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서비스 로봇 시장 발전 현황 및 향후 전망
  • 트렌드
  • 중국
  • 난징무역관
  • 2023-10-23
  • 출처 : KOTRA

물류업, 교육업, 의료서비스업 분야의 잠재 수요 높아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기술과 결합해 스마트화 발전 추세

중국의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의료, 헬스, 교육 등 관련 분야에서의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서비스 로봇 시장이 커지고 있다. 첸잔산업연구원(前瞻産業究院)은 중국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가 20237518000 위안에서 2027년에는 1872 위안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 추이() 및 전망()>

(단위: 억 위안, %)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産業究院)]

 

중국의 <로봇 분류> 표준(중국 국가 표준 GB/T 39405-2020)에 따르면 로봇을 응용 분야에 따라 산업용 로봇, 가정용 서비스 로봇, 공공서비스 로봇, 특수 로봇 및 기타 응용 로봇으로 구분한다. 이 중 공공서비스 로봇은 숙박, 요식, 금융, 청소, 물류, 교육, 문화, 오락 등 분야에서 사람들에게 일반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업용 로봇으로 예를 들어 요리 로봇, 안내 로봇, 공공 청소 로봇, 순찰 로봇 등이 이에 해당한다. 서비스 로봇의 스마트화, 개성화 수준이 빠르게 향상됨에 따라 응용 분야도 확장되고 있는데 박물관, 미술관, 전시장, 호텔, 식당, 오피스텔, 학교 등 공공장소에 안내, 배달, 청소 등 기능을 가진 공공서비스 로봇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가 그 예이다.

 

<중국 로봇 분류 기준>

[자료: <로봇 분류> 표준]

 

첸잔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19년 이후 중국 서비스 로봇과 관련 기업 수는 괄목할 만한 증가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시장 규모에 있어서는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64.7%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서비스 로봇 시장이 급성장 단계를 거치는 과정에서 일부 성숙한 기업은 제품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업그레이드를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중국 공공서비스 로봇 시장은 상업용 청소, 배송, 해설 및 안내 로봇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2025년까지 시장 규모가 총 11596000만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공공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 및 제조기업 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 개사)

[자료: 이오우즈쿠(億歐智庫)]

 

현재 중국 서비스 로봇 산업은 시장 집중도가 높고 기존 경쟁자가 많아 시장 경쟁이 치열하다. 서비스 로봇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현재 중국 시장에는 서비스 로봇 관련 기업들이 많이 생겨났는데 그 중에는 윈지커지(雲迹科技; Yunji), 파이바오(派寶; Padbot), 칭랑(擎朗; Keenon) 종합서비스 로봇 기업도 있다.

 

<분야별 서비스 로봇 선두 기업>

[자료: 이오우즈쿠(億歐智庫)]

 

파이바오(派寶)는 광저우잉보스마트과학기술유한공사(廣州映博智能科技有限公司)가 출시한 서비스 로봇 브랜드로 상업용 수요를 중심으로 일련의 로봇 제품을 출시했다. 주로 안내, 물류 배송, 보안 순찰, 청소 등 4개 분야 로봇 및 상업용 건물 무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회사 관계자는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중국의 많은 상업용 건물 관리회사가 구인난 및 인건비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대체 혹은 보완하는 역할로써 오피스빌딩, 호텔, 백화점 등 건물에서 상업용 서비스 로봇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존 사례들을 토대로 추정컨대 향후 상업용 건물의 무인화 서비스 시장규모는 2500억 위안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상업용 건물 무인화 서비스 로봇>

[자료: 파이바오 공식 홈페이지]

 

파이바오(派寶)는 주로 미니앱(MINI APP) 쇼핑몰과 함께 사용되며 건물 내 설치된 스마트 컨테이너와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는 무인 배송 로봇 W2를 출시했다. 파이바오 무인 배송 로봇 W2는 무궤도 자율 내비게이션(無軌自主導航), 스마트 사다리 제어(智能控梯), 층간 배송, 자율 충전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층간 배송 업무를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파이바오 W2는 전통적인 배송 로봇의 단일 기능 문제를 해결하고 물류 배송에 존재하는 정보 유출, 인건비 등의 어려움을 극복했으며 현재 호텔, 병원, 슈퍼마켓 등 다양한 장소에 응용되고 있다.

 

<파이바오 무인판매 사용 과정>

[자료: 파이바오 공식 홈페이지]

 

한편 2023923일부터 108일 기간 열린 항저우 아시안게임(2023.9.23~2023.10.8)에서도 서비스 로봇 안내, 물류배송, 보안순찰, 청소, 모기퇴치, 전기 공급시설 순찰, 자율주행 버스, 무인 아이스크림카 등 방면에 폭넓게 적용되어 참가자, 이용객들에게 관련 편의를 제공하는 역할을 했다. 또한 아시안게임 선수촌 스마트체험 구역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 '샤오러(曉樂)' 댄서 로봇견으로 구성된 '테크노 밴드' 라이브 연주를 하기도 했다. 또한 물류센터에는 무인 지게차 AGV, 재고 조사 드론, 위험방지 로봇, 무인 청소차 각종 스마트 물류 장비가 배치되기도 했다.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사용된 안내 로봇() 및 물류배송 로봇()>

[자료: 동팡차이푸왕(東方財富網)]

 

이번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개최도시인 항저우뿐 아니라 공동 주최 도시들은 경기장 순찰, 청결 관리를 위해 자율주행 청소로봇, 스마트 소독로봇 등을 투입해 작업 효율성을 높였다. 일례로 분회장 중 하나인 후저우시(湖州市)는 스마트 순찰 로봇 '하지미(哈基米)'를 투입해 아시안게임 기간 중 경찰관의 순찰을 따라다니며 목표물을 탐지하고 식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하지미 로봇견은 자율 항법 설정을 통해 24시간 독립 순찰이 가능하다. 또한 후저우시 올림픽 센터 경기장 주변에서 보안 관련 지식을 일반인에게 전파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아시안게임 개최기간 중 투입된 청소 로봇() 및 순찰 로봇견()>

[자료: 동팡차이푸왕(東方財富網), 써우후왕(搜狐網)]

 

TE연구원(TE究院) 2023 8 2379 서비스업 기업(호텔, 관광, , 물류, 금융서비스, 의료 등 업종) 담당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로봇 활용 여부를 조사했다. 22% 기업은 서비스 로봇에 대해 몰랐고, 78% 기업은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거나 알아본 적이 있었다.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거나 알아본 기업 37.4%가 계속 혹은 신규로 이용할 의향이 있었으며 이 중 시용 또는 준비 단계에 있는 기업이 28.8%, 정식으로 서비스 로봇을 투입한 곳은 8.6%로 나타났다.

 

<서비스 로봇 이용에 대한 중국기업의 의향 조사>

(단위: %)


[자료: TE연구원]

 

한편 서비스 로봇을 이용하거나 이용 계획 중인 기업 숙박 및 관광업, 금융 서비스업, 요식업 등 산업의 침투율이 2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주요 제조업체들은 서비스 로봇 응용 분야를 확장하기 위해 기술개발을 계속하고 있는데, TE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물류업, 교육업, 요식업, 의료서비스업 분야에서 향후 서비스 로봇 잠재 수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주요 업종별 서비스 로봇 이용 현황>

(단위: %)

[자료: TE연구원]

 

중국 정부 및 관련 부서는 서비스 로봇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최근 몇 년 동안 일련의 장려 정책을 발표했다. 2021 12월 중국 공업정보화부(工業和信息化部) 15개 부서가 공동으로 <14 5개년 계획(2021~2025)>(이하 <계획>)을 발표했는데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까지 중국 로봇산업의 연평균 성장 속도가 20%를 넘어서고, 2035년까지 로봇이 국민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라 전망했다. 중국 각 성시(省市)에서도 중앙정부의 <계획>을 중심으로 서비스 로봇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관련 계획을 잇달아 발표했다.

 

<중국 서비스 로봇 관련 정책 동향>

부서

발표일

정책명

정책 목표

중국 공업정보화부

2021.12.21

<14 5개년 로봇 산업 발전 계획>

<十四五機器人産業發展規劃>

2025년까지 중국이 세계 로봇기술 혁신, 고급 제조 및 통합 응용의 중심지가 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함.

선전시 공업정보화국

2022.6.6

<선전시 스마트 로봇 산업 클러스터 육성 및 발전 계획(2022-2025)>

<市培育發展智能機器人産業集群行動計劃(2022-2025年)>

2025년까지 선전시 스마트 로봇 산업의 부가가치가 160 위안(그중 론 산업의 부가가치는 100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베이징시 인민정부

2023.6.28

<베이징시 로봇 산업 혁신 발전 행동 계획(2023-2025)>

<北京市機器人産業創新發展行動方案(2023—2025年)>

2025년까지 첨단 고부가가치 로봇제품 100종 육성 및 베이징시의 로봇 산업 수입이 300억 위안 이상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 선전시 공업정보화국, 베이징시 인민정부, TE연구원]

 

시사점


코로나 엔데믹 이후 중국 내수 소비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면서 공공서비스 로봇 수요도 성장했다. 특히 관광업의 경우 2023 상반기 중국 전역 관광객이 전년 동기 대비 63.8% 증가한 23억 명을 기록했으며 외식업 등 소비 관련 업계도 2019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편 기술 혁신을 통해 서비스 로봇의 생산 비용은 낮아지는데 반해, 사회적 인건비는 상승을 계속하면서 인간의 노동력을 보완 또는 대체할 수 있는 로봇에 대한 산업계의 전반적인 수요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TE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서비스 로봇 생산량은 2022년 말까지 감소를 이어오다가 20234월 전년 동기 대비 47.6% 증가하며 연속 하락세를 마감했다. 20236월의 중국 서비스 로봇 생산량 역시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66만2,658대를 기록하며 상승 추세로 돌아섰다.

 

<중국 서비스 로봇 생산량 및 증가율>

(단위: , %)

[자료: TE연구원]

 

첸잔산업연구원(前瞻産業究院)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 서비스 로봇 산업이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기술과의 응용을 통해 빠르게 스마트화, 디지털화 발전을 이룰 것으로 예상했다. 즉 서비스 로봇 개발 및 제조 관련 기술혁신 성과가 축적됨에 따라 서비스 로봇 산업 역시 더욱 규모화, 체계화되고 특정 업무에서의 처리능력이 전문화되면서 제품 기능도 세분화될 것으로 보았다. 중국의 정책적 지원이 증가하고 서비스 로봇 산업 사슬이 완비됨에 따라 서비스 로봇 산업 시장에 진출하는 기업도 늘어날 전망이다. 관련 서비스 및 기술 업체들은 중국 서비스 로봇 수요 동향 및 중국 정부의 지원 정책을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자료: 동팡차이푸왕(東方財富網), 베이징시 인민정부, 선전시 공업정보화국, 이오우즈쿠(億歐智庫), 중국 공업정보화부, 첸잔산업연구원(前瞻産業究院), 써우후왕(搜狐網), TE연구원, KOTRA 난징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서비스 로봇 시장 발전 현황 및 향후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