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스프레이 로봇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3-06-29
  • 출처 : KOTRA

2022년 대중국 스프레이 로봇시장 수출 515% 증가

향후 중국 스프레이 로봇시장 성장률 25%에 달할 것으로 전망

상품명 및 HS Code

 

스프레이 로봇 HS CODE: 8424.89.20

 

시장규모 및 동향


스프레이 로봇은 '스프레이 페인팅 로봇(spray painting robot)'이라고도 하며 도료를 자동으로 페인팅하는 산업용 로봇이다.

 

스프레이 로봇은 특수 산업용 로봇으로서 근로자의 노동강도를 크게 낮추고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 환경보호, 고효율, 고품질의 스프레이 도장요구를 쉽게 충족시킬 수 있어 페인팅 자동화 공정에 꼭 필요한 산업용품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중국 스프레이 로봇시장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2022년 중국 스프레이 로봇시장 규모는 약 215억 위안 규모로 성장한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는 2014년 대비 6배 이상 성장한 수치이다.

 

<2014-2022년 중국 스프레이 로봇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 공옌왕(共研网)]

 

1990년대 스프레이 로봇이 자동차 산업에 도입된 것을 기점으로 스프레이 로봇은 다양한 산업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현재 스프레이 로봇은 자동차 산업 뿐 아니라 가구, 전자, 가전, 공예품, 인테리어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스프레이 로봇의 장점은 부자재 소모 비용을 줄여 페인팅 원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는 점인데, 이는 위에 언급한 산업군에 모두 적용되는 장점이기에 다양한 산업군에서 스프레이 로봇을 도입하고 있다.

 

자동차 제조 장비는 크게 스탬핑, 용접, 페인팅 등이 있는데 페인팅 장비는 자동차 스마트 제조 장비의 20% 정도를 차지한다. 자동차 페인팅 공정은 대부분 스프레이 로봇을 도입하고 있으며, 단일 자동차 생산 라인(페인팅 공정)에는 40-60대의 스프레이 로봇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프레이 로봇 이미지>

[자료: 타이타(泰)로봇]

 

스프레이 로봇 수입 동향

 

스프레이 로봇 수입동향은 다음과 같다. 독일산 수입이 최근 3년간 가장 많았으며(전체 수입 대비 50% 비중), 한국은 수입순위 4~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산 수입비중은 전체 스프레이 로봇 수입의 약 0.7% 수준으로 나타났다.

 

<중국 (HS Code: 84248920 기준) 주요 수입국/지역 현황>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지역명

2020

2021

2022

증감률('22/'21)

-

총액

110,413

124,592

93,357

-25.1

1

독일

53,268

61,064

49,619

-18.7

2

미국

17,507

26,510

29,020

9.5

3

일본

32,786

34,151

12,144

-64.4

4

한국

742

102

628

515.3

5

이탈리아

4,225

1,993

385

-80.7

6

튀르키예

0

0

315

0

7

오스트리아

0

0

249

0

8

대만

465

278

214

-23

9

이스라엘

0

0

116

0

10

프랑스

0

58

20

-65.3

[자료: KITA]

 

대한국 수입액 추이는 다음과 같다.

 

<중국 (HS Code: 84248920 기준) 대 한국 수입액 추이>

(단위: 천 달러, %)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수입액

1,494

5721

742

102

628

증감률(%)

-81.6

283

-87

-86.2

515.3

[자료: KITA]

 

중국 스프레이 로봇 기업 경쟁력

 

스프레이 로봇의 연구 개발 및 제조 분야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이 주도하고 있다. 선진국에 비해 중국 스프레이 로봇 산업은 비교적 늦게 발전하기 시작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경쟁력이 향상되고 있다. 선전의 위안룽스마트(远荣智能), 타이다(泰), 광둥인톈전기(广东银器) 등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들도 생겨나고 있다.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외국기업 (가와사키(川崎), ABB, FANUC(那科), DURR (杜尔) 등)에 비교했을 때, 중국 스프레이 로봇은 주로 중저가 영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기계 부품 등은 상당수 수입산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 스프레이 로봇 회사는 대부분 외자 브랜드 대리판매 위주이며, 자체적인 스프레이 로봇 생산 능력을 갖춘 기업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중국 EFFORT(埃夫特)는 극소수의 자체 스프레이 로봇 생산능력을 갖춘 기업 중 하나로, 2015년 로봇업계에서 리딩기업 중 하나로 인정받는 CMA를 인수한 뒤 현재 중국 국내 공장에서 스프레이 로봇을 생산하고 있다.


유통구조

 

현재 스프레이 로봇은 주로 철도, 컨테이너, 공사 기계, 자동차 부품, 금속 철물 등 산업분야에서 판매되고 있다. 스프레이 로봇은 주로 직접 판매 및 대리상을 통해 유통되고 있으며, 대리상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조립 업체 또는 로봇 수리 서비스가 가능한 업체들이 유통을 맡고 있다.

 

관세율 

 

HS CODE: 8424.89.20

 

한중FTA 적용세율:

관세(한중FTA)

0

증치세

13%

 

MFN 적용세율:

관세(MFN)

0

증치세

13%

[자료: 중국해관]

 

인증

 

스프레이 로봇 제품은 중국시장에 진출할 시 중국 강제인증(CCC인증)제도 관련 제품 범위에 적용하지 않아 CCC인증을 받을 필요가 없다. 기업에서 자사 제품 성능을 홍보하기 위해 자발성 인증인 CR인증(중국 로봇 인증)을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다.

 

시사점

 

중국은 이미 세계 최대 공업용 로봇 시장으로 자리잡았으며, 구인난, 인건비 상승, 에너지 절약 환경 보호 정책 등의 영향으로 중국 스프레이 로봇 시장은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자동차 산업은 스프레이 로봇의 주요 시장 중 하나이나, 스프레이 로봇 도입은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른 상태이다. 이에 스프레이 로봇 생산 기업들은 다양한 산업군으로 스프레이 로봇을 도입하는 방향을 모색중이다. 철도 운송 장비, 항공기, 선박 등 대형 제조 산업군에 스프레이 로봇 도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전망이다.

 

이에 자동차 산업 뿐 아니라 철도, 항공기, 선박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발생할 스프레이 로봇 도입 수요를 발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해당 산업군의 발전 동향 및 경쟁사의 경쟁력을 모니터링하여 중국기업과 협력할 기회를 끊임없이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자료: SOHU, 왕이(), 지치런치안샨(机器人前线)신스졔(新思界), OFWEEK 및 칭다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스프레이 로봇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