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자원] 모로코 원자력 개발 및 활용 동향
  • 투자진출
  • 모로코
  • 카사블랑카무역관 이제혁
  • 2009-08-30
  • 출처 : KOTRA

 

모로코 원자력 활용 및 개발 동향

-의료, 산업, 전력 등 다양한 용도의 연구 및 상용화 박차-

- 원전 2017년 최초가동목표, 중장기적 원전수주 전략추진 필요 -

 

 

 

□ 원자력센터(CNESTEN) 주도 원자력 개발과 활용에 박차

 

○ 에너지원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모로코는 증가하는 산업 및 가정용 전력수요를 충족      

    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추진. 원자력센터(CNESTEN)가 국제원자력기구

   (IAEA)등의 지원을 받아 원자력 개발과 활용에 대한 업무 총괄

    - 원자력 연구 활성화 및 상용화 계획 수립 및 추진

    - 원자력 발전소 설립에 필요한 기초기술 축적

    - 원자력 이용의 안전과 보안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및 정책 수단 개발

 

○ 원자력센터(CNESTEN)는 모로코 내부의 대학, 연구단체, NGO 등과 긴밀한 관계를 조직하    

    여 원자력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IAEA등 국제기구는 물론 미국, 프랑스 등 원자력 선도국    

    가와도 적극적인 인력, 기술 교류를 주도

 

□ 모로코에서 원자력의 적용분야와 세부동향

 

○ 원자력은 모로코의 의학, 산업, 농업, 광업, 지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과학 및 산업 분야

    에 응용되고 있으며, 모로코 당국은 원자력 기술의 적용과 발전을 활성화하기 위해 관련 제

    도를 적극적으로 정비

 

① 의료

   모로코는 1900년대부터 종양 치료를 위한 방사선 의학을 도입했으며, 현재 수도인 라바트와

   카사블랑카에 원자력 종양연구 및 의료센터 다수 운영

   - 종양의 진단 및 치료에서 신약개발, HIV등 전염성질환 치료에 까지 응용범위 확대

 

② 산업

   다수 산업에서 원자력(방사선)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제당, 시멘트, 제지 제조공정에

   서 품질관리에 응용

   - 제조현장에서 비용을 절감하고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자력을 응용한 제어, 신    

      호, 통제 설비 이용 확산

 

③ 환경

   토양, 수자원, 대기, 식품 등의 오염을 예방하고 추적하기 위해 자연상태의 방사성 핵종(核種)

   의 분포와 이동 모니터링

   - 독극물 등 환경오염물질의 색출, 해양자원과 광물자원의 관리에도 원자력 기술 응요

 

④ 안전

   한편, 원자력 개발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사능 누출방지와 핵폐기물 처리에

   관한 규정을 정비하고 감독체제를 강화

 

□ 원자력발전소 건설은 당초계획보다 지연

 

○ 당초 2016년 가동을 목표로 모로코전력청(ONE)이 추진해온 원자력발전소(1,000MW급 2기)

   건립프로젝트는, 금년(09)들어 모로코 당국이 석탄을 이용한 화력발전에 투자를 확대하면서,  

   추진이 지연되는 상황

   - 원전건설 후보지는 모로코 남부 해안지역인 ‘Sidi Boulbra'가 유력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하

      여, 프랑스, 러시아, 캐나다의 원전기업이 입찰참가를 적극적으로 검토

 

모로코 전력판매 및 에너지부담액 추이

 

 자료: 모로코에너지부

 

□ 기술 및 인력 협력확대로 원전참여가능성 확대

 

○ 원전 1,000MW급 2기 건설을 수주하게 되면 수출효과가 27억불에 달하고 부가가치는 5조원

    이 창출되는 대형 사업

   - 이에 더하여, 원전발전 설비기업의 사업기회 확대, 핵연료 등 운전소요품목의 지속적인 수

      출효과, 인력파견 등 고용효과 등 전후방 파급효과 다대

 

○ 막대한 경제효과가 기대되어 프랑스, 러시아 등 원전 선도국가들도 원전참여에 적극적

   - 프랑스, 대통령 모로코 방문(07.10) 프랑스 업체의 원전 참여를 국왕에게 요청

   - 러시아, 아프리카 진출 확대전략에 따라 모로코에 영향력 강화 관심

 

○ 한편, 원전 건립과 운영은 당해 시설에 대한 고도의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인력과 기술의 축

    적이 필수적이어서, 중장기적으로 모로코와의 기술과 인력 교류를 꾸준히 추진하여 향후 원

    전건설 프로젝트가 발주되었을 때, 수주확률을 높이는 전략이 바람직

   - 한국원자력연구소는 모로코원자력센터(CNESTEN)과 지난 2001년 ‘기술협정’ 체결

   - 모로코전력청(ONE) 청장, 방한 및 국내원전시설 방문

 

 

 자료 : 모로코 원자력센터, 에너지부, 전력청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자원] 모로코 원자력 개발 및 활용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