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제2차 세계자원 대전? 중국의 희토전쟁 야욕
  • 경제·무역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12-07-10
  • 출처 : KOTRA

 

제2차 세계 자원 대전? 중국의 희토전쟁 야욕

- 팔 걷어붙인 중국정부, 희토(稀土) 자원무기화는 시간문제 -

 

 

 

□ ‘첨단산업의 비타민’ 희토란?

 

 ○ 희토란?

  - 희토(稀土)는 이름 그대로 희귀 광물로 화학적 안정성과 열 전도성이 뛰어나며 무게에 따라 경희토와 중희토로 분류됨.

  - 희토는 스마트폰, 컴퓨터 자기디스크, 하이브리드 카, MRI, 석유화학, 미사일 등 각종 첨단 정밀기기에 활용도가 높아 스마트 기기의 발전 추세에 맞춰 수요량이 증가할 전망

 

  희토자원 이용에의 어려움

  - 희토 광산에는 희귀금속이 같이 섞여있어 희토 산화물 1톤당 7톤의 강산성 물질이 발생함.

  - 또한 채굴과정에 암모니아, 질소, 중금속 등의 오염물이 발생하며 제련과정에서도 대량의 폐수와 유해기체, 방사성 물질이 발생함.

  - 희토 채굴 시 지표수 오염, 식물고사, 지하수와 농경지 황폐화 등 자연파괴와 인적 피해가 큼.

  - 중국의 경우 희토 채굴 과정에서 광시성에서 산사태가 발생했으며 장시성은 표층 식물이 고사해 황폐화되는 등 여러 부작용이 있었음.

  - 중국은 희토 채굴과 가공기술이 아직 미숙해 채굴과정에서 버려지는 희토의 양도 상당함.

  - 중국의 희토 자원은 기술 미숙으로 남방지역의 이온형 희토 자원 채굴 이용 수준은 총 채굴량의 50%, 북방지역 경희토의 경우총 채굴량의 40~60%로 알려짐.

 

□ 세계 희토산업 현황

 

  1948년까지는 인도와 브라질이 주요 희토 생산국이었음.

 

  1950년대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주요 희토 생산국이었음.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미국이 주요 희토 생산국이었음.

 

  1980년대 이후에는 중국이 주요 희토류 산지로 급부상함.

 

  1980년대 중국은 희토류를 저가로 대량 공급해 경쟁 수출국을 꺾었으며, 그로 인해 미국의 대표적 희토류 광산인 캘리포니아의 마운틴 매스 광산은 2002년부터 채굴을 중지함.

 

시대별 희토류 생산국의 변화

출처:네이버캐스트

 

□ 중국 희토산업 현황

 

   희토산업 규모

  - 중국 공업정보화부에 따르면 중국의 희토 매장량은 1859만 여 톤으로 미국 지질조사국의 추산보다 적으며 전 세계 희토 매장량의 23% 규모에 이름.

  - 그러나 대부분의 해외 희토 광산이 개발을 미루어 현재 중국이 세계 희토시장의 90%를 생산·공급함.

 

2011년 중국의 주요 희토 수입국

자료원:바이두

 

  희토산업 현황

  - 70년대 개혁 개방과 함께 중국의 희토류 산업이 성장하기 시작했음. 이후 국유기업, 민영기업, 외자의 집중 투자로 현재 중국 희토시장 규모는 1000억 위안 초과

  - 중국 네이멍구(內蒙古) 자치구의 바오터우(包頭), 쓰촨성(四川)의 량샨(凉山), 장시성(江西)의 간저우(州)는 중국 3대 희토 생산기지로 희토 채굴, 제련, 분리·제조 기능을 갖춤.

  - 중국은 희토의 종류가 많으며 이온형 중희토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양을 보유함.

  - 현재 중국 희토산업에 투자하는 국가는 미국, 독일, 프랑스, 캐나다, 일본 등임.

  - 해외투자총액은 61억 위안으로 독자·합자기업 38개 기업의 형태로 협력이 진행되며 생산된 제품은 거의 수출됨.

 

□ 중국 희토산업 발전의 걸림돌

 

  불법 희토 채굴

  - 불법 채굴업자의 경우 기술의 미숙으로 희토 자원의 이용률이 총 채굴량의 20%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자원 손실이 큼.

  - 중국의 희토 매장량은 원래 세계 60~70% 수준이었으나 50년간의 무분별한 채굴로 현재 매장량이 20% 대로 급감함.

  - 현재북방 최대 희토류 산지인 네이멍구의 바오터우(包頭) 희토 기지의 경우 매장 희토류 자원량이 1/3 밖에 남아있지 않음.

  - 중국 국무원에 따르면 희토 불법 채굴 적발건수 600여 건, 형사 처리 100여 건이 적발됨.

  - 국무원은 또한 불법채굴한 13개 광산과 76개 제련분리기업에 영업정지처분이 조치됐다고 발표함.

 

  밀수출

  - 중국의 희토 밀 수출량은 정상 수출의 120%에 달함.

  - 희토류의 경우 이윤의 폭이 크기 때문에 단속으로도 제재하기가 쉽지 않음.

  - 중국 국무원 발표에 따르면 밀수출 적발 건수는 8건이며 적발된 희토 총량은 769톤에 이름.

 

□ 중국의 희토류 전략적 관리 계획

 

  2012. 4. 희토산업협회(中國稀土行業協會) 설립

  -2012년 4월 8일, 희토산업협회(中國稀土行業協會) 출범

  - 희토산업협회에는 채굴, 제련, 분리, 용융 분야의 관련 기업 155개사가 가입함.

  - 협회 설립을 통해 산업구조를 효과적으로 개편하고 업종 내 진입장벽 강화, 개발 집중 도 강화 예정

  - 희토 산업 협회 설립은 중국 정부가 국제 희토 가격과 수출 쿼터에 대한 국가 통제를 강화하고 국제 희토 분쟁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분석됨.

  - 협회 출범이 중국의 희토 자원 무기화를 가속화 시킬 것임.

 

  2012. 6. 국무원 판공실 ‘희토 백서(中國的稀土狀况与政策)’ 발표

  - 중국 내 희토 매장량이 계속해서 감소함에 우려 표시

  - 희토 생산량과 매장량에 대한 관리 감독에 대한 의지 표명

  - 친환경적인 희토 채굴·이용 거듭 강조

  - 희토의 가격 안정화 필요성을 역설

  - 희토 산업구조의 합리적 재편성 필요성 언급

  - 희토 불법 채굴·밀수출 현황에 대한 강력한 규제 의지 표명

 

  2012. 7. 중국 정부 주도의 희토류 전략비축 시작

  - 중국은 2009년부터 네이멍구 바오터우광산지역에 대규모 희토 비축 기지를 건설했음.

  - 중국 언론 발표에 따르면 7월 5일부터 희토 전쟁에 대비해 중국 정부가 희토 비축에 국가 재정을 투입함.

  - 공급량이 비교적 적은 희토류부터 비축할 계획이며 사기업이 비축과정을 위임받아 대리하는 것으로 알려짐.

 

연도별 희토류 가격의 변화

자료원: 바이두

 

□ 희토 전쟁에 대비하는 각국의 자세

 

  - 중국 정부의 희토류 생산·수출 통제에 대해 가격 불안정이 계속되자 각국과 마찰을 겪음.

  - 2012월 3월 미국, EU, 일본은 수출 관세·쿼터 등에 관해 WTO에 감독관리 협상 요청

  - 희토류의 가격 불안정과 중국 정부의 통제에 대해 미국과 호주 등은 폐광된 광산의 재활용과 새로운 광산 개발 등의 방법을 강구함.

  - 지난 6월 일본에서는 해저에 220년간 사용 가능한 대량의 희토자원이 발견됐으며 광산 개발에 착수할 예정임.

 

□ 시사점

 

  중국은 현재 사실상 국제 희토시장의 가격 결정자임.

 

  우리나라는 희토류의 중요성 인식에 늦은 감이 있으나 첨단산업이 국가 중점산업인 만큼 희토류 확보가 시급함.

 

  중국 정부는 세계 각국의 기술력 높은 기업과 희토 채굴, 가공, 폐기물 회수, 대체자원 개발분야 협력을 희망함. 그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함.

 

  자체 광산 개발과 비축 등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함.

 

  또한 우리나라는 희토류 응용 제품 생산의 경험이 풍부하므로 희토류 가공기술을 제품화할 수 있을 것임.

 

 

자료원: 바이두, 네이버, 中國的稀土狀况与政策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제2차 세계자원 대전? 중국의 희토전쟁 야욕)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