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홍콩 무알코올 음료 시장동향
  • 상품DB
  • 홍콩
  • 홍콩무역관 Nessa Wong
  • 2024-06-25
  • 출처 : KOTRA

2028년까지 27억2900 달러 규모로 성장 전망

과일 맛이 첨가된 차(茶) 기반 음료 인기

상품명 및 HS Code

무알콜 음료의 HS 코드는 220299로 인삼 음료, 과실 주스, 식혜, 탄산 음료, RTD(Ready to Drink) 차 및 커피 음료, 과실이나 향료를 함유한 우유 제품 등을 포함한다.

시장 규모 및 동향


시장조사 기관 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 홍콩 
무알콜 음료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5.7% 증가한 약 24억2600만 미 달러를 기록했다. 무알콜 음료의 유통 채널은 크게 on-trade*와 off-trade**로 구분할 수 있는데, 2023년 전체 시장 규모에서 백화점, 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등과 같은 off-trade 채널(77.4%)을 통한 매출액이 레스토랑, 호텔, 바, 클럽 등을 통한 on-trade 채널(22.6%)을 크게 앞섰다.

*주: on-trade는 레스토랑, 호텔, 바 등 소비자들이 직접 해당 장소에서 제품을 소비하는 유통 채널을 의미함
**주: off-trade는 백화점, 마트 등 해당 장소에서 제품을 직접 소비하기보다는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유통 채널을 의미함

2023
년 무알콜 음료(off-trade) 시장 규모는 약 18억7700만 미 달러로 전년 대비 약 17억7100만 미 달러에서 6% 증가했다. 무알콜 음료 가운데 RTD 차 음료(27.1%)가 생수(31.9%)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매출액을 기록하며 홍콩 소비자들이 차(茶) 기반 음료를 무척 선호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2018~2023년 홍콩 무알콜 음료 시장 규모(off-trade)>
(단위: US$ 백만)


아시안 특산 음료에는 배차(雪梨茶, 설리차), 하고초(夏枯草), 화기삼(花旗蔘, 미국 인삼)·꿀 음료, 인삼 음료 등이 포함됨

**환율: 1 USD = 7.8 HKD
[자료: Euromonitor, ‘Soft Drinks in Hong Kong (2024년 4월)']


홍콩의 무알콜 음료(off-trade) 시장은 2024년 약 18억7800만 미 달러의 시장 규모에서 12.2% 성장 2028년 약 21억 미 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스포츠 음료(+30.6%), RTD 커피(+20%), RTD 차 음료(+17.6%)가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23~2028년 홍콩 무알콜 음료 시장 전망(off-trade)>
(단위: US$ 백만)


*환율: 1 USD = 7.8 
HKD
[자료: Euromonitor, ‘Soft Drinks in Hong Kong (2024년 4월)']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3
년 홍콩의 
무알콜 음료(HS220299) 품목의 전체 수입 규모는 약 3억2700만 미 달러로 전년 대비 16.9% 상승했다. 주요 수입국(지역) 가운데 중국 본토가 약 1억3000만 미 달러의 수입액으로 전체 수입액의 39.6%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으며, 일본(12.5%)과 독일(8.9%)이 그 뒤를 이었다. 2022년 대비 2023년에는 네덜란드의 수입액 증가율이 93.7%로 가장 높았으며, 독일(+80.5%), 인도네시아(+57.8%) 역시 전년 대비 큰 폭의 수입액 증가율을 보였다.

한국의 경우 2023년에는 약 1588만 미 달러의 수입액을 기록
 전년 1318만 미 달러 대비 20.5% 증가했으며, 전체 무알콜 음료 수입국 가운데 5위를 차지했다.

 

<최근 3년간 홍콩 무알콜 음료 동향(HS Code 220299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시장

점유율

(2023년)

증감률

2021

2022

2023

전체

266,513

279,755

326,907

100

16.9

1

중국 본토

97,211

103,974

129,493

39.6

24.5

2

일본

39,694

43,302

40,775

12.5

-5.8

3

독일

9,975

16,075

29,023

8.9

80.5

4

대만

26,698

25,430

27,606

8.4

8.6

5

한국

16,641

13,182

15,877

4.9

20.5

6

태국

14,390

15,047

13,862

4.2

-7.9

7

미국

11,712

12,801

10,086

3.1

-21.2

8

인도네시아

4,541

6,271

9,897

3.0

57.8

9

네덜란드

7,153

4,443

8,603

2.6

93.7

10

오스트리아

6,743

7,520

7,734

2.4

2.9

*주: 증감률은 2022년 대비 2023년 증감률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6.3.]


홍콩 내 한국 식음료에 대한 관심이 확산됨에 따라 식료품점에서도 식혜, 차, 과일 주스, 탄산음료 등 한국 음료수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홍콩 코즈웨이베이 소재 식료품점에서 판매 중인 한국 음료수>


[자료: KOTRA 홍콩 무역관 직접 촬영]


경쟁 동향

홍콩 전체 
무알콜 음료 시장에는 다양한 현지 브랜드들이 유통되고 있다. 특히 레몬티, 우롱차 등 차를 기반으로 한 제품들이 다양하다는 점이 특징적이며, 소비자 편의를 위해 소용량으로 개별 포장된 음료가 묶음으로 판매되는 경우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한편, 건강에 대한 인식이 개선됨에 따라 제로 슈가, 저당(low sugar) 음료 등도 활발히 판매되고 있다.


<홍콩 무알콜 음료 시장 내 유통 중인 제품>
(단위: 홍콩 달러)

브랜드

Vita

Tao Ti

Bonaqua

Watsons

Coca-Cola

NESCAFÉ

Mr. Juicy

Authentic Tea House

Cheil

(제일)

기업명

Vitasoy International Holdings Ltd

Telford International Co Ltd

Swire Coca-Cola Hong Kong Ltd

AS Watson Group

Swire Coca-Cola Hong Kong Ltd

Nestlé Hong Kong Ltd

AS Watson Group

Swire Coca-Cola Hong Kong Ltd

Cheil General Food Ind., Co.

(제일종합식품)

제품명

Lemon Tea

Tao Ti Honey Green Tea

Mineralized Water

Distilled Water

Coke No Sugar

Milk & Sugar Coffee

Orange Juice Drink

Dahongpao Oolong Tea

원기삼 뿌리와 홍삼

가격

18

8.6

74.5

7

40

47

9

10

25

용량

250ml/6

500ml

770ml/24

800ml

330ml/8

250ml/6

360ml

500ml

120ml

제품 이미지

[자료: ParknShop, HKTVmall]


유통구조

Statista에 따르면, 2023년 홍콩의 무알콜 음료 시장에서는 오프라인 채널을 통한 판매가 85.2%로, 온라인 채널을 통한 판매(14.8%)보다 훨씬 더 일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오프라인 유통 채널로는 Wellcome, ParknShop, City Super 등 슈퍼마켓과 세븐일레븐, Circle K 등과 같은 편의점이 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10.7%)은 두 자릿수를 넘어섰으며 매년 꾸준히 증가해 2028년에는 19.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홍콩 무알콜 음료 온오프라인 판매 비중>

(단위: %)

[자료: Statista]


온라인 채널 중에서도 데스크톱 PC를 통한 음료 구입 비중은 2018년 59.7%에서 2028년 39%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휴대폰을 통한 음료 구입 비중은 2017년 40.3%에서 2028년 61%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온라인 판매 중 PC 및 모바일 판매 비중>

(단위: %)

[자료: Statista]


관세율 및 인증

HS 코드 220299의 관세율은 0%이다.

인증의 경우, 홍콩은 자유무역항으로 술, 담배, 탄화수소계 유류, 메틸알코올 등 4가지 품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일반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 또한 무알콜 음료는 일반 소비재로 분류돼 수입 및 판매 전 자체 안전 점검을 의무화하는 규정이 없다.

그러나 '식품 및 의약품(성분 및 라벨) 규제' (Cap. 132W Food and Drugs (Composition and Labelling) Regulations)에 따라 사전 포장된 식료품에는 다음과 같은 7가지 정보를 필수적으로 표시해야 한다.

<사전 포장된 식료품에 표시해야 할 7가지 정보>

1) 식품명
2) 성분표
3) 유통기한
4) 저장 방식 및 사용 설명
5) 수량, 무게 및 부피
6) 제조업체 또는 포장 업체의 명칭과 주소
7) 영양 성분 라벨

[자료: 식품안전센터(Centre for Food Safety)]


영양 성분 라벨에는 단백질, 총지방,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탄수화물, 당류, 나트륨 등 7가지 주요 영양 성분이 반드시 명시야 하며 모든 정보는 중문 또는 영문, 혹은 두 언어를 혼용 표기해야 한다.


<홍콩 사전 포장된 식료품에 대한 라벨링 예시>

[자료: 식품안전센터(Centre for Food Safety)]


사전 포장된 식료품에 저당, 무당(No Sugar) 등을 나타내는 문구 또는 라벨을 표시하려면 아래와 같은 조건을 부합해야 한다.

<식품 당류 함량 표시 조건>

표시 문구

표시 조건

라벨 예시

저당(Low Sugar)

음료 100ml당 5g 미만의 경우

무당(No Sugar)

음료 100ml당 0.5g 미만의 경우

[자료: 식품안전센터(Centre for Food Safety)]

 

한편, 홍콩 식품환경위생처(Food and Environmental Hygiene Department)는 수입된 식료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수출국에서 발급한 위생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다.

시사점

2023년 홍콩의 무알콜 음료(HS 220299) 수입 규모는 약 3억2700만 미 달러로, 중국 본토, 일본, 독일, 대만을 이어 한국이 전체 수입액의 4.9%를 차지하며 5대 수입국에 속한다.

홍콩은 동서양 문화가 혼용된 지역으로서 차 문화가 발달해 있으며 이러한 점은 무알콜 음료 시장에도 크게 반영돼 차 기반 음료가 2023년도 전체 무알콜 음료 시장의 27.1%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과일 맛이 첨가된 레몬티, 포도 우롱차, 망고 녹차 등의 음료가 현지 소비자들로부터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으며 과일 주스와 탄산음료 역시 꾸준한 매출액을 보이고 있다. 또한 배차(雪梨茶, 설리차), 하고초(夏枯草)와 같이 해독 기능이 있거나 기침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는 아시안 특산 음료와 운동 후 즐길 수 있는 스포츠음료 역시 홍콩 소비자들로부터 선호되고 있다.

 
홍콩의 소비자들이 주로 편의점, 슈퍼마켓 등의 off-trade 채널을 통해 음료를 구입한다는 점을 고려해 우리 기업은 Wellcome, ParknShop, 세븐 일레븐 등과 같은 유통망 진출을 통한 홍콩 시장 진출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ltas,
ParknShop, HKTVmall, Statista, 식품안전센터(Centre for Food Safety)], KOTRA 홍콩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홍콩 무알코올 음료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