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글로벌 트렌드에 발맞춘 호주, 로봇 산업이 뜬다
  • 트렌드
  • 호주
  • 멜버른무역관 유영환
  • 2024-06-03
  • 출처 : KOTRA

글로벌 인더스트리 4.0에 맞춰 로봇공학·스마트제조 사용 확대

호주 정부는 국가 로봇 공학 발전 추진 전략

기업의 로봇 산업에 대한 투자도 증가 추세

각국의 주요 로봇 제조사는 산업용 로봇에 대한 세계적 수요 증가에 발맞춰 관련 공장을 확장하고 있다. 동시에 첨단 기술과 현대적 기능을 갖춘 로봇을 개발하는 추세다. 호주 정부도 국가 로봇 공학 발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호주 산업과 제조업을 활성화하고 국가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30년까지 국내총생산(GDP)에 최대 6000억 호주 달러(원화 543조 원)의 부가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2023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409만 대의 서비스 로봇이 판매된 것으로 추정되며, 향후 몇 년 동안 전 세계 로봇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 로봇 시장의 투자 확대 가능성을 기회로 삼아 국내 기업을 포함해 각국의 로봇 제조사들은 호주 내 협력 파트너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상품명 HS Code

 

관세청에 따르면, 산업용 로봇(Industrial robots)에 해당하는 HS Code는 842870(산업용 로봇)과 847950(산업용 로봇(따로 분류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으로 각각 나뉜다.

 

로봇의 미래: 세계 산업을 변화시키는 혁신적 로봇공학

 

시장조사전문업체 그랜드뷰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전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은 2022년 기준 265억2000만 달러 규모이며, 2023년부터 2030년까지 10.5%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보이며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글로벌 인더스트리 4.0*의 성장 추세는 산업 전반에 로봇공학·스마트제조의 사용을 촉진하고 있다. 로봇 제조업체들은 산업용 로봇에 대한 수요 증가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산라인을 확장하고 있으며, 첨단 기술과 현대적인 기능을 갖춘 로봇을 개발 중이다. 지난 2022년 12월, 세계적인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인 독일의 쿠카(KUKA AG)가 테슬라(Tesla)의 전기자동차 대량 생산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용 로봇팔을 테슬라(Tesla)에 납품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다른 주요 제조업체도 이런 로봇공학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산업용 로봇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주: 2011년 독일 정부는 ‘제4차 산업혁명’의 또 다른 의미로 ‘자동화’ 개념을 포함하여 ‘인더스트리 4.0’ 이라 정의함

 

한편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산업용 기계에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술이 탑재됨에 따라 산업용 로봇 분야는 향후 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한, 5G 기술의 도입은 제조 부문에서 로봇 공학의 사용을 더욱 장려할 것으로 예상된다. 5G 네트워크의 낮은 지연 시간은 시스템 간의 즉각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효율적인 조정과 연결을 지원한다. 그랜드뷰리서치는 노키아(Nokia)의 산업용 5G 무선 네트워크 출시는 로봇 공학 기술 채택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최근 인플레이션에 따른 세계적인 인건비 및 보험료 상승은 산업 전반에 있어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자원 할당을 위한 산업용 로봇 도입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과 호주를 비롯한 선진국들에서는 인건비가 수년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고, 산업용 로봇 도입은 인건비 절감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생산량 증가 및 불량률 감소 등의 효과도 함께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관련 제조업체들은 자동화된 로봇 시스템을 통합 운영하여 효율성과 이익률을 높이고 있다.


특히 2022년 기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산업용 로봇 시장을 지배했으며, 전체 시장의 65%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이 지역은 향후에도 지배적인 시장 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동 지역은 제조 공정에 산업용 로봇을 사용하는 많은 산업과 공장의 본거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보고서에서는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의 산업용 로봇 시장이 연평균 2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 정부는 적극적으로 로봇 산업을 육성하는 정책을 펼침으로써 지역 성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두바이 왕실은 2022년 9월부터 두바이 로봇 공학 및 자동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에 따르면 약 20만 대의 신규 로봇이 산업 및 물류 분야에 공급되어 두바이의 생산 능력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용 로봇 시장: 세계에서 가장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자료: Grand View Research]

 

스타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전 세계 로봇 시장은 2024년까지 428억2000만 달러 규모에 달하며 상당한 매출 규모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시장 내 여러 부문 중 서비스 로봇공학 분야가 335억5000만 달러의 시장 규모로 동 시장 내 지배적인 매출 규모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동 부문의 시장 성장률은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11.25%의 꾸준한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2028년에는 로봇 시장 규모가 655억9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로봇공학에 대한 정부와 기업들의 투자는 증가일로에 있다.

 

<전 세계 로봇 시장 매출 현황 및 전망>

(단위: US$ 십억, 년도)

[자료: Statista]

 

2023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409만 대의 서비스 로봇이 판매돼 2022년 대비 20만 대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전 세계 산업용 로봇 판매도 약 43만 대로 조사됐다. 이에 스타티스타는 향후 몇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로봇 대수의 규모는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마찬가지로 서비스 로봇의 규모가 산업용 로봇보다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 세계 로봇 설치 대수 현황 및 전망>

(단위: US$ 백만, 년도)

[자료: Statista]

 

호주 정부, 미래산업 전략으로 로봇 집중 육성

 

호주 정부는 로봇 공학 및 자동화 기술의 책임 있는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국가 로봇 공학 전략을 개발하고 있으며, 산업 전반의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다양한 국가적 과제를 해결하고 제조업을 활성화하려 노력 중이다. 지난 2021년 호주 로봇 기업의 연간 매출은 2018년 120억 호주 달러(원화 10조8600억 원)에서 60억 호주 달러(원화 5조4300억 원) 증가한 180억 호주 달러(원화 16조2900억원)로 추산된다. 국가로봇전략자문위원회(National Robotics Strategy Advisory Committee)에 따르면, 로봇 산업은 2030년까지 호주의 국내총생산(GDP)에 최소 1700억 호주 달러(원화 153조8100억 원)에서 최대 6000억 호주 달러(542조8600억 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로봇전략 토론 보고서>

[자료: 호주 정부]

 

호주 정부 산하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에 따르면, 로봇 공학 기술은 제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3D 산업(더럽고(dirty), 어렵고(difficult), 위험한(dangerous)) 작업을 수행하도록 도와주고, 동시에 작업장의 안전을 강화하고 사람들이 더 중요하고 필요한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호주의 광업과 농업 분야에서는 로봇을 활용하여 위험한 갱도를 탐색하거나, 재배된 포도가 와인 제조에 적합한지 평가하는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감지 기술을 갖춘 자율 로봇이 복잡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고, 위험도가 높은 상황에서 인간이 처할 수 있는 작업을 대신해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호주의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는 세계적 수준의 로봇 공학 기술을 개발 중이다. 이 기술은 생물 다양성과 보안을 유지하고, 환경 연구와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문화유산 유적지와 구조물을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로봇 기술은 향후 호주의 과학, 사회 및 경제적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

 

<CSIRO의 로봇 연구 분야>

주변 환경 감지

(Sensing the surroundings)

환경 탐색

(Navigating the environment)

몰입형 경험

(Immersive experiences)

인간을 돕는 일

(Helping humans)

[자료: CSIRO]

 

<CSIRO의 Data 61’s quadruped robots>

[자료: CSIRO]

 

KOTRA 멜버른무역관은 2024년 5월 CSIRO 선임 연구원 마르크 엘무티(Marc Elmouttie) 박사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마르크 박사는 호주에서 3D SLAM 매핑* 소프트웨어와 로봇의 결합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음을 밝혔으며, 특히 CSIRO가 개발한 ‘다중 해상도 스캐닝’ 기술에 대해 언급했다. 이 기술은 미국 NASA의 주목을 받아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서 NASA 로봇에 장착되어 원격 제어로 우주 공간을 이동하며, 주로 ISS 내 장비 관리에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주: 동시 현지화 기술로, 이 기술은 GPS정보 없이도 지도를 만들고 생성할 수 있게 함

 

<CSIRO의 다중 해상도 스캐닝>

[자료: CSIRO]

 

호주 주요 로봇 기업

 

2011년에 설립되어 영국에 본사를 둔 F6S는 글로벌 기업의 지속가능성 및 기술 혁신 문제 해결 및 성장을 돕고 있으며, 동시에 각국의 정부, 기업 등 수백만 명의 회원을 보유한 선도적인 글로벌 네트워크 회사로 알려져 있다. F6S사가 2024년 3월 호주의 주요 로봇 스타트업 기업으로 선정한 회사들은 아래와 같다.

 

1) Firetail Robotics

 

2014년, 헬리콥터 조종사였던 잭 헐리(Jack Hurley)는 동료들과 함께 홍수나 태풍과 같은 재난 발생 후 신속하게 사진과 데이터를 캡처할 수 있는 무인 항공 로봇(UAR)을 만들기 위해 Firetail Robotics사를 설립했다. 동 사는 비상사태 발생시 직면한 문제를 로봇을 활용해 해결책을 찾는 호주 정부의 Pacific Humanitarian Challenge 연구 프로젝트에 2016년에 선정되어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한 재정적, 기술적 지원을 받았다. 현재 Firetail의 무인 항공 로봇은 실시간 지리 참조 이미지와 지도의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 조종 장치 및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기업 본연의 이익 추구 활동 외에도 태평양 도서 국가들의 피해 복구와 인도주의적 지원을 위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탄나(Tanna) 섬의 야수르(Yasur) 화산에서의 무인 항공 로봇 활용>

[자료: 호주 정부]

 

2) LYRO Robotics

 

2019년 설립되어 브리즈번에 본사를 둔 LYRO Robotics사는 호주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능형 포장 로봇을 제조하고 있다. 이 로봇 시스템은 광범위한 재고, 예를 들어 만 개 이상의 품목을 시각적으로 식별하고 위치를 파악하며, 선택 및 포장하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상자 등의 다양한 모양, 표면(스펀지, 플라스틱 유리, 그물망), 예측할 수 없는 제품 변형(과일 또는 채소), 와인 잔 및 반사 물체 등 다양한 대상 품목을 포장하면서 인간의 업무를 대신하여 수행하고 있다.

 

<작동 중인 LYRO 로봇>

[자료: Cosmos Magazine]

 

3) The NeuroTech Institute Pty Ltd

 

2018년 설립되어 호주 애들레이드에 본사를 둔 NeuroTech Institute(TNI)는 신경과학 등 최신 기술에 중점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창립자인 피오나 커(Fiona Kerr) 박사는 인지 신경과학, 복합 시스템 공학, 인류학, 심리학 등 관련 분야에서 최소 30년에서 최대 4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녀는 이러한 특별한 경력을 활용해 로봇과 인간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동 사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들이 로봇이나 간병인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간의 인지활동을 이해하려고 한다. 또한, 인간의 신경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현재 이 회사는 미국 국방부와 협력하여, 미군이 인공지능이나 자율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며 로봇과 연결되는 방법을 연구하는 국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 주: 사람의 뇌 구조, 호르몬, 인체 기관 또는 조직의 mRNA(메신저 리보핵산, DNA의 유전정보를 세포질 안의 리보솜에 전달하는 RNA) 등

 

<NeuroTech Institute’s 창립자, Fiona Kerr 박사>

[자료: NeuroTech Institute]

 

4) Emesent

 

2018년에 설립된 브리즈번 소재의 에메센트(Emesent)는 드론 자율성, LiDAR 매핑*,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업이다. 이 기업은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와 협력하며 광업, 인프라, 측량 및 매핑 산업에 고품질 데이터 캡처 기술을 제공한다. 에메센트의 주력 제품인 '호버맵(Hovermap)'은 충돌 회피와 자율 비행 기술을 결합하여 GPS가 작동하지 않는 환경에서도 매핑이 가능한 스마트 모바일 스캐닝 장치이다. 호버맵은 배낭, 드론, 차량 등에 장착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을 매핑할 수 있어, 이 기술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은 그 편리함을 누리고 있다.


최근 에메센트의 CTO이자 공동 창립자인 파리드 켄둘(Farid Kendoul) 박사는 보스톤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의 로봇 '스팟(Spot)'에 호버맵을 장착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협력을 통해 켄둘 박사는 광산 채굴 환경에서 운영 중단 시간을 최소화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자율 로봇의 역할을 연구하고 있다.

* 주: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한 좌표 체계에서 다른 좌표 체계로 변환하는 일 또는 시스템에서 모델의 표면에 주위 정보를 표현하는 일을 뜻함

 

<광산 채굴에서 자율 로봇의 역할>

[자료: World Mining Congress]

 

수입동향

 

산업용 로봇(Industrial robots)에 해당하는 HS Code 842870과 847950을 기준으로 호주의 산업용 로봇 시장 수입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HS Code 842870에 따르면 영국이 호주의 주요 로봇 수입국으로, 2023년 기준 약 610만 달러의 수입액을 기록했다. 이 시장의 전체 수입 규모는 약 124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7.55% 감소했다. 또한, HS Code 847950에 따른 기타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3000만 달러로, 이 중 중국이 약 1000만 달러의 수입액으로 호주의 주요 수입국 중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2~2023 호주 산업용 로봇(HS Code 842870) 수입 현황>

(단위: US$, %)

순위

국가

2022

2023

증감률

 

전 세계

15,041,142

12,400,925

-17.55

1

영국

421,172

6,097,338

1347.71

2

중국

7,734,893

2,602,779

-66.35

3

독일

1,440,001

1,728,430

20.03

4

미국

347,592

696,826

100.47

5

일본

170,614

334,452

96.03

6

캐나다

253,527

327,130

29.03

7

터키

217,974

240,389

10.28

8

오스트리아

6,551

155,963

2280.75

9

대만

77,904

79,841

2.49

10

덴마크

57,019

  - 

16

한국

15,699

 -

 -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5.30.]

 

<2021~2023 호주 산업용 로봇(HS Code 847950)* 수입 현황>

(단위: US$, %)

순위

국가

2021

2022

2023

증감률
(2022년대비)

 

전 세계

33,447,054

28,827,740

30,351,161

5.28

1

중국

8,482,080

6,162,980

10,073,363

63.45

2

일본

4,379,769

3,180,146

3,626,819

14.05

3

미국

2,768,183

3,421,155

3,385,699

-1.04

4

독일

3,494,551

3,424,008

3,090,886

-9.73

5

말레이시아

145,357

1,039,346

2,559,348

146.25

6

덴마크

2,020,286

2,131,471

1,389,237

-34.82

7

캐나다

2,973,207

1,423,780

980,530

-31.13

8

스웨덴

1,048,145

2,021,157

841,770

-58.35

9

대만

374,020

779,201

831,814

6.75

10

라트비아

 -

 -

528,366

 -

14

한국

460,953

434,152

346,562

-20.18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5.30.]

 * 주: 따로 분류되지 않은 것, 서비스 로봇 등도 포함된 전체 산업용 로봇


시사점 및 전망

 

글로벌 로봇 시장의 성장과 함께 호주의 산업용 로봇 시장도 확장되고 있다. 특히, 제4차 산업혁명을 중심으로 로봇공학과 스마트제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로봇 제조사들은 산업용 로봇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장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동시에 첨단 기술과 현대적인 기능을 갖춘 로봇을 개발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호주는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발맞춰 로봇공학 및 자동화 기술의 책임 있는 생산을 촉진하기 위한 국가 로봇공학 전략을 개발 중이다. 호주 정부는 동 전략을 통해 국가적 과제를 해결하고, 제조업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호주 정부와 기업들의 로봇공학에 대한 투자 증가는 한국 기업들이 호주 시장에서 자사의 로봇 기술과 제품을 선보일 기회를 의미한다. 특히, 호주의 광업 및 농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로봇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점은 한국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한국 기업들은 호주의 로봇 시장 동향과 정부 전략을 면밀히 분석해 호주 내 로봇 기술 개발과 적용에 있어 협력 파트너가 될 기회를 모색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해야 할 것이다.

 

자료: 호주 정부, CSIRO, Statista, GVR(Grand View Research), ARAA(Australian Robotics and Automation Association), Cosmos Magazine, World Mining Congress 2023, Global Trade Atlas, KIPOST(www.kipost.net), KOTRA 멜버른무역관 인터뷰 및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글로벌 트렌드에 발맞춘 호주, 로봇 산업이 뜬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