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얀마, 콩 생산 및 수출 동향
  • 트렌드
  • 미얀마
  • 양곤무역관 고성민
  • 2014-05-14
  • 출처 : KOTRA

 

미얀마, 콩 생산 및 수출 동향

- 2010년 이후 환율 급등으로 수출 급감했으나 이후 회복세 -

- 콩 등 농산물 생산장려로 관련 농업제품 수출 및 투자 기회 증가 -

 

 

 

□ 개요

 

 ○ 미얀마에서 콩은 쌀에 이어 제2의 생산 및 수출 품목임. 약 19가지 종류의 콩이 생산되고 있으며, 그 중 Black gram, Green gram, Pigeon pea가 생산·수출의 80~90%를 차지함.

 

자료원: UMFCCI

 

 ○ 미얀마의 콩 생산 및 수출은 1987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미얀마 정부의 육성정책의 결과라기보다 순수한 농민들의 노력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음.

 

 ○ 미얀마의 최대 콩 수출 대상국인 인도가 1960년대 녹색혁명의 일환으로 농업 생산 중심이 쌀과 밀로 이동함에 따라 이 과정에서 콩 재배 면적이 대폭 축소돼 인도 국내시장에서 콩 부족현상이 발생했음.

 

 ○ 과거 미얀마의 경우, 생산 및 수출이 엄격히 관리되는 쌀과 달리 콩의 경우 정부 간섭이 거의 없어 농민들이 자유롭게 재배하여 수출할 수 있어 빠른 속도로 재배지가 확대됐음. 그 결과, 콩 재배 면적은 1990년대에 약 4배 증가했음.

 

 ○ 콩의 주요 품목별 산지를 살펴보면, Black gram, Green gram은 주로 남부 이라와디 및 바고 지역에서 생산되며, Green gram의 경우 주산지가 남부 지방에서 Magway, Sagaing 등 북부 지방으로 재배 면적이 확산되고 있음. Pigeon pea는 북부에서 주로 생산됨.

 

□ 콩 수출 및 생산 동향

 

 ○ 미얀마에서 콩은 수출량 4위, 수출액은 주식인 쌀에 이어 2위를 차지하는 대표 수출 품목임. 미얀마는 FY 2011/12 기준 541만 톤을 생산해 이중 약 24%인 129만6000톤을 수출했음.

 

(단위: 백만 톤, 백만 ㏊)

연도

Net Sown Area

Yield

Production

수출

2009-2010

4.38

1.25

5.49

1.232

2010-2011

4.50

1.28

5.79

0.829

2011-2012

4.42

1.23

5.41

1.296

자료원: 미얀마 농업관계부, MYANMAR Agriculture in Brief 2013

 

 ○ 미얀마 통계청에 따르면, 미얀마의 콩 수출은 FY 2012/13 기준 148만3700 톤, 9억6170만 달러를 수출했음. 이는 수출량에서는 14%가 증가했으나 금액면에서는 2% 감소했음.

 

 ○ 주된 수출품목은 Matpe(Black Matpe), Pedesein(Green Mung), Pesingon(Toor Whole), Gram(Chick Pea)이며, 이중 Matpe(Black Matpe)이 65만7800 톤을 수출해 전체 수출량의 44.3%, 금액으로는 3억8280만 달러로 25.8%를 차지함.

 

회계연도별 콩 수출현황

 (단위: 천 톤, 백만 달러)

회계연도/품종

Matpe

Pedesein

Pesingon

Gram

Other Pulses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2011/2012

598.1

471.7

229.0

202.4

319.5

190.5

78.6

65.1

71.2

56.4

2012/2013

657.8

382.8

360.1

273.7

281.5

170.4

46.8

34.3

137.5

100.5

2013-2014.2

584.1

338.4

254.0

233.1

169.7

104.5

2.6

2.2

96.0

72.9

자료원: 미얀마 통계청

 

 ○ 콩의 주요 수출 국가를 살펴보면, FY 2012/13  기준 인도가 전체 수출량의 약 62%를 차지하며, 뒤를 이어 싱가포르, 중국 등이 차지하고, 한국은 녹두콩을 중심으로 수입함.

 

2011~2012년 미얀마 국별 콩 수출 현황

                         (단위: 톤)

국가

Matpe

Mung

Toor Whole

기타

총계

인도

22,920

11,149

14,193

122

48,384

싱가포르

2,290

11,597

664

4,375

18,926

중국

821

2,941

1,039

318

5,516

태국

867

1,038

382

35

2,322

말레이시아

689

196

72

2

959

일본

503

-

-

103

606

베트남

246

192

-

96

534

한국

-

-

-

492

492

인도네시아

240

120

-

-

360

파키스탄

-

281

-

12

293

자료원: USDA

 

□ 주요 수출상

 

 ○ 콩은 쌀과 더불어 대표적인 1차 수출 품목으로 대부분의 농산물 수출상이 취급하며, 주요 수출상으로는 Maou Oak Shaun Int'l, Farmer Phoyarzar, Shwe Me Industry, Toe Tet Linn, Pyei Phyo Aung, Midland Shwepyi Trading 등이 있음.

 

□ 팥 생산 및 수출 동향

 

 ○ 미얀마 수출통계를 살펴보면, 최근 수요가 증가하는 팥은 Sultani Pya, Sultani, Red Flat Bean, Red Kidney Bean emd 4종이 생산돼 수출됨. 우리나라의 팥에 해당하는 Adzuki Red Bean의 경우는 Adzuki의 HS Code인 071332의 수출 물량이 연간 200만 달러에서 300만 달러로 파악되지만, 현지 바이어의 인터뷰 등을 종합할 때 거의 생산이 되지 않거나 극히 소량만 생산되는 것으로 판단됨. 해당 수출 통계는 Adzuki 팥이 아닌 강낭콩의 일종인 Kidney 또는 Sultani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 현지 바이어는 Adzuki 종자의 경우, 톤당 판매 단가가 녹두콩 등에 비해 20~30%가 낮은 관계로 미얀마 농업 종사자의 대부분이 재배 를 꺼려하는 탓이라고 밝힘.

 

□ 미얀마 비료 및 농약 사용

 

 ○ 미얀마에서 비료 및 농약은 주로 콩과 야채 재배시 많이 사용됨. 태국, 중국, 인도, 싱가포르, 일본 등에서 수입해 주로 만달레이(Upper Myanmar의 특별시), 양곤(Lower Myanmar의 특별시)에 지점을 통해 전국으로 유통됨.

 

회계연도별 농약 사용량

회계연도

사용량/

2008-2009

4,647

2009-2010

4,940

2010-2011

10,778

2011-2012

11,101

자료원: 미얀마 통계청

 

 ○ 미얀마의 경우, 농약 수요량은 FY 2002/03 기준 2875톤에서 FY 2011/12 기준 1만1102톤으로 약 4배 증가했으며, 비료의 경우 FY 11/12에 에 2000만 톤이 수입돼 FY 07/08에 비해 약 2배 증가했음. 그러나 미얀마의 ㏊당 비료 투입량이 30~60㎏에 불과해 베트남의 경우 285㎏, 태국 90㎏, 필리핀 130㎏, 중국 256㎏에 비해 현저히 낮아 향후 확대할 여지가 많음. FY 2012/13의 비료 수입액은 1억6790만 달러로 전년도 2020만 달러와 비교할 때 830%의 고속 성장을 나타내고 있음.

 

□ 시사점

 

 ○ 미얀마의 콩은 쌀과 더불어 핵심 농작물로 그동안 생산 및 수출을 민간차원에서 주도했지만 환율 강세, 자연 재해 등의 이유로 감소했음. 그러나 최근 미얀마 정부의 농업 생산 및 수출 확대 전략에 힘입어 생산 및 수출이 다시 확대되는 중

 

 ○ 미얀마 정부는 농업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미얀마 내 농기계, 비료, 농약 등 농업 관련 장비 및 제품 생산이 전무한 현실을 감안하여, 한시적으로 농업 관련 제품의 관세 및 상업세 면세, 농민 저리 융자 혜택, 마이크로 파이낸싱 확대, 농업 기계화 확대 등을 정책적으로 적극 추진하고 있어 향후 농업 관련 제품의 수요 확대가 기대됨.

 

 ○ 농업 생산의 기초가 되는 농약, 비료 등 기초 화학제품의 미얀마 생산이 거의 전무한 점을 고려할 때 관련 분야의 투자 진출을 적극 모색할 시점임.

 

 

자료원 : 미얀마 통계청, 농업관개부, 바이어 인터뷰, UMFCCI, KOTRA 양곤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콩 생산 및 수출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