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지역 수처리 프로젝트 동향
  • 투자진출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이정모
  • 2023-10-13
  • 출처 : KOTRA

예정된 수처리 프로젝트 규모 770억 달러 상회

주요 발주처는 사우디, UAE, 이집트 등

수처리 프로젝트에서도 탄소 감축에 관심 높아

최근 기온 상승, 인구 증가, 산업 용수 사용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수자원 부족 문제를 겪는 나라들이 많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 대규모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 등을 겪으며 물 부족 문제를 절감한 국가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중동 및 북아프리카(이후 MENA)에 같은 문제를 겪는 국가들이 많아 수자원 생산, 관리 시설 확충에 대한 수요가 높다. MENA 지역 프로젝트 전문지인 MEED Projects가 2023년 9월 21일에 진행한 MENA 지역 수처리 프로젝트 웨비나 내용을 기반으로 UAE를 비롯한 MENA 지역의 수처리 프로젝트 동향과 향후 기회를 살펴보고자 한다.

 

MENA 지역 내 수처리 프로젝트에 대한 높은 수요

 

세계자원연구소(World Resources Institute)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심각한 물 부족 문제를 겪는 25개국 중 16개국이 MENA 지역에 해당된다. UAE, 사우디를 비롯한 GCC 국가들도 물 부족 문제에서 예외가 아니며 리비아, 이라크 등 일부 국가에서는 여름에 물 공급 문제로 인한 시위가 벌어지기도 한다. 물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자 많은 정부에서 국가적 수자원 전략을 수립하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급 측면에서는 담수화, 폐수처리 시설 증설을 통한 물 생산 증대를 비롯해 공급과정에서 낭비되는 물을 보존하기 위해 디스트리뷰션 네트워크에도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 지하수 및 표면수 손실을 줄이고 재난, 전쟁과 같은 국가위기 상황을 대비한 물 저장 공간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공급 문제 외에 일반 국민, 거주민을 대상으로 물 절약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관련된 각종 홍보 및 캠페인을 지속하기도 한다.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물 부족 문제를 겪는 25개국>

주 : 한국은 60위로 Medium-High 수준에 속함.

[자료 : 세계자원연구소]

 

수자원과 관련된 국가 전략과 이니셔티브는 실제 관련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위한 투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MENA 지역 내에서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추진된 수자원 부문 프로젝트 규모는 총 1150억 달러 수준이며 2023년 1월부터 9월까지 추진된 프로젝트 규모만 140억 달러로 가장 많은 수자원 프로젝트가 추진될 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세부 분야별로 보면 급수(Transmission) 관련 프로젝트 비중이 가장 컸으며 담수화(Desalination), 수처리(Treatment), 저장(Storage), 쿨링(Cooling) 순으로 이어졌다. 


가장 많은 프로젝트를 발주한 국가는 사우디로 MENA 전체의 41%를 차지했으며 그 외 UAE, 카타르, 이집트 등이 주요 발주 국가였다. 주요 발주처로는 사우디의 SWCC(Saline Water Conversion Corporation), 카타르의 Public Works Authority(Ashghal), 사우디 SWPC(Saudi Water Partnership Company) 등이 있다. 두바이수전력청인 DEWA는 지난 11년간 총 26억 달러 규모의 수자원 프로젝트를 발주하며 MENA 지역 내 주요 발주처 11위를 기록했다. 역내 주요 수주처를 살펴보면 사우디의 Al-Rashid Trading & Contracting이 40억 달러 이상의 프로젝트를 수주한 가장 핵심적인 수요처였으며 그 다음은 UAE의 Metito, 중국의 SEPCO3가 뒤를 이었다. 아직 추진되지 않은 예정된 수처리 프로젝트는 총 770억을 상회하며 급수, 수처리, 담수화 분야 내 가장 많은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MENA 내 예정된 수처리 프로젝트 분야국가별 규모>

(단위 : US$ 백만)

텍스트, 도표, 디자인, 스크린샷이(가) 표시된 사진 자동 생성된 설명

[자료 : MEED Projects]

 

담수화 프로젝트 동향

 

담수화는 음용수의 공급과 수요 간 격차를 완화할 수 있으며, 제한된 지표수와 지하수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산업(공장) 확장 가속화를 가능하게 한다. 담수화 과정은 에너지 집약적인데 최근 세계적인 기조에 따라 이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저감하려는 노력 또한 이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GCC에서도 기존의 다단계 플래시(MSF; Multi-Stage Flash), 다단계 증류(MED; Multi-Effect Distillation) 방식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은 역삼투법(RO; Reverse Osmosis)을 적용하는 프로젝트가 늘어나고 있으며 담수화를 위한 에너지원으로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발생량을 줄이려는 시도도 지속되고 있다. 


담수화 프로젝트의 또 다른 트렌드는 민간화, 민관합작투자(PPP; Public Private Partnership) 방식이 더욱 늘어나면서 중요한 조달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는 것이다. 특히, 사우디에서 수자원 보존, 처리 등 관련 프로젝트에서 민간화 방식을 많이 채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조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선제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플랜트 건설 단계부터 모든 것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는 시도도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 그 외 폐수 무방류(ZLD; Zero Liquid Discharge)* 기술이 담수화 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주 : 폐수 무방류 시스템이란 폐수를 자체적으로 처리하여 시설 내에서 재사용하는 방식

 

계획 단계인 MENA 내 담수화 프로젝트는 200억 달러 규모에 달하며 그 중 사우디가 83억 달러로 4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요 발주처로 사우디의 SWPC, SWCC가 있으며 담수화를 비롯해 50여 개의 수처리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 세 번째 발주처는 이집트의 HCCW/Nuca이며 향후 10년간 100여 개의 프로젝트 추진을 계획하고 있다. 두바이의 DEWA는 담수화 용량을 2023년 기준 일일 223만 m3에서 2030년까지 340만 m3로 늘리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대표적인 담수화 프로젝트는 Hassyan 1 IWP(Independent Water Project)로 DEWA와 ACWA Power가 함께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한편, DEWA는 2030년까지 모든 담수화 과정의 에너지원을 청정에너지로 전환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아부다비의 수전력청 EWEC의 경우 2023년 기준 담수화 용량이 일일 480만 m3이며 현재 건설 혹은 입찰 중인 담수화 프로젝트 규모는 일일 132만 m3으로 Mirfa 2, Shuweihat 4 프로젝트 등이 포함된다. 한편, 올해 EWEC의 수자원 수요는 다소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는데, 그 이유는 UAE의 북부 토후국 중 하나인 움알콰인(Umm Al Quwain)의 NAQA'A 담수화 플랜트가 2022년 8월 완공됨에 따라 아부다비에서 해당 지역으로 공급하는 물의 양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29년 무렵에는 다시금 수요가 일일 366만 m3 수준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집트의 경우 원대한 목표를 가지고 있는데 담수화 용량을 2025년까지 일일 350만 cm3, 2050년까지 일일 885만 cm3 달성을 목표하고 있다. 재생에너지로 가동되는 최초 IWP의 첫 번째 입찰이 올해 중 진행될 예정이다. 요르단은 20억 달러 규모의 Aqaba-Amman 담수화 및 물 수송 플랜트(Water Conveyance and Desalination plant) 프로젝트의 주계약자 입찰 중에 있다. 모로코 또한 담수화 프로젝트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국가 수자원 계획을 통해 수자원 인프라 확충에 11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예산을 기획했다. 그 일환으로 카사블랑카에 IWP 프로젝트(ONEE - Casa-Settat: Casablanca Seawater Desalination Plant)를 추진 중이다.

 

<MENA 지역 내 주요 담수화 프로젝트>

(단위 : US$ 백만)

국가

프로젝트명

규모

현황

요르단

MWI - Aqaba-Amman Water Desalination and Conveyance (AAWDCP)

2,000

Main Contract Bid

사우디

ENOWA - NEOM City: Water Desalination Plant (IWP) : Phase I

400

FEED

모로코

ONEE – Casa-Settat: Casablanca Seawater Desalination Plant

500

Bid Evaluation

쿠웨이트

MEW - Doha SWRO Desalination Plant Phase 2

432

Bid Evaluation

UAE

EWEC - Saadiyat and Hudayriat Island 7 and 8 IWP (SWRO)

400

Main Contract Bid

주 : 2023년 10월 기준

[자료 MEED Projects]

 

폐수 처리 프로젝트 동향

 

폐수 처리는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MENA 지역의 일부 국가들은 중수하수 처리수(TSE; Treated Sewage Effluent)를 재사용해왔으나 그렇지 않은 나라들도 있다. 기존에 MENA에서 추진된 폐수 처리 프로젝트들은 규모가 작은 편이었으나 점차 달라지고 있다. 역내 예정된 수처리 프로젝트 규모는 총 213억 달러에 달한다. 국가별 프로젝트 규모를 보면 사우디가 74억 달러로 1위, UAE가 53억 달러로 2위, 이집트가 24억 달러로 3위이다. 


담수화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폐수 처리 프로젝트 시장에서도 사우디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사우디는 2030년에 인구가 5천만 명이 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폐수 발생량은 일일 1080만 cm3, 폐수 수거량은 일일 980만 cm3를 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하수도(Wastewater Network) 보급률을 2022년 62%에서 2030년 95%로, TSE 재사용률을 2015년 17%에서 2030년 70%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주요 프로젝트를 보면 쿠웨이트의 Umm Al-Hayman 프로젝트가 있는데 규모가 17억 달러에 달해 PPP 기반 폐수 처리 프로젝트 중 가장 큰 규모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2024년경에 완공될 것으로 예상되며 주계약자는 독일의 WTE Wassertechnik로 450km에 달하는 폐수 및 TSE 파이프라인 구축이 주요 내용이다. 다음으로 카타르의 Al Wakrah and Al Wukair STP 프로젝트인데 총규모는 12억 달러, 주계약자는 Metito이며 용량은 일일 60만 cm3가 될 예정이다. 사우디의 Batch 1 and 2 ISTPs(Independent Sewage Treatment Projects)는 전체 용량이 일일 100만 cm3 달한다. 이집트는 폐수 처리 프로젝트 분야 주요국 중 하나이며 5억 9100만 달러 규모의 El-Hamam Agricultural Wastewater Treatment Plant를 건설 중으로 2024년에 완공 예정이다.

 

<MENA 지역 내 주요 폐수 처리 프로젝트>

(단위 : US$ 백만)

국가

프로젝트명

규모

현황

사우디

NWC - Upgrade of Sewage Treatment Plants: 5 Packages

2,150

Main Contract Bid

UAE

ADNOC - Al-Nouf Seawater Treatment Plant

2,000

Main Contract PQ

사우디

RCU - Al Ula Tourism Development: Infrastructure: Water Supply & Treatment Plant

1,000

FEED

이라크

KRG MOMT - Erbil Sewage Treatment Plant: Lot I

778

Bid Evaluation

쿠웨이트

MPW -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South Al-Mutlaa Area

578

Bid Evaluation

이집트

CAPW - Gabal Al Asfar Wastewater Treatment Plant Expansion: Stage 3

350

Main Contract PQ

주 : 2023년 10월 기준

[자료 MEED Projects]

 

시사점

 

수자원 확보와 보존은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아직까지 수처리 인프라 구축이 비교적 미미하여 물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국가들이 다수 포진한 MENA 지역 내 수처리 프로젝트는 계속해서 발주될 것으로 예상된다. 총 770억 달러에 달하는 수처리 프로젝트가 예정된 해당 지역에서 사우디, UAE, 이집트, 이라크, 모로코 등이 주요 발주처일 것으로 전망된다.

 

여타 분야와 마찬가지로 수처리 프로젝트에서도 주목하고 있는 것은 탄소 저감이다. UAE, 사우디 등 MENA 국가들도 구체적인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 발표함에 따라 기존 방식보다 전기 사용을 줄이고 에너지원을 청정에너지로 대체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더불어 프로젝트 분야 내 민간부문의 역할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업들이 더 많은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 MEED Projects, 세계자원연구소(World Resources Institute), 현지 언론 및 KOTRA 두바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지역 수처리 프로젝트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