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카자흐스탄에도 한국 패션의 바람 부나
  • 트렌드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송민선
  • 2013-08-02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에도 한국 패션의 바람 부나

- 소득 수준과 우먼파워 증가, 한류 연계 한국 패션 시장 유망 -

 

 

 

최근 카자흐스탄에서는 소득수준과 우먼파워 증가와 한류로 한국 의류시장이 유망해짐.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한국 저가 제품군 의류 및 패션 브랜드도 카자흐스탄에 진출하는 추세를 보임. 이를 알아보고 한국 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아보고자 함.

 

□ 왜 카자흐스탄에서 패션인가

 

 ○ 최근 몇 년간 카자흐스탄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패션 및 미용 관련 산업이 호황임.

 

 

 ○ 여성사업 지원 등 정부 프로그램과 여성 사회참여의 인식 변화, 이혼율 증가로 우먼파워가 증가함. 패션트렌드에 민감한 여성의 시장 참여가 커짐. 특히, 중앙아시아 여성은 전체 소득 중 외모에 투자하는 금액 비중이 다른 국가에 비해 높은 편임.

 

□ 카자흐스탄 한국 패션산업 현황

 

 ○ 카자흐스탄은 제조업이 발달하지 않은 국가로 의류를 직접 생산하지 않아 대부분을 중국, 터키, 이탈리아, 독일 등에서 수입하며, 아직 한국 제품의 수입은 미미하지만 최근 증가하는 추세임.

 

            (단위: 달러, %)

순위

국가

2010

2011

2012

점유율

1

중국

607,810

2,745,922

5,632,087

43.34

2

터키

130,611

618,793

1,052,350

18.69

3

키르기즈스탄

3,592

48,153

632,949

11.24

4

방글라데시

88,263

192,799

238,368

4.23

5

인도

124,324

192,790

191,604

3.4

10

대한민국

0

0

39,793

0.71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제품의 질보다 가격을 중히 여기는 현지 사정에도 질이 좋은 의류 제품은 대부분 대형 쇼핑몰에 위치한 고가 브랜드에 집중됨.

 

카자흐스탄 대형 쇼핑몰에 입점한 Zara 매장(왼쪽) 및 GAP 매장(오른쪽)

  

 

  - 중저가의 보세 제품은 중국 제품보다 질이 좋은 한국, 터키 제품의 이미지가 매우 우호적임.

 

터키, 한국 제품만을 취급하는 의류 매장

  

 

 ○ 현재 카자흐스탄에서 한류의 관심이 늘어 한국 의류에 대한 간접적 광고효과가 커짐.

  - K-pop, 드라마, 영화 등의 콘텐츠는 카자흐스탄인에 영향을 미침.

  - 특히 K-pop과 한국 드라마는 카자흐스탄에서 많이 알려진 상황임.

  - 1998년 한국 드라마의 카자흐스탄 진출로 시작된 한류는 한국 제품에 대한 인지도 상승으로 이어졌으며, 높은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었음.

  - 최근 한국 방송매체와 대형기획사에서 카자흐스탄 방문, 공연, 오디션 등을 개최해 한국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회가 많아짐.

 

카자흐스탄 k-pop 페스티벌

 

 

  - 한류 붐이 확대됨으로써 한국 패션의 광고효과는 더 커지는 상황임.

 

□ 시사점

 

 ○ 브랜드 제품을 제외한 대부분 보세제품은 가격이 저렴한 중국 의류제품이 주로 수입되는 것이 현실임. 그러나 이미지가 좋지 않아 한국 의류제품의 견고함과 한류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중심으로 마케팅을 진행한다면 패션산업은 충분히 발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함.

  - 카자흐스탄의 한류 열풍으로 현재 한국의 이미지는 매우 좋은 상태이며, 일부 상점은 한국 동대문 등의 의류를 소량 수입해서 판매하는 실정임.

  - 저가 제품군은 중국, 인도 터키, CIS권 국가, 인도 등의 국가가 공략하는 상황이며, 경쟁이 매우 치열한 상황임.

 

 ○ 저가 제품군이 아닌 한국 브랜드는 한류에 우호적인 인식을 기반을 이용해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함.

  - 고가 제품군에서는 유럽, 미국 등이 제품의 브랜드화, 명품화를 통한 시장진출을 하고 있음.

  - 의류 브랜드 제품의 카자흐스탄 진출 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질보다 가격을 중히 여기는 현지 실정을 고려한 ‘한류 기반 브랜드 이미지’라 할 수 있음.

 

 ○ 한국 업체의 진출 방향

  - 카자흐스탄 섬유 수입량에서 한국 제품이 미비한 이유는 물류의 어려움과 가격경쟁력 확보 불가능 및 시장 파악의 어려움 등이 있음.

  - 물류의 어려움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은 현지 제조공장 설립으로 새로운 수출 돌파구를 모색할 수 있음.

  - 현지 소득수준이 양극화돼 있는 반면, 한국제품은 저가도 아닌 고가도 아닌 중고가에 놓인 상황임.

  - 저소득층은 가격 위주의 구매성향을 보이고, 고소득층은 프리미엄 위주의 구매성향을 보이는 것을 고려해 진출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함.

 

 

출처 : http://yandex.kz, KOTRA 알마티 무역관 자체 종합 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에도 한국 패션의 바람 부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