대와 함께 중국은 합성고무 제품 생산량을 늘렸고, 중국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공급업체에 대한 중국의 협상 위치도 공고화되었다.

 

<주요 천연고무 수출입 현황(2022년)>

(단위: 1,000톤)

[자료: Krungsri Research]

 

고무 산업 공급망 및 유통 구조

 

태국의 고무 공급망에는 크게 3가지 주요 부문(Upstream, Midstream, Downstream)으로 나뉜다. 태국 내 거의 모든 생산은 미드스트림(Midstream) 고무 산업에 투입되는 원료로 소비되고 있다. 미드스트림 고무 산업의 고무 가공업체는 농장에서 생산된 고무를 가져와 골이 있는 훈제시트(Ribbed Smoked Sheet), 농축 라텍스(Concentrated Latex), 컴파운드 고무(Compound Rubber), 혼합 고무(Mixed Rubber)와 같은 반제품으로 전환한다.

 

<태국 중간재 주요 고무 제품>

[자료: Krungsri Research]

 

태국에서 생산된 중간재 고무 제품은 대부분 해외로 수출되어 다운스트림(Downstream) 제품인 타이어, 라텍스 의료 장갑, 오토바이용 타이어 및 튜브, 고무 밴드 등으로 가공된다. 한편, 태국 상무부 산하 사업개발부(Department of Business Development)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으로부터 고무로 만든 제품을 수입 및 유통하는 태국 내 업체는 600개사 이상인 것으로 확인된다.

 

<태국 중간재 고무 제품 공급망 구조>

[자료: Krungsri Research]

 

합성고무 수출 동향

 

조사 기관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태국의 합성고무(HS Code 4002 기준) 수출 금액은 약 26억19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8% 감소했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22억 8600만 달러), 인도(7100만 달러), 말레이시아(6200만 달러), 인도네시아(3600만 달러), 일본 (3400만 달러) 등으로 주요 5개 수출국에 대한 수출 비중이 전체의 95.0%를 차지했다. 한편, 동기간 태국의 대 한국 집적회로 수출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20.0% 감소한 약 4000만 달러로 전체 수출국 중 17위를 기록했다.

 

<태국의 합성고무(HS Code 4002) 수출 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증감률

(‘22/23)

전체

2,159

(100.0)

2,412

(100.0)

2,313

(100.0)

3,004

(100.0)

2,619

(100.0)

-12.8

1

중국

1,833

(84.9)

2,150

(89.1)

1,948

(84.2)

2,685

(89.4)

2,286

(87.3)

-14.9

2

인도

11

(0.5)

16

(0.7)

28

(1.2)

47

(1.6)

71

(2.7)

51.1

3

말레이시아

80

(3.7)

71

(2.9)

113

(4.9)

57

(1.9)

62

(2.4)

8.8

4

인도네시아

25

(1.2)

17

(0.7)

31

(1.3)

34

(1.1)

36

(1.4)

5.9

5

일본

43

(2.0)

29

(1.2)

39

(1.7)

39

(1.3)

34

(1.3)

-12.8

6

베트남

23

(1.1)

19

(0.8)

26

(1.1)

26

(0.9)

21

(0.8)

-19.2

7

미국

25

(1.2)

17

(0.7)

19

(0.8)

22

(0.7)

18

(0.7)

-18.2

8

독일

20

(0.9)

14

(0.6)

17

(0.7)

16

(0.5)

11

(0.4)

-31.3

9

대만

5

(0.2)

5

(0.2)

6

(0.3)

5

(0.2)

8

(0.3)

60.0

10

루마니아

3

(0.1)

3

(0.1)

7

(0.3)

6

(0.2)

6

(0.2)

0.0

17

한국

10

(0.5)

5

(0.2)

6

(0.3)

5

(0.2)

4

(0.2)

-20.0

주: 괄호 안 수출점유율
[자료: Global Trade Atlas(’24.06.06.)]

 

합성고무 수입 동향

 

2023년 기준 태국의 합성고무 수입 금액은 11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7% 감소했다. 주요 수입국은 한국(2억5100만 달러), 일본(2억4900만 달러), 중국(1억9300만 달러), 대만(8100만 달러), 싱가포르(7400만 달러) 등으로 주요 5개 수입국에 대한 수입 비중이 전체의 71.9%를 차지했다.

 

<태국의 합성고무(HS Code 4002)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증감률
('22/23)

전체

1,169

(100.0)

1,038

(100.0)

1,579

(100.0)

1,352

(100.0)

1,180

(100.0)

-12.7

1

한국

230

(19.7)

192

(18.5)

347

(22.0)

284

(21.0)

251

(21.3)

-11.6

2

일본

291

(24.9)

245

(23.6)

315

(19.9)

287

(21.2)

249

(21.1)

-13.2

3

중국

54

(4.6)

74

(7.1)

163

(10.3)

194

(14.3)

193

(16.4)

-0.5

4

대만

125

(10.7)

130

(12.5)

258

(16.3)

111

(8.2)

81

(6.9)

-27.0

5

싱가포르

88

(7.5)

68

(6.6)

79

(5.0)

93

(6.9)

74

(6.3)

-20.4

6

미국

103

(8.8)

84

(8.1)

106

(6.7)

118

(8.7)

68

(5.8)

-42.4

7

러시아

44

(3.8)

34

(3.3)

47

(3.0)

32

(2.4)

51

(4.3)

59.4

8

인도네시아

7

(0.6)

20

(1.9)

36

(2.3)

38

(2.8)

40

(3.4)

5.3

9

사우디아라비아

15

(1.3)

8

(0.8)

23

(1.5)

28

(2.1)

39

(3.3)

39.3

10

브라질

4

(0.3)

16

(1.5)

24

(1.5)

48

(3.6)

32

(2.7)

-33.3

주: 괄호 안 수입점유율
[자료: Global Trade Atlas(’24.06.06.)]

 

경쟁 동향


<태국 내 매출액 기준 고무 제품 제조 상위 기업>

기업명

로고

기업정보

MICHELIN SIAM

- 본사: 프랑스

- 설립 연도: 2005년

- 산업군: 타이어 제조

- 자본금: 54억 1700만 바트(약 2042억 원)

- 매출액: 544억 9221만 바트(약 2조 544억 원)

SRI TRANG AGRO-INDUSTRY

- 본사: 태국

- 립 연도: 1993년

- 산업군: 농축 라텍스 제조
- 자본금: 15억 3600만 바트(약 580억 원)

- 매출액: 513억 494만 바트(약 1조 9359억 원)

SUMITOMO RUBBER (THAILAND)

Sumitomo-Rubber-Logo - Tire Review Magazine

- 본사: 일본

- 설립 연도: 2005년

- 산업군: 타이어 제조
- 자본금: 140억 바트(약 5278억 원)

- 매출액: 340억 4541만 바트(약 1조 2893억 원)

ZHONGCE RUBBER (THAILAND)

- 본사: 중국

- 설립 연도: 2012년

- 산업군: 타이어 제조
- 자본금: 54억 7000만 바트(2062억 원)

- 매출액: 311억 1904만 바트(1조 1732억 원)

NORTH EAST RUBBER

- 본사: 태국

- 설립 연도: 2018년

- 산업군: 고무판, 시트, 스트립, 막대 제조
- 자본금: 10억 7788만 바트(약 406억 원)

- 매출액: 250억 6571만 바트(약 9450억 원)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Corpus X, 방콕 무역관 종합]


태국 상무부 집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태국에는 215개의 고무타이어 및 튜브 제조 업체가 활동 중이며, 이 중 20개사 이상이 자동차용 타이어 제조 업체에 해당한다. 태국 내 타이어 취급 기업들은 일본을 비롯하여, 중국, 프랑스, 대만, 독일, 인도, 미국, 한국 기업들이 현지 진출을 통해 제조와 유통, 수출입 활동 등을 수행하고 있다. 


<태국 내 주요 타이어 제조 및 유통 업체>

기업명

설립연도

브랜드명

웹사이트

MICHELIN SIAM 

2005

Michelin,
BFGoodrich

본사: 프랑스

사업영역: 타이어 제조, 유통, 수입, 수출

웹사이트: https://www.michelin.co.th/

SUMITOMO RUBBER (THAILAND)

2005

Dunlop,
Falken

본사: 일본

사업영역: 이어 제조, 유통, 수입, 수출

웹사이트: http://www.sumitomorubberthailand.com/

ZHONGCE RUBBER (THAILAND) 

2012

Goodride

본사: 중국

사업영역: 타이어 제조, 유통, 수출

웹사이트: https://www.goodridethailand.com/

BRIDGESTONE TIRE MANUFACTURING (THAILAND)

2000

Bridgestone, Firestone, Dayton

본사: 일본

사업영역: 타이어 제조, 유통, 수입, 수출

웹사이트: https://www.bridgestone.co.th/

MAXXIS INTERNATIONAL (THAILAND)

2002

MAXXIS

본사: 대만

사업영역: 타이어 제조, 유통, 수입, 수출

웹사이트: https://www.maxxis.co.th/

SENTURY TIRE (THAILAND)

2014

Sentury,
Delinte,
Landsail

본사: 중국

사업영역: 타이어제조, 수출

웹사이트: https://senturytireusa.com/

[자료: 사업개발국(DBD), 각 사 홈페이지]


관세율 및 인증

 

태국 합성고무(HS Code 4002)의 일반 세율은 5~30%이지만, 라텍스의 경우(HS Code: 4002.11)의 경우 한-아세안 FTA 세율은 5.0%,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세율은 3.5%이다.

 

<태국 합성고무(HS Code 4002) 수입관세>

HS 코드

4002

품목명(한글)

합성고무와 기름에서 제조한 팩티스(factice)[일차제품(primary form)ㆍ판ㆍ시트(sheet)ㆍ스트립 모양으로 한정한다], 제4001호의 물품과 제4002호의 물품과의 혼합물[일차제품(primary form)ㆍ판ㆍ시트(sheet)ㆍ스트립 모양으로 한정한다]

품목명(영문)

Synthetic rubber and factice derived from oils, in primary forms or in plates, sheets or strip; mixtures of any product of heading 40.01 with any product of this heading, in primary forms or in plates, sheets or strip.

수입관세

 - 일반세율: 5~30%

라텍스(HS Code: 4002.11)의 경우

 - 한-아세안 FTA 협정세율: 5.0%

 - RCEP 협정세율: 3.5%

부가가치세

7%

[자료: 태국 관세청 통합관세조회시스템]

 

시사점 및 전망

 

조사 기관 Krungsri Research의 Chaiwat Sowcharoensuk 분석가는 1) 전기차(EV) 생산 및 개발 지원, 의료기기 생산으로 인한 고무 수요 증가2) 인프라 구축에 대한 지출 증가로 건설용 고무 수요 증가 3) 고무 가격 안정화를 위한 정부 조치 등으로 인해 태국 내 고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태국은 여전히 세계 주요 고무 공급원이지만 무역에 대한 비관세 장벽으로 인한 위험요인, CLMV(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국가의 고무 업체와의 경쟁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작성: KOTRA 방콕무역관 김지현, 이태형

자료: Krungsri Research, Global Trade Atlas, Sritrang, Vonbundit, Siamnavakam, North East Rubber, The Office of Industrial Economics, Ministry of Commerce, Rubber Intelligence Unit, Department of Agriculture, Trade Map, Wikipedia, Thai Customs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고무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