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폴란드 리튬화합물 시장동향
  • 트렌드
  • 폴란드
  • 바르샤바무역관 신일숙
  • 2024-05-29
  • 출처 : KOTRA

對한국 수입 1위, 2023년 전체 수입의 61.5%

유럽의 전기차로의 전환이 지속되는 동안 배터리 공급망 안정을 위해 필수적

상품명 (HS code) 및 상품설명

 

HS CODE

상품 설명

상품 설명(영문)

2841.90

- 산화금속산염 또는 과산화금속산염

- Salts Of Oxometallic Or Peroxometallic Acids

 

- HS code 2841.90 품목은 리튬코발트산화물(LCO; Lithium cobalt oxide; LiCoO2) 및 리튬/코발트/망간산화물(NCM: Lithium cobalt Manganese Oxide: Li(Ni, Co, Mn)O2) 등의 리튬화합물로, 리튬이온배터리의 핵심소재인 양극재, 양극활물질을 포함한다. 


리튬코발트산화물 또는 리튬망간산화물(이하 리튬화합물) 리튬이온배터리(이차전지)의 4대 핵심소재 중 양극 활성재로서, 전체 배터리 생산원가에서 40% 이상을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소재이다. 양극재는 금속염의 조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며, 배터리의 용량과 출력에 영향을 미친다.

 

 

시장동향 

 

2022년 예상치 못한 국제 정세와 에너지 가격 상승, 그리고 공급망 위기로 유럽의 전기차 산업이 주춤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3년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리튬화합물의 폴란드 수입액은 전년 대비 약 22% 증가했다. 이는 리튬화합물의 폴란드 내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기차 감산 기조와 함께 향후 배터리 수요의 성장률도 완만해 질 것으로 예상되나, 전기차로의 전환이 이어지는한 배터리 공급망 안정에 필요한 리튬화합물 시장은 중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1) 수요동향


유럽 내 리튬이온배터리 단일 제조사로는 최대규모인 LG 에너지솔루션 생산공장이 폴란드에 있으며, 리튬화합물을 포함하여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핵심 소재 대부분의 수요가 배터리 생산 공장에서 발생된다. 그외에도 폴란드에는 소형 e-mobility용 이차전지, 전기버스용 배터리, 그리고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을 생산하는 주요 제조사가 있어 양극재 소재인 리튬화합물에 대한 잠재 수요가 높다.


PSPA 보고서에 따르면, 폴란드는 2022년 전 세계 이차전지 셀 제조 부문에서 총 73GWh를 생산해 중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브로츠와프 법인은 2030년까지 생산 능력을 최대 115GWh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럽 리튬이온배터리 생산 동향과 전망 >

[자료: battery-news.de 2023. 6]

 

폴란드에서 생산되는 리튬이온배터리의 대부분은 전기차 생산공장을 가진 국가에 수출 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수출이 증가해 왔다. 리튬이온배터리의 수출액이 폴란드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매년 증가해 왔으며, 2023년에는 3.1%를 차지했다. 이를 통해 폴란드 내 리튬이온배터리 산업의 중요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폴란드의 리튬이온배터리 수출현황>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리튬이온배터리 수출액(US$백만)

2,248

4,624

7,759

8,581

11,903

증감률(%)

-

105.7

67.8

10.6

38.7

폴란드 총 수출액 중 

리튬이온배터리 비율(%)

0.8

1.7

2.3

2.4

3.1

[자료: GTA, 2024. 5. 8]

 

2) 공급동향


벨기에 업체 유미코어(Umicore)는 폴란드 니사(Nysa)에 리튬산화물을 포함한 양극재를 생산하기 위해 약 20억 달러를 투자하고다. 유미코어는 안정적인 소재 공급망을 구축을 목표로 폭스바겐의 파워코(PowerCo)와 합작하여 이온웨이(IONWAY)라는 회사를 설립했다. 이 파트너십은 파워코의 유럽 배터리 셀 공장에 고성능 양극 활물질(CAM)과 전구체 물질(pCAM)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폴란드 정부는 이 프로젝트에 3억 5천만 유로의 현금 지원을 제공한다.


이미 2022년 7월부터 일부 생산을 가동 중이며, 초기 생산 능력은 20GWh이다. 2024년까지 40GWh로 생산 능력을 확대할 예정이며, 장기적으로는 연간 200GWh 이상, 즉 300만 대의 전기차가 생산될수 있을만한 양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미코어 폴란드 공장 전경>

 

[자료: 유미코어 홈페이지]


수입 동향 對 한국 수입 규모

 

2023년 폴란드의 리튬화합물 수입액은 약 37억 달러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 지난 10년 간의 수입 통계를 분석해 보면, 최근 3년 간 수입액이 급증했다. 주요 수입국은 한국, 일본, 중국이며, 이 중 한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 일본, 중국 세 국가의 수입은 폴란드 전체 리튬화합물 수입의 99.9%를 차지하고 있으며, 對 한국 수입은 전체의 61.5%를 점유하고 있다. 특히 2022년 폴란드 배터리 공장 생산 능력을 크게 확장함에 따라 대한 수입액은 전년대비 10배 이상 증가했다.


< 폴란드 리튬화합물 수입 동향 2021~2023>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수입액

증감률

2021

2022

2023

2023/2022


전체

386

3,068

3,741

22.0

1

한국

193

1,937

2,302

18.8

2

일본

109

487

769

58.0

3

중국

81

640

665

3.9

4

벨기에

1

1

3

135.3

5

이태리

1

1

1

21.7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 5. 9]

 

< 폴란드 리튬화합물 수입 국가별 비중, 2023>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 5. 8]

 

 

수출동향

 

폴란드의 2023년 리튬화합물 수출액은 8,957만 6,000달러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이 품목의 수출은 2022년부터 급격히 증가했으며, 이는 폴란드 내 생산이 시작되면서 수출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 수출 역시 2022년에 처음 시작되었다. 대한 수출액은 2022년 2,771만 6,000달러에서 2023년 3,556만 9,000달러로, 전년 대비 28.3% 증가했다.


< 폴란드 리튬화합물 수출 동향 2021~2023>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출액

비중

증감률

2021

2022

2023

2023

2023/2022


전체

11,493

63,072

89,576

100

42.0

1

미국

661

1,402

38,377

42.8

2636.6

2

한국


27,716

35,569

39.7

28.3

3

중국

7,524

30,920

9,113

10.2

-70.5

4

벨기에


2

1,985

2.2

130984.0

5

캐나다

945

1,006

1,294

1.4

28.6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 5. 24]

 

수출규제 및 가격

 

유럽에서 제3국으로 리튬화합물을 수출할 때 특별한 규제는 없지만, 수입 대상국(예: 한국)의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위험물 및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한 포장이 요구된다.

 

HS 코드 284190 기준으로 2023년 수출액과 수출량을 기준으로 보면, 2023년 평균 수출 단가는 톤당 2만 4000달러였다.


<리튬화합물 평균 수출단가, 2023년 기준>

수출액(US$ 천)

수출량(톤)

단가(US$ 천)

89,576

3,728

24.0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 5. 24]


유통의 흐름

 

리튬화합물은 양극재로 사용되어 이차전지인 리튬이온배터리 제조사에 공급된다. 유럽의 폐기물 프레임워크 지침(Waste Framework Directive)에 따르면 제조사는 판매된 배터리의 생산, 사용 및 재활용에 이르는 전체 수명 주기를 관리할 책임이 있다. 리튬 기반 배터리의 경우, 2025년 말까지 사용된 배터리의 최소 65%, 2030년 말까지는 70%를 재활용해야 한다.

 

<리튬화합물 유통 사이클>

[자료: KOTRA 바르샤바 무역관 자체분석]

 

관세율 및 인증

 

리튬화합물로 이루어진 양극재/양극활물질(HS code 2841.90)인 리튬망간산화물이 유럽으로 수입될때, 유럽의 제 3국 대상 수입 관세율은 5.5%이며, 한국은 FTA 적용으로 무관세이다. 다만, 폴란드 기본 부가가치세는 23%는 적용된다.

 

이 품목은 특정 화학제품으로, 유럽연합(EU)에 수출할 때는 인체건강과 환경보호를 위해 EU 법률에서 아래와 같은 조항이 적용된다.

 

- 화학 물질의 등록, 평가, 승인 및 제한(REACH)에 대한 일반 절차

- 물질 및 혼합물의 분류, 표시 및 포장(CLP)에 대한 특정 조항

 

상기 법률 조항에 의거하여, 연간 1톤 이상의 화학 물질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는 회사는 ECHA에 등록을 해야한다.

 

시사점

 

폴란드에는 유럽 최대 규모의 리튬이온배터리 생산공장을 보유한 LG에너지솔루션을 비롯하여 많은 협력사들이 진출해있다. 폴란드에는 생산 공장이 있는 만큼 양극재와 양극활물질 등 배터리 핵심 소재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다. 2023년 한국에서의 수입은 전체 수입의 61.5%를 차지했으며, 리튬이온배터리 생산이 지속되는 동안 폴란드 내에서의 수요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폴란드에서는 리튬화합물 양극활물질 생산 투자가 진행되어 2022년 하반기부터 생산되고 있다. 폴란드에서 생산되는 양극활물질은 EU 역내 및 폴란드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공급망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리튬화합물 시장은 전기차 배터리의 주요 소재로, 전기차로의 전환 과정에서 공급망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trade.ec.europa.eu, trace.gov.pl, PAIH, battery-news.de, PSPA, Umicore홈페이지, KOTRA 바르샤바무역관 자체조사 및 보유 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폴란드 리튬화합물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