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캄보디아는 지금 수입음료 전성시대
  • 트렌드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조원기
  • 2013-02-18
  • 출처 : KOTRA

 

캄보디아는 지금 수입음료 전성시대

- 현지업체 조악한 기술력, 국내수요 충족 못해 수입 의존 -

- 박카스가 보여준 ‘로컬 파트너십’과 광고력이 성공 키워드 -

 

 

 

□ 캄보디아 음료시장 동향

 

 O 캄보디아 내 음료 수요는 1990년대 말 개방경제 전환에 따라 생활수준이 증진되면서 생기기 시작함. 2000년대에 들어서자 현지 제조업체와 수입업체가 등장하며 수도 프놈펜 대부분 지역에서 음료제품을 마주할 수 있게 됐음.

 

 O 캄보디아 현지 음료시장은 소수의 대형업체를 제외한 대부분 현지 제조업체가 가족 단위로 운영되는 소규모이며 자본 부족에 따라 현대기술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음.

  - 이들 업체는 제품에 값싼 인공향료를 첨가함으로써 제품 원가를 낮춰 품질 우위에 있는 수입음료에 대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O 그러나 현지 음료는 조악한 기술력으로 품질이 떨어지고 생산량이 국내 수요에 크게 못미쳐 10여 개 수입업체가 각종 음료를 수입함.

  - 2011년 과일·청량음료의 수입규모는 약 400만 달러에 달했으며, 주요 수입국은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한국 등 10여 개 국가임.

 

 O 캄보디아 현지 음료시장은 음료 수요의 증가에 따라 취급업체 수도 소폭 늘어나며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성장했으나, 베트남, 태국 등 이웃국가에 비해 여전히 규모는 작음.

 

현지업체 크메르메콩식품(Khmer Mekong Food)의 과일음료 생산라인

 

□ 지금은 수입음료 전성시대

 

 O 캄보디아 전체 음료시장을 장악한 수입음료는 날로 그 규모를 더하고 있음.

  - 캄보디아 관세청에 따르면, 캄보디아 과일음료 수입량은 2010년 160만 달러에서 2011년 220만 달러로 크게 증가했으며, 이는 2010년보다 40% 이상 증가한 수치임.

  - 청량음료 수입량은 2010년 100만 달러에서 2011년 200만 달러로 2배 가까이 늘어나며 과일음료보다 더 큰 증가폭을 보였음.

  - 2009년에는 두 제품군 수입 모두 하락했는데, 이는 글로벌 경제위기로 인해 음료제품과 같은 소비재 수요가 특히 감소했기 때문이며 이후 다시 꾸준히 증가함.

 

캄보디아 과일·청량음료 수입량 추이

(단위: US$ 만)

출처: 캄보디아 통계청

 

 O 실제 음료시장 규모와 수입량은 공식 수치보다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됨. 이는 법 집행의 실효성과 세관의 효율성이 떨어져 밀수입이 점점 증가하고 있기 때문임.

  - 밀수입 경로는 대부분 캄보디아에 인접한 태국·베트남 국경을 따라 존재하며, 밀수품이 실제 음료시장의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음.

 

 O 과일음료 중에서는 ‘여(Yeo's, 말레이시아)’와 ‘사기코(Sagiko, 싱가포르)’가 가장 유명하며, 이들은 다양한 맛(두유, 수박, 파인애플, 리치 등)과 저렴한 가격(0.35~0.44달러)으로 중산층 이하 소비자로 공략하고 있음.

  - 한편, ‘포카(Pokka, 싱가포르)’와 ‘애플드링크(Apple Drink, 한국)’ 등은 용량은 작으나 다소 비싼 가격(0.6~0.7달러)을 책정해 중산층 고객을 목표로 함.

  - 기타 ‘말리(Malee)’ ‘팁코(Tipco, 이상 태국)’ ‘베리(Berri, 호주)’ ‘매실(한국)’ 등은 과일 함유량이 높고, 대부분 500~2,500㎖의 큰 용량으로 판매돼 상류층이 주요 소비층임.

 

 O 청량음료 중에서는 ‘레드불(Red Bull, 태국)’과 ‘박카스(한국)’을 필두로 한 에너지음료가 캄보디아 소비자로부터 큰 인기를 얻고 있음.

 

캄보디아 국가별 과일음료 수입 현황(HS Code 2009.00)

            (단위: 달러, %)

국명

2009년

2010년

2011년

수입액

비율

수입액)

비율

수입액

비율

말레이시아

 32,310

  3

  281,491

 18

  805,075

 36

태국

169,507

 18

  457,020

 29

  693,706

 31

베트남

171,283

 18

  226,950

 14

  185,265

  8

호주

311,121

 33

  198,627

 12

  159,869

  7

한국

 42,673

  4

   33,450

  2

   45,191

  2

기타

245,938

 24

  411,474

 26

  414,322

 17

총계

955,240

100

1,596,572

100

2,256,876

100

출처 : 캄보디아 관세청

 

캄보디아 국가별 청량음료 수입 현황(HS Code 2009.00)

                                                                                                            (단위: 달러, %)

국명

2009년

2010년

2011년

수입액

비율

수입액)

비율

수입액

비율

태국

514,877

 82

735,064

 74

1,287,767

 66

한국

  6,092

  1

 44,822

  5

  419,287

 21

베트남

 65,228

 10

 51,705

  5

  153,923

  8

말레이시아

 12,300

  2

134,639

 14

   21,747

  1

싱가포르

 18,008

  3

 14,028

  1

   21,242

  1

기타

 12,134

  2

  7,298

  1

   10,843

  3

총계

628,640

100

987,555

100

1,956,032

100

출처 : 캄보디아 관세청

 

□ 성공 키워드는 현지화와 광고력

 

 O 박카스(동아제약)는 캄보디아 시장 진출 1년여 만인 2011년 6월, 당시 시장 1위였던 레드불을 제치고 캄보디아 대표 에너지음료로 자리매김했음.

  - 2012년 말 누적판매량은 약 6000만 캔(판매액 150억 원)을 돌파했으며, 이는 캄보디아 총인구(1400만 명)가 박카스를 3캔씩 마신 것과 같은 수치임.

 

 O 동아제약은 현지업체인 Camgold사와의 ‘로컬 파트너십’을 통한 현지화 전략을 추진했음.

  - 캄보디아가 산업화 초기인 점을 감안해 ‘샐러리맨의 피로회복’을 콘셉트로 잡아 캄보디아 소비자에게 친숙한 브랜드 로열티를 구축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평가됨.

  - 동아제약 외에 과일음료 1위 업체인 YHS 역시 Dragon Trading사를 현지 공급업체로 두는 등 성공적인 외국기업 대부분이 로컬 파트너십을 활용하고 있음.

 

 O 박카스의 강력한 광고력 또한 성공 키워드로 꼽힘.

  - 유사제품인 ‘비타500(광동제약)’이 캄보디아 시장에서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는 데 반해 박카스는 2009년 캄보디아 시장 진출과 동시에 텔레비전과 현수막, 전단, 대형 간판 등의 광고수단을 적극 활용해 자사제품을 인식시키기 시작했음.

  - 공급업체들은 텔레비전과 현수막을 가장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꼽았으며, 드래곤 트레이딩과 레드불의 공급업체 Hero King 역시 이들 광고를 활용함.

 

  

식료품점에 걸린 현수막 광고

국도변에 설치된 대형 간판

 

□ 시사점 및 전망

 

 O 캄보디아 소비자는 현지음료가 수입음료에 비해 생산기술 및 제품의 질이 낮다고 인식, 수입음료를 선호하고 있어 현지음료가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려운 실정임.

 

 O 한국음료는 소비자 측면에서 가격이 높은 편이라 타제품과 경쟁하기가 다소 어려우나, 장기적으로는 많은 고객을 유인할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됨.

  - 한국음료는 캄보디아 소비자로부터 품질을 인정받고 있을 뿐 아니라, 캄보디아 시장이 가격에 민감하다고는 하나 수입업체들은 가격·품질의 균형을 신중히 고려함.

  - 신제품 출시에 있어서 한국기업의 초기 마케팅 지원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됨.

 

 O 2008년 11월 발효한 한-아세안 FTA에 따른 ‘캄보디아 관세 감축 및 철회 계획’은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임.

  - 캄보디아는 수입음료에 대해 아래와 같은 관세를 부과하나, 한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음료는 15의 수입세만 부과되며 2015년에는 5%까지 감축될 예정임.

 

 

수입제품

한국제품

과일음료

청량음료

현재

2015년(목표)

수입세

35

35

15

5

특별세

-

10

-

-

부가세(VAT)

10

10

-

-

출처 : 캄보디아 관세청 및 한-아세안 FTA 통합정보서비스

 

  - 다만, 서류 준비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절차가 복잡해 수입업체들이 적용을 꺼리고 있어 실제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시간이 다소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체 조사 및 캄보디아 관세청(Custom House), 한-아세안 FTA 통합정보서비스(akfta.net)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캄보디아는 지금 수입음료 전성시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