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캄보디아 음료 시장동향
  • 상품DB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이주영
  • 2021-04-28
  • 출처 : KOTRA
  • - 음료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경쟁도 심화 -

  • - 코로나19이후 제품소비 증가세 주춤하나 신제품에 대한 수요는 지속 -

 



연평균 7%대의 높은 경제성장률(‘11~’19)와 47.46%의 높은 청년층의 비중으로 캄보디아 음료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한국 박카스와 알로에베라로 대표되는 한국제품은 캄보디아 음료시장에서 크게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음료는 對캄보디아 수출 1위품목을 기록하고 있다.

 

상품명 및 HS Code


- (HS 220210) 설탕이나 그 밖의 감미료 또는 맛이나 향을 첨가한 물

- (HS 220299) 기타음료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캄보디아 음료 시장동향


캄보디아 음료 판매량은 2020년 5.6억L로 전년대비 0.8%증가한 규모이다. 2020년 음료 판매량 규모는 2020년 중순 6억L로 예상했으나, 그보다 낮은 5.6L를 기록했다. 판매량 증가율은 2019년까지 6.5%~8.1%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2020년 코로나19로 성장세가 크게 감소하였다. 2021년은 기저효과로 판매량 5.9억L와 증가율 6.2%가 예상된다. 하지만 증가율규모는 점차 감소하여 2025년 3.9%로 예상된다.


음료(주류제외) 판매량과 증가율

(단위: 백만L, %)

external_image

자료: 유로모니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외국음료 수입동향


캄보디아의 음료(HS코드 220210) 수입규모는 2016년 74,215천 USD에서 2020년 240,378천 USD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對캄보디아 음료 수출은 2017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2020년 기준 전체 음료 수입액의 약 26.5%로 두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하였다. 에너지음료인 Carabao로 대표되는 태국의 경우, 전체 음료 수입액의 약 73%이며 2016년대비 155% 성장하였다.


HS Code 220210 캄보디아의 최근 5년간 수입동향

(단위: 천USD)

순위

국가명

2016

2017

2018

2019

2020

1

태국

68,777

97,040

147,962

164,813

175,426

2

한국

4,262

29,638

32,671

40,822

63,609

3

말레이시아

364

1,319

1,999

1,432

1,171

4

벨기에

61

55

76

74

68

5

일본

33

7

12

26

31

전체

74,215

128,627

183,879

208,759

240,378

자료: ITC Trade Map

 

심화되고 있는 음료 경쟁동향


음료시장 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시장 내 제품이 증가하였으며, 다양한 대체재 증가로 소비자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주류업체인 Khmer Brewery가 출시한 에너지음료 Wurkz, Coca Cola의 신제품 coca-cola coffee 등 기존 진출업체가 신규제품을 출시하면서, 경쟁이 심화되면서 브랜드별 점유율은 전년 대비 하락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특히, CocaCola社는 현지 공장 설립과 빠른 시장진출과 더불어 넓은 유통망을 바탕으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였으나, 2020년 전년대비 감소하였다. 더욱이 도심을 중심으로 커피전문점과 생과일주스 전문점이 늘어나고 있어, 포장음료 대체재 시장도 확대되어 더욱이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0년 캄보디아 음료시장의 브랜드 점유율은 NVC Corp Co Ltd, Coca-Cola가 각각 약 17%로 1,2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Oral Quality Drinking Water, Carabao Tawandang Co Ltd 가 각각 10% 전후를, SL Hi-Tech Co ltd, PepsiCo Inc, Eurotech Import Export Company Ltd 가 각각 약 5%를 차지하고 있다.


경쟁이 심화되면서, 업체들도 공격적으로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제품 구입시 추첨을 통해 자동차, 오토바이 등 고가상품을 증정하는 경품추첨 이벤트, 인플루언서를 통한 제품홍보 및 협찬 등의 SNS마케팅, 스포츠 및 온라인 행사 후원을 통해 홍보 등 다양하게 진행한다. 음료의 주 소비층이 청년층인 만큼 청년층을 타겟으로 하는 행사 및 인플루언서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캄보디아 주요 마케팅 전략

external_image


 


 


경품추첨

스포츠 후원 및 중계

공연 후원

자료: Facebook 홈페이지


캄보디아 음료시장 주요 경쟁제품

(단위: ml, USD)

탄산


 


  external_image

 



Coca Cola(미국)

-       330ml, 0.5USD



Pepsi cola(미국)

330ml, 0.4USD



Ize cola(캄보디아)

330ml, 0.4USD


에너지

 


 


 



박카스(한국)

250ml, 0.8USD



Carabao(태국)

250ml, 0.8USD



Wurkz(캄보디아)

250ml, 0.6USD


자료: Lucky Supermarket, Chipmong Supermarket

 

·오프라인의 음료 유통구조


캄보디아 음료는 온라인 쇼핑몰과 플랫폼에서부터 오프라인 쇼핑몰, 슈퍼마켓, 노점상, 식당에 이르기까지 캄보디아 전역에서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 음료는 소규모 판매점이 30.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하이퍼마켓(23.4%), 슈퍼마켓(21.5). 편의점(17.7%)순이다. 유동인가구 많은 쇼핑몰에서는 제품 기획전과 홍보 이벤트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코로나19로 온라인 판매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전체 음료판매액 중 온라인 판매비중은 미미하다. Nham24, Grab과 같은 배달 플랫폼에서 구매가 가능하고, 별도 온라인 판매플랫폼인 Aeon online, Delishop 등에서도 제품 구입이 가능하므로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5-2020 캄보디아 음료 유통별 점유율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현대유통채널

61.4

61.7

62.1

62.5

62.9

62.5

편의점

17.1

17.3

17.5

17.7

17.8

17.7

하이퍼마켓

23.2

23.4

23.3

23.4

23.5

23.4

슈퍼마켓

21.1

21.0

21.3

21.4

21.6

21.5

전통 유통채널

38.6

38.3

37.9

37.5

37.1

37.5

식음료 전문점

5.9

5.9

5.9

5.9

5.8

5.9

소규모 판매점

31.5

31.2

31.0

30.8

30.6

30.8

기타

1.2

1.1

1.0

0.9

0.7

0.8

총합

100

100

100

100

100

100

 

Lucky Supermarket 유통 담당자는 코로나19 락다운 및 집합금지 명령으로 음료 제품 수요와 매출이 크게 감소했다고 밝혔다. 다른 유통업체 A社는 과거 수입음료 의존도가 높았으나 최근 현지 생산 제품 신뢰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최신 유행에 맞는 독특하고 인상적인 신제품에 대한 수요는 코로나19이후에도 계속 존재한다고 밝혔다.


 

음료 관세율인증등록절차


한-아세안 FTA 관세율은 HS Code 2202의 경우 0%이다. 다만, 일부 주스류(HS Code 2202)의 경우한국에서 민감품목으로 지정했기 때문에 해당품목 캄보디아 수출시 상호대응세율 부과될 수 있다. 상무부 세관지침에 따라 부가가치세 10%가 부과되며, 특별세는 10%이다. 캄보디아 식품 라벨링 규정에 따라 제품명, 상표, 성분, 중량, 제조업체/포장업체/유통업체 등 제품 관련 업체명 및 주소, 원산지, 제조일자, 유통기한 등의 표기가 필요하다. 라벨링 언어는 캄보디아어로 표기되어야하며, 외국어도 동시에 표기 가능하나 캄보디아어보다 작은 사이즈여야한다. 캄보디아 내에서 라벨없이 유통되는 제품도 쉽게 발견할 수 있으나 현지 식품법에 따라 라벨링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시사점


캄보디아 음료시장은 성장하고 있으나, 많은 업체들의 현지진출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과 커피전문점 등 대체시장의 성장으로 음료시장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신규제품에 대한 수요도 꾸준한 만큼, 제품의 주요 타겟층인 청년층의 현지 시장 트렌드를 분석이 필요하다. 타겟층 수요분석 후에 현지시장 마켓 테스트를 실시한 후에 시장성이 있는 제품의 타겟층 중심의 가격책정, 온오프라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제품 유통에서 전통적 유통채널(소규모 판매점, 키오스크 등)의 비중도 적지않으므로, 현지에 맞는 제품 패키징 선택도 중요하다.

 


자료: 유로모니터, ITC Trade Map, WorldMeter, Aeon mall, 캄보디아 세관(www.customs.gov.kh), 현지신문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캄보디아 음료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