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자연스러움이 대세’, 헝가리 색조 화장품 시장 최신 동향은?
  • 트렌드
  • 헝가리
  • 부다페스트무역관 신가영
  • 2024-05-20
  • 출처 : KOTRA

헝가리 화장품 수입 시장 18% 성장

K뷰티 인기에 힘입어 한국 화장품 수입도 10% 증가

헝가리 화장품 시장의 최근 트렌드: 자연스러운 화장, 유기농 및 비건

헝가리 색조 화장품 시장동향


헝가리 화장품 시장은 점진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헝가리 화장품 시장의 매출액은 2024년 1억492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침체됐던 색조 화장품 시장이 회복하며 2023년에는 매출액이 1억4434만 달러 수준으로 증가해 전년 대비 16.6%의 성장률을 보였다.


<2021~2024년 헝가리 색조 화장품 매출액 현황 및 전망>

(단위: US$ 백만)

구분

2021

2022

2023

2024

입술 화장품

16.65

21.24

28.41

29.35

눈 화장품

36.68

36.17

40.46

41.88

피부 화장품

32.47

36.86

43.08

44.70

[자료: Statista]


색조 화장품의 비중이 높은 입술 및 눈 화장품 시장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입술 화장품 매출액은 약 2841만 달러로 전년 대비 33% 넘게 성장했으며, 피부화장품의 매출액은 약 4308만 달러로 16%가 넘게 성장했다. 눈 화장품 역시 약 12% 성장했다. 화장품 시장은 전반적으로 10% 넘는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색조 화장품이 중심이 되는 입술 화장품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헝가리에서는 화장품을 주로 dm, Rossmann 등의 드럭스토어에서 구매하는데, 각 매장마다 많은 종류의 색조 화장품을 판매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격은 브랜드 및 제품별로 상이하며, 입술, 눈 및 피부 등 전체 라인의 색조화장품을 각 브랜드별로 모아서 판매하고 있다.


<헝가리 드럭스토어(DM)에 진열된 색조 화장품 종류 및 가격 현황>

[자료: 부다페스트 무역관 촬영]

 

2024 헝가리 색조 화장품 시장 키워드: 자연스러운 메이크업


현지 언론보도에 따르면, 헝가리에는 최근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는 화장이 트렌드가 되고 있다. 헝가리 여성은 과거 러시아식 화장인 클래식하며 두꺼운 화장법을 선호했는데, 최근에는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는 화장법이 유행하고 있다. 이는 틱톡 등과 같은 SNS에서 ‘클린걸 룩’이 유행하며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최근 헝가리에서는 파운데이션과 마스카라를 최소한으로 하고, 베이지 및 누드 컬러의 립을 바르는 화장법이 유행하고 있다. 또한, 긴 속눈썹을 붙이는 것보다 자연스러운 눈화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헝가리 화장품 유통 드럭스토어인 로스만(Rossmann)의 관계자는 누드와 베이지가 올해의 컬러이며, 피부의 결점을 과감하게 드러내는 것이 트렌드가 됐다고 말했다.


미용, 화장품, 네일 등의 업체들이 모여 있는 헝가리의 전문가들을 위한 화장품 포털인 뷰티 포럼(Beauty Forum)의 매니저인 크리스티나 리살은 KOTRA와의 인터뷰에서 헝가리의 뷰티 트렌드는 2024년 세계적인 뷰티 트렌드와 유사하며, "자연스럽고 밝은 색조 화장”이라고 밝혔다. 크리스티나 리살에 따르면, 헝가리 소비자들은 화려한 색조 화장보다, 자연스러운 색조 화장을 선호하며, 오래 지속되며 실키한 질감을 지닌 피부 화장품이 인기가 있다. 또한, 눈썹 화장에 있어서 진한 화장이 유행했던 과거와 달리 짙은 갈색 혹은 연한 갈색 등 갈색 계열의 화장품이 유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4 헝가리 화장품 시장 트렌드: 천연, 유기농 및 비건 제품 선호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유기농 및 비건 제품에 대한 선호도 증가하고 있다. 헝가리 소비자들은 유해한 첨가물과 합성 성분을 피하고자 하며, 제품의 성분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관심으로 인해, 천연, 유기농, 비건 제품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관련 제품을 출시하는 기업도 많아졌다.


헝가리에서 가장 큰 한국 화장품 유통업체인 더 박스 뷰티(The Box and Beauty)의 대표이사인 아그네스 하사네 손디는 KOTRA 부다페스트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제품 중에서 특히 비건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비건 아이라이너와 쌀을 이용한 쿠션 및 비비 크림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했다. 다만 그녀는 한국산 비건 제품이 인기를 끄는 이유로 비건 제품의 유행 보다는 한국산 제품의 유럽 및 미국산 제품과의 품질 차이에서 기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품질이 우수한 색조 화장품이 헝가리 색조 화장품 시장에 과잉 공급돼 있기 때문에, 한국 화장품 중에서는 비건 화장품 같은 독특한 화장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


수입시장 동향: 시장 전체가 성장하는 가운데, 한국 화장품도 수입 증가 추세


헝가리의 화장품 수입 시장은 크게 성장하고 있다. 헝가리 화장품 수입액은 2023년 3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2022년에는 11.5%, 2023년에는 18% 성장했다. 화장품에 해당하는 HS코드 3304의 수입액을 살펴보면, 헝가리가 주로 제품을 수입하는 국가는 독일, 체코, 중국, 폴란드, 크로아티아다. 순위는 계속 변동됐지만 5개 국가가 최근 3개년 동안 상위 1~5위 국이었다. 또한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2022년 전년 대비 100% 넘게 증가하며 2800만 달러를 넘겼고, 1위와 2위인 독일과 체코로부터의 수입도 2년 연속 10% 넘는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2023년 기준 약 266만 달러이며, 전년 대비 약 10% 증가했다. 2022년에는 전년 대비 19% 가까이 증가하기도 했다.


<주요 수입국별 화장품(HS코드 3404) 연간 수입액 변화>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1

2022

2023

증감률

전 세계

231,547

258,228

304,678

18.0

1

독일

66,408

74,979

89,319

19.1

2

체코

29,451

33,643

38,773

15.3

3

중국

13,927

28,088

29,664

5.6

4

폴란드

38,098

30,709

28,928

-5.8

5

크로아티아

14,484

15,696

22,286

42.0

6

네덜란드

10,191

9,816

15,078

53.6

7

오스트리아

8,779

8,900

12,336

38.6

8

프랑스

7,390

12,322

12,257

-0.5

9

슬로바키아

8,132

7,669

11,350

48.0

10

슬로베니아

6,700

7,187

7,456

3.8

15

대한민국

2,035

2,420

2,660

9.9

[자료: Global Trade Atlas]


아이메이크업 제품에서는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났다. 눈 화장품에 해당하는 HS 코드 3400.20의 수입액을 살펴보면, 2023년 전체 수입액은 2.62% 증가했으나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약 18% 증가했다. 2023년 눈 화장품의 연간 수입액은 약 3164만 달러였으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약 14만 달러로 수입국 중 상위 11위였다.


<주요 수입국별 아미메이크업 제품(HS코드 3400.20)  >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1

2022

2023

증감률

전 세계

30,286

30,830

31,638

2.6

1

독일

12,058

13,351

12,411

-7.0

2

중국

4,285

4,574

5,352

17.0

3

체코

3,281

3,283

4,012

22.2

4

크로아티아

2,343

2,887

3,842

33.1

5

폴란드

4,948

4,081

3,621

-11.3

6

오스트리아

585

402

637

58.4

7

슬로베니아

993

882

501

-43.2

8

프랑스

304

380

313

-17.6

9

네덜라드

401

285

275

-3.8

10

이탈리아

226

309

248

-19.7

11

대한민국

76

116

138

18.2

[자료: Global Trade Atlas]


전망 및 시사점


헝가리 색조 화장품 시장은 성장하고 있으며, K팝 등의 영향으로 헝가리에서의 한국 화장품 수입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기업들이 경험 있는 현지 파트너와 협력해 현지 진출 방안을 모색한다면 수출 성공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Statista, Trademagazin.hu, dm, Global Trade Atlas 등 KOTRA 부다페스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자연스러움이 대세’, 헝가리 색조 화장품 시장 최신 동향은?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