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싱가포르 무선이어폰 시장동향
  • 상품DB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김현민
  • 2022-10-24
  • 출처 : KOTRA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크기는 작게, 기능은 크게

과거에는 유선 이어폰을 즐겨 사용했다면, 요즘에는 무선 이어폰을 판매하고 사용하는 사람을 찾아보기 쉬울 정도로 이어폰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브랜드도 다양화되며 가격경쟁력을 갖춘 제품이 출시되기 시작함에따라 구매 접근성 또한 좋아지게 되었다.

 

상품명 및 HS코드: 무선이어폰(HS코드: 851830)

 

시장동향 및 개요

 

코로나19 영향으로 사무실 출퇴근 방식에서 재택근무를 병행하는 방식의 하이브리드 근무가 등장했다. 이에 화상미팅의 빈도가 높아지며 휴대성이 간편한 무선이어폰의 수요가 눈에 띄게 증가하기 시작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2년 9월까지 기준으로 싱가포르의 무선이어폰 시장은 전년동기대비 12.6%의 성장률을 보였다. 품목 특성상 엔터테인먼트 적인 요소와 더불어 화상미팅 등의 업무 또한 소화 가능한 점, 그리고 제조사의 주기적인 블루투스, 음질, 조작감과 같은 기능적인 부분 및 디자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대중에게 어필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 무선이어폰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천 개, %)

2020

2021

2022년 (9월까지)

시장규모

성장률

시장규모

성장률

시장규모

성장률

522.7

35.3

680.5

15.6

766.1

12.6

[자료: Euromonitor]

 

 

(무선이어폰 트렌드) 싱가포르에서는 Apple사의 AirPods을 시작으로 무선이어폰에 대한 구매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각기 다른 제조사에서 다양한 형태의 무선이어폰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많은 구매선택권을 제공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각자의 상황 혹은 개성에 맞는 제품을 구매하게 되며 디자인, 착용감, 방수옵션, 통화음질, 노이즈 캔슬링 기능, 그리고 가격 등 다양한 옵션을 비교하며 구입을 하게 된다.

 

 

무선이어폰 對한 수입규모, 11위

 

GTA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1년도 싱가포르의 무선이어폰 수입규모는 전년대비 약 40% 상승한 수치를 기록했다. 싱가포르의 한 대형가전제품매장 H사의 담당자는 2021년부터는 비대면 업무가 활성화 됨에 따라 온라인에서의 무선이어폰 구매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는 의견을 보였다.

 

싱가포르가 무선이어폰을 가장 많이 수입하고 있는 국가는 중국이며, 2021년도 기준 약 2억5천3백만 국달러 규모의 수입액을 기록하였다. 중국은 약 56%의 시장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베트남이 수입국 2위를 기록하였다. 베트남으로부터의 수입액은 2021년도 기준 약 1억2천8백만 미국달러였으며, 약 28%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 한국으로부터의 이어폰 2021년 기준 약 90만 미국달러로 수입국 11위를 기록하였으며, 약 0.2%의 미미한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지만 성장률은 전년대비 약 175%로 나타났다.

 

<싱가포르 무선이어폰 주요 수입국 현황 (HS코드 851830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수입규모 및 성장률

점유율

2019

2020

2021

2019

2020

2021

1

중국

279

(111.01)

256

(-8.37)

253

(-1.01)

81.15

79.91

56.36

2

베트남

8

(61.05)

14

(81.33)

128

(832.67)

2.19

4.28

28.41

3

말레이시아

31

(16.54)

29

(-6.79)

46

(41.30)

9.01

9.02

10.26

4

홍콩

3

(-36.42)

4

(54.79)

4

(1.22)

0.79

1.32

0.95

5

미국

7

(78.01)

4

(-48.74)

4

(0.68)

2.18

1.20

0.86

6

멕시코

3

(-9.64)

2

(-23.74)

2

(-9.50)

0.79

0.65

0.42

7

대만

3

(43.03)

2

(-29.34)

2

(3.69)

0.73

0.56

0.41

8

독일

1

(-21.47)

1

(1.14)

2

(34.85)

0.39

0.42

0.40

9

일본

1

(27.75)

2

(21.80)

1

(-30.30)

0.43

0.57

0.28

10

인도네시아

0.8

(110.37)

2

(129.11)

1

(-42.54)

0.23

0.58

0.24

11

대한민국

0.3

(-46.29)

0.3

(-4.05)

0.9

(174.88)

0.10

0.10

0.20

전체

344

(84.27)

320

(-6.95)

449

(40.35)

100.0

100.0

100.0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현지에서는 Apple의 대한 브랜드 충성심이 높은 편이며, iPhone 뿐만이 아닌 AirPods 또한 시장을 리드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외 Jabra, Sony, Bose 등 기존 음향기기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던 기업들이 경쟁구도를 이루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폭 넓은 선택권이 주어지고 있다.

 

무선이어폰의 특성상 휴대성이 강조되다 보니 경량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작방식은 주로 터치 방식의 기술을 접목하고 아울러 생활방수기능, 노이즈캔슬링 등의 기술이 탑재되며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는 추세이다.

  

<싱가포르 무선이어폰 주요 브랜드>

기업명 (브랜드)

Apple (AirPods)

 

AirPods 3rd gen

Jabra Corp (Jabra)

Elite 3

Sony Electronics (Sony)

WF-1000XM3

Bose Corp (Bose)

QueitComfort Earbuds II

Xiaomi Corp (Xiaomi)

Haylou W1

Samsung Asia (Samsung)

Galaxy Buds Pro

Harman International (JBL)

JBL Tune Flex

[자료: 각 사 홈페이지]

 

강세를 보이는 온라인 무선이어폰 유통망

 

코로나 발생 이후로 온라인 구매가 활성화 되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약 62%의 무선이어폰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유통이 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플랫폼인 Lazada, Qoo10, Shopee, 그리고 Amazon을 비롯하여 그 외에 각 브랜드 온라인 플랫폼 및 Carousell과 같은 중고거래 플랫폼 등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구매가 이루어 지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 구매 전 제품 경험을 해보기 위해 찾는 채널로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오프라인 유통채널>

대표 대형가전제품 전문매장

Harvey Normal

https://www.harveynorman.com.sg/

Courts

https://www.courts.com.sg/

Best Denki

https://www.bestdenki.com.sg/

Gain City

https://www.gaincity.com/

Challenger

https://www.challenger.sg/

기타 (각 브랜드 매장 등)

[자료: KOTRA 싱가포르무역관 직접 작성]

 

<온라인 유통채널>

대표 이커머스 플랫폼

Lazada

https://www.lazada.sg/

Qoo10

https://www.qoo10.sg/

Shopee

https://shopee.sg/

Amazon

https://www.amazon.sg/

기타 (각 브랜드 사이트 등)

[자료: KOTRA 싱가포르무역관 직접 작성]

 

관세율·수입규제·인증

 

(관세율) 자유무역을 지향하는 싱가포르는 주류, 담배제품, 차량, 석유제품을 포함한 4가지 제품 외에는 관세를 부과하고 있지 않으나 싱가포르에서 판매되는 모든 품목에 적용되는 부가가치세 성격의 GST(Goods and Services)가 7% 부과된다.

 

(인증) 싱가포르에서 무선이어폰을 포함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장비를 수입 및 판매 시 싱가포르 정보통신 미디어 개발청 (IMDA)을 통하여 해당 사항에 맞는 인증을 취득 하여야 한다. 관련 인증정보는 IMDA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 https://www.imda.gov.sg/regulations-and-licensing-listing/dealer-and-equipment-registration-framework/requirement-for-import-of-telecommunication-equipment).

 

시사점

 

기존에는 음질에 신경을 쓰는 소비자들은 와이어 이어폰 혹은 헤드셋을 구매하는 것이 당연시되었으나 블루투스, 터치패널 등 다양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현재는 소형화된 무선이어폰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코로나와 상생하는 방식의 삶으로 바뀌며 재택과 출근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근무가 자리를 잡기 시작함에 따라 엔터테인먼트와 업무를 동시에 소화할 수 있는 무선이어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오디오전문업체에서도 무선이어폰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신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가격대 또한 다양해지고 있어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넓어지고 있다.

 

대형가전제품 전문매장인 H사의 한 담당자에 의하면 많은 소비자들이 무선이어폰을 찾고 있으며 운동, 음악감상 등의 취미활동과 더불어 업무 또한 소화 가능한 다목적 제품을 주로 문의한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또한 소비자의 구매 채널에도 변화가 있었는데, 대부분의 주문이 온라인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한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IMDA, Apple, Jabra, Sony, Boss, Xiaomi, Samsung, Harman 각 사 홈페이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무선이어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