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의류 및 의류 부속품 시장 동향
  • 상품DB
  • 일본
  • 도쿄무역관 요시다요시코
  • 2023-11-03
  • 출처 : KOTRA

성장하는 일본 의류 EC 시장, 2015년 대비 2배 이상 성장

상품명 및 관세율 


 - 6217: 그 밖의 제품으로 된 의류부속품, 의류ㆍ의류부속품의 부분품(제6212호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

 - 6217.10: 부속품
 - 6217.90: 부분품

  * (참고) 6212:  브래지어ㆍ거들ㆍ코르셋(corset)ㆍ브레이스(braces)ㆍ서스펜더(suspender)ㆍ가터(garter)와 이와 유사한 제품, 이들의 부분품(메리야스 편물이나 뜨개질 편물로 만든 것인지에 상관없다)


HS Code

품목명

기본 관세
(WTO 협정관세)

6217.10

그 밖의 제품으로 된 의류부속품
(제6212호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

9%
(9%)

[자료: 일본 관세율표 (2023년 4월1일 기준)]


의류부속품만 별도로 다룬 시장 통계 및 자료는 찾기 어려운 바, 본 고에서는 의류부속품을 포함한 일본 의류업계 전반을 다루고자 한다. 


시장동향 - ①시장 규모


경제산업성
에 따르면, 의류품(섬유, 의류, 의류잡화 등)의 일본 시장 규모는 1990년에 약 15조 엔으로 정점을 기록하였으나,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2000년 이후 시장 규모는 대체적으로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2020년은 코로나19 확대로 인해 전년 대비 약 21.8% 하락한 바 있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외출 규제 등으로 백화점·쇼핑몰에서 대면 판매가 어려워진 여파로 보인다.

이커머스 컨설팅업체 COREKARA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시장 침체는 일본인의 가처분 소득 감소, 패스트 패션의 고품질화, 재고 과잉으로 인한 상품 가격 하락 등으로부터 기인한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경제산업성 가계조사에 따르면, 의류에 대한 1세대 당 연간 지출금액도 2014년 5만2,005엔에서 2021년 3만5,735엔으로 약 32% 감소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일본 인구 감소에 따라 의류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기는 어렵다는 전망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의류품 등의 국내 시장 규모 추이>

external_image

        [자료: 경제산업성 「2030년을 향한 섬유산업의 전망」 (2022년)]


시장동향 - ② 의류 EC시장의 확대


한편, 일본 의류시장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융합이 가속화 되고 있다. 패스트 패션의 대표주자인 유니클로도 일본 국내 2022년 이커머스(EC) 매출액이 1,309억 엔으로 EC 매출액 비중이 16.2%를 기록하였다. 코로나19를 계기로 2019년 9.5%, 2020년 13.3%, 2021년 15.1%로 EC판매가 가속화되고 있다.  

경제산업성 「전자상거래에 관한 시장조사」에 따르면, 2021년 의류 EC 시장규모는 2조4,279억 엔으로 EC 비중(전체 의류 시장규모 대비 EC 비율)은 21.1%를 기록했다. EC 비중은 2015년의 9.04% 대비 2배 이상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디지털화의 진전으로 EC 쇼핑몰 및 의류 대기업들이 EC 판매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는 점도 일본 의류 EC 시장에 대한 전망을 밝게 한다.  


<일본 의류 시장규모 및 EC 비중의 추이>


[자료: 경제산업성 「전자상거래에 관한 시장조사」]

수입 동향


일본의 HS코드 621710의 2023년 8월까지의 누계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8% 증가한 38억5,000만 엔이며,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최대 수입국은 중국 31억2,000만 엔(전년 동기 대비 +25.6%)으로 전체 수입금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위 베트남 2억8,600만 엔(전년 동기 대비 +32.9%), 3위 이탈리아 1억3,200만 엔(전년 동기 대비 +20.0%)이 뒤를 잇고 있다. 같은 기간 對한국 수입액은 1,200만 엔으로 12위에 위치해 있으며, 전년 동기 대비 30.7% 감소하였다.  

<일본의 HS 621710 2021~2023년 국가별 수입액>

(단위: 백만 엔, %)

순위

국가명

2021

2022년(12월)

2023년(8월)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총계

3,997.0

-4.0

5,053.0

26.4

3,850.0

25.8

1

중국

3,235

-0.9

4,025

24.4

3,120

25.6

2

베트남

256

-35.5

352

37.4

286

32.9

3

이탈리아

193

-1.2

189

-1.6

132

20.0

4

미얀마

14

-4.0

92

554.1

81

484.3

5

태국

45

-2.5

52

15.2

49

54.7

6

프랑스

36

40.6

32

-12.8

30

35.7

7

인도(인디아)

27

4.7

62

130.4

25

-38.7

8

파키스탄

15

16.8

30

99.7

21

9.3

9

미국

45

31.0

28

-38.7

19

6.6

10

대만

21

-34.6

38

77.7

17

-19.3

11

방글라데시

35

88.3

36

2.9

17

-29.2

12

한국

19

-38.7

34

75.4

12

-30.7

[자료: 재무성]


일본섬유수입조합에 의하면, 일본 국내 의류시장에서 국산품이 차지하는 비중(수량 기준)은 1990년 50.1%였으나, 생산거점이 해외로 옮기게 되며 국산품 비중은 급감한 상황이다. 2021년 기준 98.2%가 수입 물량이다. 또한 섬유공장사업소 및 생산 현장 종업원이 계속 감소 추세에 있다. 


<일본 의류시장에서의 의류수입 침투율>

     [자료: 경제산업성 「섬유 제품의 자원 순환 시스템을 둘러싼 현상과 과제」 (2023년)]


경쟁 동향 


미쓰이스미토모은행에서 발표한 「글로벌 경제와 주요 산업 동향」에 따르면, 2022년 일본 의류 업계 매출 상위 10개사는 코로나19로 낮아졌던 수요를 회복하여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① 엔화 약세에 따른 매입가격 상승 ②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에 따른 에너지 가격, 운송비 등 상승으로 어려움이 있었으나, 코로나 시기 불황형 매장 폐쇄로 인한 고정비 절감, 할인 판매 억제 등을 통해 영업이익도 증가한 기업이 많았다.


<일본 의류 업계 매출 상위 10개사>

순위

기업명

결산 (년/월)

매출액 (억 엔)

전기 대비 증감율 (%)

1

패스트리테일링

22/ 8

23,011

+7.9

2

시마무라

23/ 2

6,161

+5.4

3

양품계획

22/ 8

4,962

+9.4

4

에이비씨마트

23/ 2

2,901

+18.9

5

아다스토리아

23/ 2

2,426

+20.3

6

월드

23/ 3

2,120

+23.7

7

와코루 HD

23/ 3

1,900

+9.9

8

아오야마 상사

23/ 3

1,883

+13.5

9

온워드 HD

23/ 2

1,761

+4.5

10

펄 그룹 HD

23/ 2

1,645

+22.6

 [자료: 미쓰이스미토모은행 「글로벌 경제와 주요 산업 동향」(2023년 상반기)]


수입규제 관련 인증: 특별한 수입 규제와 필수적으로 취득해야 하는 인증은 없음


관련 단체 및 전시회 


  ㅇ (단체) ① 일반사단법인 일본어패럴·패션산업협회: https://www.jafic.org/

              ② 일반사단법인 일본패션협회: https://www.jafic.org/

   (전시회) 패션월드 도쿄(FaW TOKYO): https://www.fashion-tokyo.jp/hub/ja-jp/to-exhibit/semi.html?rf=prtimes2211152


시사점

야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일본은 장기적으로는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로 2025년 이후 의류 시장 규모가 완만하게 감소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엔저로 지속으로 인한 매입가격, 일본 내 임금상승률 상승으로 인한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의류 업계의 수익 환경은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일본 유니클로에서는 2022년부터 꾸준히 제품들에 대한 판매가격을 높여 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점뿐 아니라, 우리 기업들은 일본 내에서 점차 확대 중이 의류 EC 시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화의 진전으로 2015년 대비 2배 이상 성장한 일본 의류 EC 시장은 앞으로도 성장세가 주목된다.


자료: 경제산업성, 
일반사단법인 일본어패럴·패션산업협회, 일반사단법인 일본패션협회, 미쓰이스미토모은행, 재무성, KOTRA 도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의류 및 의류 부속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