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IMF, 모로코 경제 순항 전망
  • 경제·무역
  • 모로코
  • 카사블랑카무역관 김선기
  • 2012-10-24
  • 출처 : KOTRA

 

IMF, 모로코 경제 낙관적인 전망

- 경제위기설 일축, 2013년 5%대의 경제성장 가능 -

 

 

 

□ IMF 보고서 주요내용

 

 ○ IMF는 2017년까지 향후 5년간 모로코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5%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함.

 

 ○ 긍정적인 모로코 경제 전망은 모로코 정부의 예측이 아닌 IMF의 경제 전망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환영받는 분위기임.

 

 ○ 모로코 정부는 2013년 경제성장률을 4.5%로 예상했으나 IMF는 그보다 더 높은 5.5%로 전망하면서 모로코 경제가 무역수지 적자 위기를 벗어나 활성화될 것으로 낙관함.

 

 ○ 그 이유로 모로코 주요 수출품인 인광석 및 파생품 수출이 점점 증가하며, 탕제 르노 공장의 막대한 생산량 증가, 관광산업의 부활이 무역적자 해소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설명함.

 

 ○ 지난 9월 25일 모로코 중앙은행인 알-마그리브 은행 또한 분기별 회의에서 2013년 모로코 GDP 성장률을 5%로 예측, 발표한 바 있음.

 

 

 ○ 반면 무디스, 피치 등과 함께 세계 3대 신용평가 기관으로 불리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는 IMF-세계은행 연차총회에서 모로코의 경제 전망을 부정적으로 바라봄.

 

 ○ S &P는 모로코 최대 교역국인 유로존의 채무 위기와 더욱 심해진 가뭄현상, 고유가에 따른 경제위기를 그 이유로 밝힘.

 

 ○ 한편, 2013년 물가상승률은 올해와 다름없이 2%대를 웃돌 것으로 예측하고, 실업률은 올해보다 -0.1% 감소한 8.7%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 지난 8월 3일 국제통화기금 IMF는 유로존 위기 등 외부 충격으로부터 모로코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 62억 달러(한화 약 7조 원)의 예방적 유동성 자금을 지원

 

 ○ 2010년 도입된 IMF의 예방적 유동성 지원제도는 견실한 경제 정책을 수행하는 국가의 위기 예방을 위해 자금을 지원하는 제도임.

 

 ○ 모로코 정부는 IMF의 예방적 유동성 자금 지원으로 외부 충격에 대비한 보호 장치를 갖게 됐으며, 신속하고 폭넓은 경제 성장을 위한 내부 개혁을 계속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발표

 

□ 모로코 정부외채

 

 ○ 최근 모로코 재정경제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2년 상반기 모로코 정부외채(중앙정부, 지자체) 잔액이 1916억 디람(약 220억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남.

 

 ○ 2011년 12월기준 모로코 정부외채(중앙정부, 지자체)는 1891억 디람을 기록했으며, 2012년 6월 1일, 915억 디람을 기록해(24억 디람 증가) 2011년 모로코 정부의 GDP 대비 외채 비율은 23.6%로 나타남.

 

□ 모로코 국가부채

 

 ○ 2011년 모로코 국가채무(중앙정부, 지자체 대내외 부채) 비율은 GDP 대비 64%로 세계 39위를 기록함. 중동국가 중에서는 이집트 83.4%(21위) 다음으로 높은 순위. 튀니지 49%(57위), UAE 43.5%(73위), 사우디아라비아 13%(129위), 알제리 8.1%(135위) 리비아 4.2%(143위) 순임.

 

2011년 국가별 GDP대비 국가부채 비율 현황

순위

국가

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

2

일본

211.7%

8

이탈리아

120.1%

17

영국

86.3%

20

프랑스

84.7%

21

이집트

83.4%

23

독일

81.8%

34

스페인

68.1%

35

미국

67.7%

39

모로코

64%

50

브라질

54.2%

57

튀니지

49%

60

인도

48.5%

72

중국

43.5%

73

아랍에미리트

43.5%

103

한국

33.6%

129

사우디아라비아

13%

134

러시아

8.3%

135

알제리

8.1%

143

리비아

4.2%

출처: CIA

 

 ○ GDP 대비 국채비율은 낮을수록 재정 건전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됨. 우리나라는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 GDP 대비 국채비율이 낮아 재정건전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됨.

 

□ 모로코 총외채

 

 ○ 2012년 상반기 모로코 총외채는 2570억 디람(302억 달러)으로 2011년 12월의 2537억에 비해 33억 디람(약 4억 달러)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2011년 국가별 총외채 현황

(단위: 백만 달러)

순위

국가

총외채

2

미국

14,710,000

3

영국

9,836,000

4

프랑스

5,633,000

5

독일

5,624,000

6

일본

2,719,000

7

이탈리아

2,684,000

9

스페인

2,570,000

19

중국

697,200

25

러시아

519,400

26

브라질

397,500

27

한국

397,300

30

인도

289,700

34

아랍에미리트

158,700

43

사우디아라비아

105,900

67

이집트

  33,740

72

모로코

  28,080

76

튀니지

  23,210

118

리비아  

   4,774

119

알제리

   4,699

출처: CIA

 

 ○ 총외채(대외채무)는 정부와 통화당국(중앙은행), 예금취급기관(금융기관), 공기업, 민간기업이 해외로부터 진 채무로 더 총체적인 개념의 외채 즉 총대외지불부담을 나타냄.

 

 ○ 모로코 총외채의 주요 채권자 구성을 살펴보면 다자간 기구가 50.7%로 단연 압도적이며, 유럽국가(24,9%), 사채권 및 상업은행(10.2%), 아랍국가(3.8%), 기타국가순

 

 ○ 부문별 채무 현황을 살펴보면, 중앙정부 51.8%, 공기업 47.4%, 상업은행이 0.6%, 지자체가 0.2%를 차지함.

 

 ○ 통화별 채무상태를 살펴보면, 유로화 71.6%, 달러화 8%, 엔화 6.9%, 기타 13.5%를 차지함.

 

 ○ 금리에 따른 채무구조를 살펴보면 전체 대비 고정금리가 78%를 차지하고 있으며, 변동금리 21.6%, 반고정금리가 0.4%를 차지함.

 

□ 모로코 국가 신용도

 

 1. Moody's: 종합 Ba1

 

 2. S&P(Standard & Poors): 종합 BBB-

 

세부 항목

등급

Local Currency Rating(국내통화등급)

BBB

Foreign Currency Rating(외화등급)

BBB-

T &C Currency Rating(송금환전평가)

BBB+

 

 3. Fitch: 종합 BBB-

 

□ 인근국가 신용등급

 

 

무디스

S&P

Fitch

이집트

B2-

B

B+

남아공

A3

BBB+

BBB+

모로코

Ba1

BBB-

BBB-

튀니지

Baa3

BB

BBB-

 

□ 신용등급 구분(표시: 모로코 신용등급)

 

 

□ 시사점

 

 ○ 경제위기설로 한바탕 홍역을 치른바 있는 모로코에 대해 IMF는 2011년 총선 이후 정치 상황이 안정되고 외자유치와 기간산업 개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점을 높이 평가하면서 주요 수출품인 인광석 및 파생품 수출 호조, 탕제 르노 공장의 생산량 증가, 관광산업의 부활이 무역적자 해소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 무디스, S&P, 피치 등 신용평가기관들은 모로코 최대 교역국인 유로존의 채무 위기와 가뭄현상, 고유가에 따른 경제위기를 이유로 들면서 다소 부정적인 전망을 발표

 

 ○ 우리나라의 대모로코 수출(2012년 8월 누계)이 62.5% 증가하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은 대금결제 조건과 자금조달에 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성이 증가

 

 

자료원: IMF, 무디스, S&P, 피치, 모로코 재정경제부, 외환청, KOTRA 카사블랑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IMF, 모로코 경제 순항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