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가방 시장 동향
  • 트렌드
  • 중국
  • 시안무역관
  • 2023-09-26
  • 출처 : KOTRA

품질과 디자인 중시로 다양한 가방 브랜드가 생겨

2023년 1~5월 수입액 1억3800만 달러로 26% 증가

HS Code


HS Code

가방 종류

42021110

 가죽이나 재생가죽으로 면을 만든 옷가방

42021190

 가죽 또는 재생가죽으로 면을 만든 캐리어, 작은 핸드백, 서류가방, 서류가방, 책가방 및 이와 유사한 용기

42021210

 플라스틱이나 방직 재료로 면을 만든 옷가방

42021290

 플라스틱 또는 방직 재료로 만든 여행가방, 작은 핸드백, 서류가방, 서류가방 및 이와 유사한 용기

42021900

 기타 재료로 면을 만든 옷가방, 캐리어 작은 핸드백, 서류가방, 서류가방 및 이와 유사한 용기


시장 동향


중국의 가방시장은 1980년 개혁개방 정책 실시 이후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개혁개방 정책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며 가방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기 시작했다. 초기의 중국 가방시장은 소위 말하는 저가 ‘짝퉁(위조상품)’ 생산 및 판매를 중심으로 발전했지만 최근에는 소비자들이 품질과 디자인을 중시하기 시작하며 다양한 가방 브랜드가 생겨나고 있다.

 

<2008~2021 중국 가방시장 규모(매출액)>

(단위: 억 위안)

[자료: 미야시아(亚视)]

 

<가방 분류 타깃 고객>

분류

타깃 고객

특징

비즈니스 가방(서류가방)

비즈니스맨

심플한 디자인으로 기능성과 실용성 중

여행가방

여행자 및 출장자

내구성과 용량 중시

패션가방

젊은이 및 패셔니스타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디자인과 스타일 중시

운동가방

스포츠나 야외 활동을 하는 사람

방수, 내구성, 무게 등 기능을 중시

[자료: KOTRA 시안 무역관 자체 정리]

 

중국 수입

 

<2015~2023 중국 가방 수입량 수입액>

(단위: 억 달러, kg)

[자료: 미야시아(亚视)]

 

중국의 가방 수입은 2016년 이후 안정적인 증가세를 유지하다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급감다. 2022중국의 가방 수입액은 27500 달러로 동기 대비 11.1% 감소했으며 수입량은 3905톤으로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2023 1월부터 5월까지 중국의 가방 수입액은 13800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5.9% 증가했으며 수입량은 1985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4% 증가했다.


<2022년 중국 가방 수입 국가별 비중(%)>

[자료: 중국해관 데이터를 기반으로 KOTRA 시안 무역관 자체 정리]


<2022년 중국 지방별 가방 수입비중(%)>

[자료: 중국해관 데이터를 기반으로 KOTRA 시안 무역관 자체 정리]

 

 

2022 중국의 주요 가방 수입국은 이탈리아와 프랑스로 나타났다. 대이탈리아 수입액은 각각 23 달러와 166000 달러로 42%, 30% 차지하며 중국 전체 수입의 72% 차지했다.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가방 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이탈리아의 구찌, 프랑스의 루이비통 등 명품 브랜드는 중국인들의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중국 성별 수입 패턴을 살펴보면, 2022년 기준 중국 가방 수입 상위 5 성은 상하이(81%), 광둥성(6%), 허난성(5%), 베이징(2%), 저장성(2%)이다. 상하이가 80% 이상을 수입하고 있는데, 이는 상하이가 하이는이경제 중심지이고 1인당 가처분 소득이 높아 시장 수요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2025년 세계 가방 시장 규모는 약 211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 가방 시장 규모는 3379억 위안(약 360억7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선진국 시장과 비교 중국의 가방시장은 아직 성숙도가 낮은 편이다. 따라서 중국 국내 산업은 향후 발전 가능성이 클 것으로 평가되는데, 특히 중국 내에서 디자인, 생산이 이뤄지는 국내 브랜드들이 더욱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쟁현황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가방시장은 소수 기업으로의 집중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가방 기업은 2018년 1598개사에서 1417개사로 181개사가 감소했으며, 상위권 기업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졌다.

 

<2018~2021 중국 가방 기업 수 현황>

[자료: 옌관보고서]

 

중국에는 수많은 가방 브랜드가 존재하며 가장 시장점유율이 높은 루이비통(LV)과 구찌(GUCCI)의 점유율도 4%를 넘지 못하고 있다. 현재 루이비통(LV), 구찌, 샤넬, 코치, MK, 에르메스 등의 외국 브랜드들의 시장점유율 선두를 달리고 있다. 루이비통과 구찌의 시장점유율이 3.8% 가장 높고 샤넬, 코치, 아디다스가 2.8%, 2%, 1.6% 뒤를 이었다. 이처럼 글로벌 명품 브랜드들의 시장점유율이 높은 편이며 중국 국내 브랜드들도 브랜드 합병을 통해 고급 브랜드 출시를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가방 선두 브랜드 시장점유율 현황>

[자료: 옌관보고서]


중국 가방 산업 발전 트렌드


1) 국산 브랜드의 성장


최근 중국 국산 브랜드의 인기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현지 국산 브랜드의 특징은 아래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브랜드 수가 많지만 유명 브랜드는 소수이며, 대부분의 브랜드는 규모가 작고 인지도가 낮다. 유명 브랜드로는 에워스(爱华), ito, 허수아비(稻草人), 투안(途安) 등이 있다.
  2. 중저가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고 고급 시장은 해외 명품 브랜드의 점유율이 높다. 국산 브랜드는 중저가 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으며, 대부분 브랜드 제품의 가격대와 제품 포지셔닝은 차이가 크지 않다.
  3. 제품 디자인 개선: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현지 가방 브랜드는 제품 디자인을 더욱 중시하며, 개성 있는 디자인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4. 전자상거래 폴랫폼 활용: 전자상거래의 발전으로 온라인이 가방의 주 판매경로가 됐으며,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브랜드 간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사실 국산 브랜드는 아직 시장 경쟁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다. 하지만 앞으로 디자인과 품질이 개선되고 국산 브랜드의 인지도가 높아진다면 향후 국내 브랜드가 중국 현지 시장에서 더욱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 현지 브랜드 가방>

[자료: 샤오홍슈]


2) 온라인 플랫폼의 유행


코로나19 영향으로 중국의 온라인 판매 플랫폼은 빠르게 발전해 2022 중국의 온라인 판매량은 137900 위안으로 전년 대비 4%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기간 거리두기와 이동제한으로 라이브 스트리밍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브랜드 라이브 스튜디오, 사장님이 직접 진행하는 라이브 커머스 등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국산 가방 브랜드 에워스는 타오바오, 틱톡 등 SNS 채널의 브랜드 라이브 스튜디오에서 소비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다. 이처럼 현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마케팅이 대세가 됐으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터뷰(西安裕有限公司, 王向총경리)


Q1. 현재 중국은 전 세계 생산량의 40%를 생산하는 최대의 가방 제조국가입니다. 하지만 주로 OEM 생산에 치중 있으며 해외 브랜드들이 대세를 이루고 있습니다. 국내 브랜드를 키우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요?

A1. 중국 현지 국산 브랜드를 키우기 위해서는 우선 무엇보다도 제품 품질 개선이 필요합니다. 또한 디자인을 위한 더 치열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해외시장 진출을 고려한다면 해외 소비자의 문화, 습관과 현지의 트렌드들을 잘 고려 디자인을 출시해야 할 것입니다. 해외 디자이너와 공동으로 제품을 개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끝으로 온라인, 오프라인 유통 플랫폼을 구축하고 해외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서야 합니다.

 

Q2. 가방 소비에 대한 중국 국내 소비자의 성향은 무엇입니까?

A2. 요즘 중국 젊은 소비자들은 맹목적으로 해외 명품 브랜드를 좋아하기보다는 국산 디자이너 브랜드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기성세대가 해외명품 브랜드에 대한 맹목적인 추종이 있었던 것을 고려하면 이러한 경향은 최근 가방 소비의 가장 두드러지는 트렌드라고 생각합니다.

 

Q3. 중국 가방 생산기업에 조언을 부탁합니다.

A3. 가방 생산기업도 디자인, 생산 과정에서 디지털 역량을 강화해야 하며, 특히 요즘은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녹색 생산’에 대한 고민도 꼭 필요합니다. 디지털 역량을 배양 생산 공정을 개선하고, 친환경 원료를 사용하는 등 환경보호를 위해 앞장선다면 장기적으로 중국 국산 브랜드가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료: 미야시아(美亚视野), 중국해관, 옌관보고서, 샤오홍슈 등 KOTRA 시안 무역관 종합 취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가방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