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한국, 페루 내 “IT KOREA” 이미지 구축
  • 트렌드
  • 페루
  • 리마무역관 김다예
  • 2013-11-29
  • 출처 : KOTRA

 

한국, 페루 내 “IT KOREA” 이미지 구축

- 한국산 컴퓨터 주변기기시장 호황 -

- 스마트폰 및 태블릿PC시장 한국 제품 선호1위 -

 

 

 

□ 한국산 컴퓨터 주변기기시장 호황

 

페루의 한국산 컴퓨터 주변기기 수입 규모

(단위: 천 달러, %)

연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수입액

3,375

7,511

5,356

1,676

증가율

9.1

122.6

28.7

68.7

주: 2013년은 1월부터 9월까지의 누적액

자료원: ADEX DATA TRADE

 

 ○ 페루 바이어들에 의하면 컴퓨터의 주요 부품인 하드디스크, 메모리, 마더보드 등은 대부분 베트남, 중국에서 수입하지만, 한국 기업에서 생산한 것이 많으며 기술력이 중요하지 않은 키보드, 마우스 등 주변기기는 순수 중국산이 대부분이라고 함.

 

 ○ 페루는 컴퓨터 관련 부품을 현지 생산 없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 주변기기가 아닌 주요 부품에 대해서는 수리와 AS문제가 없는 고품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 페루 2대 대형 통신사인 CLARO는 디지털 신호출력기인 디코더를 한국에서 일부 수입하고 있음.

 

□ 스마트폰 및 태블릿PC시장 한국 제품 선호1위

 

한국의 대페루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수출현황

(단위: 백만 달러)

HS CODE

2012년

2013년

851712/847130

1,473

1,216

주: 2013년은 1월부터 10월까지의 누적액

자료원: KITA 무역통계

 

 ○ 스마트폰(HS 851712)과 태블릿PC(HS847130)의 대페루 수출은 2012년 7.7%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음.

 

 ○ 페루 스마트폰시장 점유율은 1위 중국 65.22%, 2위 멕시코 14.01%, 3위 브라질 8.69%에 이어 한국이 7.46%로 4위를 차지함.

 

페루 스마트폰시장 수입국 점유율

(단위: %)

순위

2011년

2012년

2013년

1

중국

68.29

중국

81.58

중국

85.91

2

멕시코

18.67

멕시코

7.45

멕시코

6.20

3

브라질

5.14

브라질

6.38

브라질

2.64

4

한국

4.42

한국

1.40

타이완

2.48

5

캐나다

2.12

타이완

0.55

한국

2.20

 

페루 태블릿PC시장 수입국 점유율

(단위: %)

순위

2011년

2012년

2013년

1

중국

95.83

중국

96.58

중국

96.84

2

한국

1.11

한국

0.90

베트남

1.18

3

말레이시아

0.78

미국

0.68

일본

0.52

4

일본

0.61

일본

0.47

미국

0.38

5

미국

0.42

말레이시아

6.39

한국

0.28

자료원: ADEX DATA TRADE

 

 ○ 페루 스마트폰시장 및 태블릿PC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는 이유는 한국 기업의 제품이 중국에서 수입돼 모두 중국의 수출실적으로 간주되기 때문임.

  - 실제로 중국 스마트폰, 태블릿PC의 대페루 수출 비중의 절반 가량은 한국 브랜드 제품임.

 

 ○ Ipsos Peru 조사 결과 페루 내 가장 영향력 있는 브랜드로 삼성이 3위, LG가 6위를 차지하며 페루 내에서 소비자들이 한국 브랜드에 높은 선호도와 인지도를 보임.

  -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가전제품시장에서의 브랜드 선호도는 삼성전자 1위, LG전자가 4위를 차지하는 등 국가별 브랜드 선호도에서 한국 브랜드가 1위를 차지함.

 

 ○ 페루 내 한국산 스마트폰과 태블릿PC 구매량이 높아짐에 따라 제품에 맞는 케이스(외부표면이 플라스틱 시트 또는 방직용 섬유제, HS 420292)제품을 한국에서 수입하고자 하는 바이어가 늘어나는 추세임.

 

□ 전망 및 시사점

 

 ○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하드디스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 주요 부품은 한국산 제품이 페루 내에서 높은 품질을 자랑하며 지속적인 판매호조를 기록할 것으로 여겨짐.

  - 컴퓨터 관련 기업 및 개인이 제공하는 AS산업이 컴퓨터 판매량에 발맞춰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향후 한국산 컴퓨터부품시장의 대페루 수출 시장은 지속적으로 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측됨.

  - 페루 컴퓨터 부품 관련 바이어들은 AS 및 품질에 민감하기 때문에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 제품인증 등 품질 위주의 상품이 경쟁력의 주요 요소로 판단됨.

 

 ○ 한국산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제품의 순수 한국에서 수입되는 비중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한국의 대페루 수입 실적 및 비중 면에서는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여겨짐.

  - 그러나 한국 제품에 대한 브랜드 선호도, 인지도 등이 중국 제품에 비해 월등히 높으므로 한국산 제품의 페루 시장 실질점유율은 높은 비율을 유지할 것임.

 

 

자료원: 페루 대표일간지 Gestion, Ipsos Peru, ADEX DATA TRADE 및 KOTRA 리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한국, 페루 내 “IT KOREA” 이미지 구축)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