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얀마 팜유(Palm Oil) 시장동향
  • 상품DB
  • 미얀마
  • 양곤무역관 KayThwe Oo
  • 2022-06-09
  • 출처 : KOTRA

경기악화에도 수요 증가세를 보이는 필수재

유망시장 선점 위해 현지생산 등 장기 진출전략 모색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 상품명 : 팜유와 그 분획물(정제했는지에 상관없으며 화학적으로 변성 가공한 것은 제외한다)

- HS Code : 151190

 

외환위기를 겪고 있는 미얀마 정부는 지난 43일 강도 높은 외환통제 조치를 발표함과 동시에 수입 라이선스(Import License) 심사기준을 대폭 강화했다. 외환보유고가 부족한 상황에서 자국민 생활과 산업활동에 중요한 필수재와 그렇지 않은 사치품을 구분하고 수입 라이선스를 차등 부여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후 가솔린, 디젤유와 같이 모든 산업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유류(油類)를 비롯해 의약품, 비료, 농약 그리고 산업용 핵심 원자재 등이 필수재로 분류됐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해바라기유, 대두유 및 팜유(Palm Oil) 등 식용유 제품군도 라이선스 발급 순위가 높은 수입 필수재로 지정됐다는 점이다. 다양한 생활소비재와 식품군 중에서 유독 식용유가 핵심 품목으로 선택된 것이다.

 

사실 이는 미얀마의 전통 식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단 미얀마인들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쌀밥을 주식으로 7~8가지 반찬을 곁들이는 식사를 즐기는데 이때 나오는 반찬 대부분이 기름에 튀긴 음식으로 이뤄져 있다. 노점에서 판매하는 간식도 튀김 요리 위주이며, 전통 국수 모힝가(Mohinga)의 육수에도 기름이 다량 들어간다. ‘튀김요리’, 또는 볶음요리를 의미하는 접사 (Kyaw)’는 현지 음식점 메뉴판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지를 방문한 여행객들이 자주 보게 되는 쩨따쪄(Kyet Thar Kyaw)’라는 요리는 닭고기 튀김이라는 뜻이다.

 

<길거리 음식으로 판매 중인 튀김 간식>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280e9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32pixel, 세로 2268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28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32pixel, 세로 2268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28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50pixel, 세로 2048pixel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자체 촬영]


식문화가 이처럼 튀김이나 볶음요리를 중심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당연히 식용유 수요가 높을 수밖에 없다. 심지어 식용유가 없으면 대부분의 요리는 조리 자체가 불가능하므로 어떻게 보면 우리 음식의 고춧가루나 마늘보다도 중요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규제 시행에 강경한 현지 군정이 식용유를 수입 라이선스 우선 발급 대상으로 지정할 수밖에 없는 이유인 셈이다.


<튀김 요리로 구성된 반찬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28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710pixel, 세로 960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28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1280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2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1280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2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0pixel, 세로 931pixel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자체 촬영]

 

시장 규모 및 동향

 

한편 본격적인 식용유 시장은 수입이 허용된 1988년부터 활성화됐다고 볼 수 있다. 이때 들어온 저렴한 해외제품들이 땅콩이나 깨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추출하는 조리용 기름을 조금씩 밀어내며 경쟁 구도를 형성했기 때문이다. 경제개방이 본격화된 2010년대부터는 팜유(Palm Oil)의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했다. 미국의 경제 제재가 해제된 덕분에 수입 물량이 급격히 늘어났고 외국계 요식업체들도 앞다퉈 미얀마에 진출하며 수요를 크게 높인 것이 성장의 핵심 요인이었다. 현지 소비자들도 품질이 균일하면서 가격이 저렴한 팜유를 애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전통 기름의 판매가가 원료인 땅콩이나 깨의 작황은 물론 근로자의 임금 변동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 것과 달리 팜유는 시장 가격이 일정하게 유지됐기 때문에 경쟁력이 높았다. 현재 팜유 소비량은 미얀마 전체 식용유 수요의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팜유 시장 규모는 통계 자료에서도 1988년 수입 개방 이후 완만하게 성장하다 2010년대에 이르러 규모가 급격히 확대되는 모습을 보인다. 국가별 통계를 제공하는 ‘Index Mundi’ 포털의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연간 39만 미터톤(MT)이었던 미얀마의 팜유 소비량은 2015년에는 연간 74만 미터톤(MT)으로 약 2배 증가했으며, 2022년에는 연간 95만 미터톤(MT)까지 소비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과 국가 비상사태가 겹치며 미얀마 경제 전반이 후퇴한 2020년부터 2022년 사이에도 팜유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 미얀마의 팜유(Palm Oil) 소비 규모 >

(단위: 천 미터톤(MT))

This is Picture.

[자료: www.indexmundi.com]

 

수입 동향

 

미얀마는 기후 조건상 팜유를 추출할 수 있는 종려나무를 재배하기 어렵고 원료를 가공하는 기술 또한 부족하기 때문에 자국에서 소비하는 팜유 대부분은 해외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주요 수입국은 세계적인 팜유 공급지로 유명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이며, 이 밖에도 싱가포르와 태국에서 소량으로 수입하는 물량이 존재한다. 이 중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로부터 수입되는 팜유는 대용량 탱크로 반입해 유통되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싱가포르나 태국에서 들여오는 팜유는 일반 마트나 소매점에서 흔히 판매되는 식용유 브랜드 제품들이다.

 

시장 수요가 늘어나면서 수입 규모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전체 팜유 수입량은 수입액 기준으로 202065000만 달러 규모에 이르는 등 완만한 성장세가 계속됐는데 2021년에는 전년대비 37%가 더 늘어난 9억 달러의 팜유 수입이 이뤄지기도 했다. 국가 비상사태로 경제가 가장 어렵던 시기에 팜유 수입이 급증한 것이다.

 

<최근 6년간 국가별 수입 규모>

(단위: 천 달러)

연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인도네시아

370,253

485,181

478,120

451,881

593,009

827,589

말레이시아

138,657

101,364

68,178

53,613

29,321

25,236

싱가포르

311

159

169

96

403

1,366

태국

27,951

27,948

29,400

30,638

32,494

47,058

총 금액

537,172

614,653

575,867

536,228

655,227

901,249

주: HS Code: 151190 - 팜유와 그 분획물 (정제했는지에 상관없으며 화학적으로 변성 가공한 것은 제외한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동향

 

이처럼 대부분이 수입산인 팜유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조되는 현지산 식물성 식용유들과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물론 팜유가 가격경쟁력과 품질 면에서 전통 기름을 압도하기 때문에 시장에서는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실제로 전통 기름 제조업은 1988년 식용유 수입시장 개방 시기부터 큰 타격을 받았다. 주로 땅콩기름이나 참기름 형태로 판매되는 전통 기름은 대량 생산이 불가능한 소형 시설에서 제조됐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이 없었는데 수입 개방으로 저렴한 팜유가 쏟아져 들어오며 급속도로 시장을 내준 것이다. 이때 많은 수의 전통 기름 제조시설들이 문을 닫았다. 2015년에는 가짜 식용유가 미얀마인들의 건강을 해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됐으며, 이에 따라 현지 식약청도 식용유 생산과 유통을 통제하기 시작했다. 이때 그나마 남아있던 전통 기름 공장 다수가 부적절한 제조공정과 설비를 갖춘 시설로 적발됐고 결국 대량 폐업으로 이어졌다.

 

물론 최근에는 미얀마 식용유 제조업계에서도 나름의 자구책을 내놓고 있다. 특히 미얀마 식용유 거래협회(Myanmar Edible Oil Traders Association)는 현지 전통 기름 공장들이 식약청으로부터 제조공정을 인증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원료인 콩과 깨의 재배면적을 확대해 대량 생산을 도모하는 등 자국산 식용유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나가고 있다.

 

팜유의 자국 내 생산을 확대하려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태국이나 인도네시아와 기후 조건이 비슷한 따닌다리(Tanintharyi)()에서는 팜유의 원료가 되는 종려나무를 심어 기르고 있는데, 2022년 현재 재배면적은 127,000에이커 정도이다. 말레이시아 합작법인인 ‘Myanmar Stark Prestige Plantation(MSPP)’사는 아예 종려나무 재배를 위해 설립됐다. 2011년 미얀마 투자위원회(MIC; Myanmar Investment Committee)30년간 토지 임대를 허용하며 사업을 승인해준 이 기업은 투자 규모만 3,675만 달러, 재배면적은 3만 8,000에이커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적 식용유 생산공장의 설립도 이어지고 있다. 2006년에는 미얀마 내에 최초의 팜유 제조시설이 들어섰으며, 2016년에는 우리나라의 CJ제일제당이 연간 2만 톤 규모의 가정용 식용유를 제조할 수 있는 공장을 완공하고 ‘333 Cocking Oil’이라는 브랜드의 팜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혼합제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다만 미얀마 기업이 단독 투자한 공장들은 생산공정의 낙후와 제조 기술의 부족으로 시장에서 여전히 고전하고 있으며, CJ제일제당의 공장도 코로나19와 비상사태로 조업을 중단하는 등 최근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통구조

 

수입된 팜유의 유통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먼저 인도네시아나 말레이시아에서 수입된 팜유는 개별 상품이 아닌 기름 형태 그대로 공급되는 것이 특징이다. 대량으로 수입되는 이 팜유는 미얀마에 도착한 다음 정부가 소유한 대형 저장 탱크에 옮겨졌다가 유통을 위해 다시 약 180리터 용량의 청색 저장 탱크로 분배되며 마지막으로 18리터, 10리터의 황색 용기에 담겨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주요 공급처는 팜유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음식점이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식용 기름을 판매하는 지역 소매점들이다.

 

반면 싱가포르나 태국에서 수입되는 팜유는 처음부터 완제품 형태로 포장된 브랜드 상품들로 주로 도시지역의 대형마트에서 접할 수 있다. 가정에서 소량으로 소모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용량도 0.9리터, 1리터, 1.8리터, 2리터, 5리터 등으로 작은 편이다. 최근에는 전자상거래가 발달하면서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이런 소포장 브랜드 제품을 구할 수 있게 됐다.

 

한편 팜유의 시장판매가는 계속해서 상승하는 추세다. 202110월의 소비자가는 1.6리터 들이 기준으로 현지화 5,500짜트(Kyat), 미화로는 약 3달러 정도였는데 이는 비상사태 선포 이전에 비해 2배 이상으로 오른 가격이다. 2022년에는 미얀마의 외환 사정이 더욱 악화되고 있는데다 세계의 팜유 공장인 인도네시아로부터의 공급도 불안정하기 때문에 가격은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미얀마 정부도 시장공급가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통제하는 등 나름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팜유 인플레이션을 완전히 막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종류별 팜유 가격>

(1 USD = 1,850 짜트, 중앙은행 지정 환율)

종류

분류

가격

202262일 기준

대용량 공급제품

1.6리터

(1 Viss)

식용유 협회 지정 가격

6,100짜트(3.29달러)

(52일 지정)

9,000짜트(4.86달러)

시중 판매 가격

대형마트 판매용

0.9, 1리터

4,000~5,700짜트

(2.16~3.08달러)

1.8, 2리터

9,000~12,500짜트

(4.86~6.75달러)

5리터

22,000~23,000짜트

(11.89~12.43달러)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자체 조사 , MEODA 공식 페이지, Shop.com.mm]

   

팜유 유통 방식 종류

 

<대용량으로 공급되는 제품들>

This is Picture. Original Picture Name: KakaoTalk_20220601_141654431.jpg Original Picture Size: 960 (W) by 720 (H) pixelsThis is Picture. Original Picture Name: KakaoTalk_20220601_141719408.jpg Original Picture Size: 1439 (W) by 1081 (H) pixelsThis is Picture. Original Picture Name: KakaoTalk_20220601_141713494.jpg Original Picture Size: 1439 (W) by 1093 (H) pixels

[자료: The Standard Time Daily]

 

<대형마트서 판매용 브랜드> 

This is Picture. Original Picture Name: 0.9.jpeg Original Picture Size: 1000 (W) by 1000 (H) pixelsThis is Picture. Original Picture Name: 1.8.jpg Original Picture Size: 270 (W) by 270 (H) pixelsThis is Picture. Original Picture Name: 5.jpeg Original Picture Size: 270 (W) by 270 (H) pixelsThis is Picture. Original Picture Name: 2.jpg Original Picture Size: 270 (W) by 270 (H) pixelsThis is Picture. Original Picture Name: 1liter.jpg Original Picture Size: 1000 (W) by 1000 (H) pixels Date Taken: 2019년 09월 17일, 오후 11:15

[자료: Sein Gay Har Mart]

 

팜유 관련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현재 미얀마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와 관세청이 적용하고 있는 팜유 수입 관세율과 상업세율은 아래 표와 같다.

 

<HS Code 151190 에 따른 관세율 및 상업세율 현황>

WCO HS Code

AHTN Code

HS 설명

단위

수입 관세율

상업세율

1511

1511.90

Refined Oil

KG

-아세안 FTA

0%

(일반 관세율은 3%)

3%

[자료: 미얀마 관세청]

 

식용유 제품에 대한 인증제도는 2015가짜 식용유 파동이 발생한 이후 마련됐다. 주무부처는 미얀마 식약청(FDA; Food and Drugs Association)이며, 식약청에 보낸 제품의 샘플이 안전 검사에서 합격판정을 받아야 미얀마로의 수출이 가능해진다. 검사를 통해 인증(Health Certificate)을 획득하면 다음에는 식약청이 발급하는 수입추천서(Import Recommendation)'을 추가로 발급받아야 한다. 이와 같은 식약청의 검사, 판정 및 수입추천서 발급 절차에는 평균 2주에서 4주 가량이 소요된다. 통관은 추천서를 받은 다음 진행할 수 있다.

 

인터뷰 및 시사점

 

앞서 언급한 것처럼 미얀마 정부는 식용유 제품군을 수입 라이선스 발급 우선순위로 지정하며 자국민에 대한 공급을 유지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시장에서는 이미 공급난을 체감하고 있는 정황들이 드러난다. 팜유를 수입해 내수판매 중인 미얀마 기업 FA사의 관계자는 팜유의 수입 라이선스 발급 순위는 높지만 외환감독위원회(FESC; Foreign Exchange Supervisory Committee)가 실제 수입대금 결제를 위해 필요한 달러화를 10분의 1 밖에 승인해주지 않고 있어 영업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수요가 계속 늘어나는 상황에서 공급 문제가 표면화되기 시작한 것이다.

 

<마트에 판매 중인 식용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28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32pixel, 세로 2268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28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32pixel, 세로 2268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28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32pixel, 세로 2268pixel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자체 촬영]

 

미얀마 정부도 식용유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자국내 생산시설 확충에도 중점을 두고 있으나 기술과 노하우 부족 문제가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다. 특히 균일한 품질의 팜유를 선진적인 제조 노하우를 갖춘 외국계 기업의 도움 없이 단독으로 생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미얀마의 팜유 소비시장은 이미 급격히 성장한 상태다. 또한 원래부터 기름 요리를 중심으로 한 식문화를 갖추고 있는데다 2010년부터는 팜유가 식용유 시장을 빠른 속도로 잠식했기 때문에 지금 다시 전통 기름 소비로 회귀하기도 어렵다. 낙후된 전통 제조시설이 늘어난 수요를 충당하기 힘든 것은 물론이다. 결국 팜유를 중심으로 한 식용유의 수요는 경제 사정과 무관하게 계속해서 증가할 수밖에 없다. 때문에 미얀마 시장의 수요를 바탕으로 우리기업의 영향력을 확대해나가기 위한 장기적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선진 제조기술을 활용해 현지에 직접 생산공장을 설립하는 적극적인 진출방안도 시장 선점의 한 전략으로 중요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자료: 미얀마 식용유거래협회(MEODA), 미얀마 관세청,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팜유(Palm Oil)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