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향수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선양무역관
  • 2023-03-28
  • 출처 : KOTRA
Keyword #향수

개성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 향수에 대한 수요 증가

2026년까지 中 향수 시장 규모 370억 위안으로 확대 예상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Code

향수

330300

 

시장 동향

 

중국에서 향수를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향수 시장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중국 향수 시장은 지난해 174억3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23.7% 증가했다.

 

향수 시장의 확장에 대해 업계는 마스크 착용이 장기화되면서 색조 메이크업으로 개성을 표현하기 어려워지자 그 수요가 향수로 전환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향수 시장의 이러한 성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며, 2026년 중국 향수 시장이 37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 향수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 Euromonitor]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2년 중국의 향수 수입 규모는 11억4879만 달러로 전년에 비해 5.1% 증가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의 순으로 수입 비중이 높으며 특히 프랑스는 전체 수입의 약 60%를 독점하고 있다.

 

<중국 향수 수입 현황>

(단위: 천 달러)

[자료: 한국무역협회]

 

<주요 국가별 향수 수입 현황(2022년)>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

2018

2019

2020

2021

2022

증감률

 

총계

404,236

557,460

744,417

1,092,849

1,148,793

5.1

1

프랑스

255,055

337,029

445,904

636,792

690,904

8.5

2

이탈리아

57,405

83,670

95,069

160,222

157,109

-1.9

3

스페인

9,245

30,163

49,395

85,783

90,796

5.8

4

영국

32,013

33,502

65,552

93,396

86,866

-7

5

미국

36,561

49,179

47,058

59,031

73,858

25.1

6

독일

1,473

7,246

20,046

33,585

28,889

-14

7

스위스

2,565

3,104

5,232

4,434

4,881

10.1

8

폴란드

130

406

302

2,235

2,654

18.8

9

한국

2,032

1,666

583

1,072

2,461

129.4

10

일본

3,546

4,593

2,549

1,423

2,354

65.4

[자료: 한국무역협회]


지난해 한국으로부터의 향수 수입은 전년대비 129.4% 증가한 246만 달러로 전체 수입국에서 9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산 향수 수입 현황>

(단위: 천 달러)

[자료: 한국무역협회]

 

경쟁 동향

 

지금까지 중국 향수 시장은 외국 명품 브랜드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최근에 개성을 중시하는 MZ세대가 향수 시장의 주요 소비군으로 부상하자 이른바 ‘니치 향수’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중국 향수 시장이 니치 향수 브랜드를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글로벌 화장품 그룹 에스티로더(Estee Lauder) 산하 니치 향수 브랜드 조말론(Jo Malone London)은 2014년 중국에 진출한 이후 연이어 매출이 증가해왔으며 지난해 디올(Dior), 입생로랑(Yves Saint Laurent), 샤넬(Chanel) 등 명품 브랜드를 제치고 중국시장 매출 1위에 올라섰다. 그 외에 딥티크(Diptyque), 톰포드(Tom Ford) 등 니치 향수 브랜드도 중국 시장 매출 순위 상위권에 진입했다. 

 

한편, 중국 젊은 층의 애국주의 소비 트렌드인 궈차오(国潮) 열풍이 향수 시장에도 스며들면서 중국 로컬 브랜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센트 라이브러리(气味图书馆, ScentLibrary), 투써머(观夏, To summer) 등 브랜드들이 독특한 용기 디자인과 향기, 중국 문화 코드를 맞춘 마케팅 등을 내세워 MZ세대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중국에서 인기있는 로컬 향수 브랜드>

브랜드

이미지

가격

브랜드 특징

ScentLibrary (气味图书馆)

285위안/50ml

중국인의 추억을 바탕으로 한 추상적인 요소를 현상화해 소비자들의 공동 공감대를 만들어 구매 욕구를 자극함.

To summer

(观夏)

498위안/30ml

중국식 전통 미학을 살린 독특한 디자인과 계수나무, 백차, 동백 등 동양의 화초 원료를 사용한 중국 문화 콘셉트를 중점으로 함.

BOITOWN

(冰希黎)

198위안/60ml

가성비 높은 고급 향수 브랜드 추구

REClassified

(RE调香室)

338위안/80ml

개인의 취향과 개성을 반영한 맞춤형 향수를 제조 가능

Documents

(闻献)

850위안/30ml

중국 전통 목가구조 건축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향수 디자인으로 시각적 비주얼이 뛰어남.

[자료: 티몰]

 

유통구조

 

중국의 향수 판매는 오프라인 매장이 주된 채널이나 최근 온라인 시장의 비중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2022년 중국 향수 판매에서 오프라인의 비중은 약 69.1%를 차지했으며, 온라인 시장의 비중은 28.9%에 불과하나 2015년에 비하면 약 15.4% 증가했다. 


수입인증과 관세율

 

향수의 HS코드는 330300이며 한국으로부터 수입 시 2%의 수입관세와 13%의 부가가치세, 15%의 소비세가 부과된다.

 

<음료수 관세율(2023년)>

HS CODE

수입관세율

부가가치 세율

소비세율

최혜국

한중FTA

RCEP

APTA

330300

3%

-

-

2%

13%

15%

[자료: 취안룬퉁(全润通)]

 

향수를 포함한 모든 화장품은 화장품등록비안관리방법에 따라 수입 전 중국국가약품관리감독국(NMPA)에 등록 과정을 거쳐야 한다.

 

<수입 화장품 등록 절차>

[자료: KOTRA]

 

시사점

 

중국 소비자들의 향수 소비가 크게 늘면서 중국 향수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개성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 향수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관련 시장은 향후에도 지속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중국 향수 시장의 잠재성을 주목하고 진출기회를 모색해야 한다. 특히 주요 소비층인 MZ세대를 사로잡기 위해서는 우수한 품질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된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독특한 향, 시선을 사로잡는 용기 다자인 등에 집중하면서 중국 젊은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스토리텔링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SNS, 왕홍 등 디지털 마케팅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자료: Euromonitor, KITA, KANTAR, CBNDATA, 취안룬퉁(全润通)], KOTRA 선양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향수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