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사우디 정부, 석유화학산업 확대 및 고부가가치화 주력
  • 트렌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이용진
  • 2012-03-18
  • 출처 : KOTRA

 

사우디 정부, 석유화학 산업 확대와 고부가가치화 주력

- Saudi ARAMCO, SABIC 등 적극적 합작투자 설립 -

 

 

 

□ 사우디와 글로벌 석유화학산업 동향

 

 ○ 전 세계 석유화학산업은 유럽의 재정위기와 저성장, 미국의 경기 둔화 등의 불안 요소로 인해 BMI의 전망에 따르면 2011년 3.8%에서 2012년 1.2% 성장에 그칠 것임.

 

 ○ 현재 세계 최대 석유화학제품 생산국인 미국은 수출 확대 등을 통해 완만한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지만 유럽 대부분의 국가는 불안정한 경제 상황으로 정체가 예상됨. 하지만 중국, 인도 등 개발도상국가들의 경우 내수 확대 등을 기반으로 향후 석유화학제품 생산량이 크게 확대될 것임.

 

주요 국가별 에틸렌 생산현황과 전망

            (단위: 천 톤, %)

구분

2011

2016

증감률

미국

26,615

26,837

0.8

중국

17,910

25,700

43.5

사우디아라비아

15,220

16,520

8.5

한국

7,830

8,080

3.2

일본

6,800

6,000

-11.8

독일

5,505

5,505

0.0

이란

5,376

11,076

106.0

캐나다

5,202

5,202

0.0

태국

4,425

4,425

0.0

대만

4,045

3,995

-1.2

네덜란드

3,980

3,980

0.0

인도

4,105

9,405

129.1

자료원: BMI

 

 ○ 사우디아라비아 역시 정부의 적극적 투자 하에 석유화학제품 생산량이 증가할 것이며, 특히 외국기업과의 합작투자 설립이 활발해질 것임.

 

 ○ 석유화학시장의 가장 큰 장점은 풍부한 원유와 가스 자원으로 사우디아라비아 내 공장들은 각종 원료를 값싼 가격에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정부의 제조업 장려정책으로 국내 수요처도 증가 추세에 있다는 점이 글로벌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의 한 요인으로 평가됨.

 

□ 사우디 석유화학산업 현황

 

 ○ 세계 석유화학 기초재와 중간재의 7%를 공급하는 현재 약 100개 국가에 석유화학제품을 수출하며 2009년을 기준으로 연간 290만 톤의 에틸렌과 450만 톤의 프로필렌을 생산함. 이러한 원료를 바탕으로 폴리머 22만 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330만 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251만 톤, PP 414만 톤, 폴리스티렌 17만5000톤, PVC 40만5000톤 등의 제품을  생산함.

 

 ○ 이러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화학 제품 생산량은 글로벌기업들의 활발한 투자 진출에 힘입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2016년까지 에틸렌 180만 톤, 프로필렌 700만톤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이를 통해 PE 886만 톤, PP 560만 톤, PS 37만5000톤, PVC 85만5000톤을 생산할 예정임.

 

 ○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 산업은 사우디아라비아기반공사(SABIC)와 SABIC, ARAMCO와 글로벌 기업 간 합작투자 기업들이 이끌며 기업별 대표 제품 생산 현황은 아래와 같음.

 

사우디아라비아 주요 석유화학기업 주요제품 생산 현황

(단위: 백만 톤/연)

업체명

생산품목

생산량

SABIC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Ethylene

7.185

Pentaerythritol

0.020

Dimethylformaldehyde (DMF)

0.060

Methylamines

0.050

Carbon Monoxide

0.033

Alujain (Alujain Corporation)

polyropylene

0.400

Nama  Chemicals

Epoxy resins

0.060

자료원: NCB (National Commercial Bank)

 

□ 글로벌 기업 사우디아라비아 진출 계획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현재 기초재에 치우친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 산업의 다양화와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과 함께 외국기업의 투자 진출을 적극 유치하며 SABIC, Saudi ARAMCO 등의 기업들과 합작투자 형태로 많은 글로벌 기업이 진출할 예정임.

 

 ○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글로벌 기업들의 사우디아라비아 진출은 저렴한 가격에 안정적으로 원료를 확보할 수  있다는 사우디아라비아만의 확실한 장점에 기반하며 이러한 글로벌 기업들의 진출 확대는 다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생산되는 석유화학 제품이 더욱 다양해지는 효과를 낳음.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에서는 석유화학 산업 육성을 통해 실질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제조업이 성장하기를 기대하며 자동차부품, 태양에너지, 금속가공, 플라스틱&포장, 전기가전 등의 산업을 5대 클러스터로 지정해 육성하려고 노력 중임.

 

 ○ 향후 외국기업들의 사우디아라비아 진출은 지속 진행될 것이며, 현재까지 확정된 진출 계획은 아래와 같음.

  - Dow Chemical(25%)은 Samco(Saudi Acrylic Monomers Company)와 합작으로 쥬베일의 Tasnee Petrochmicals 단지 내 아크릴산 생산공장을 건설 예정. 2013년 1분기부터 연간 아크릴산 14만5000톤,  부틸 아크릴산염 14만5000톤, 순수 아크릴산 8만5000톤 생산 예정

  - Dow Chemical은 Saudi Aramco 합작으로 Sadara Chemical Company을 설립 예정. 쥬베일 산업단지 내에 설립 예정인 이 회사는 Dow의 기술력을 통해 26개의 생산 단지를 건설 예정이며, 2016년부터 연간 에틸렌 150만 톤, 프로필렌 45만 톤을 생산 예정이며 아민, 글리콜 에테르, 프로필렌 클리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등을 생산 예정

  - ExxonMobil Chemical은 SABIC 함께 주베일의 Al Jubail Petrochmical Company(KEMYA) 단지 내 엘라스토머 생산 시설을 건설 중. 이 시설은 연간 부틸고무와 부타디엔 스티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등을 연간 40만톤가량 생산 예정. 또한 KEMYA사는 미국의 Continental Carbon사와 카본블랙 생산을 위한 장기 협력 계약을 체결했으며 Goodyear사와 다시 삼자 간 기술 협력을 체결할 예정임.

  - 한화케미컬은 Saudi International Petrochmical Company(SIPCHEM)와 50:50 합작투자를 통해 주베일 내 Wire & Cable Polymers Compounding Company 설립. 2013년 말부터 연간 20만 톤의 에틸렌 아세트산비닐과 12만5000톤의 LDPE을 생산 예정

  - 그 외 SAAC, SAFCO, NatPet, Kayan, Satorp 등 사우디아라비아 기업(또는 사우디아라비아-글로벌 합작기업)들이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 생산 공장을 설립 중임.

 

□ 시사점

 

 ○ 현재 전체 산업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10% 내외이며, 이러한 제조업의 대부분을 석유화학사업이 차지함.

 

 ○ Saudi Armco와 SABIC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석유화학산업은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산업 다각화 정책에 힘입어 크게 성장을 이어가며 정부에서는 이러한 석유화학산업의 성장이 다른 제조업의 성장을 견인해줄 것으로 기대함.

 

 ○ 2011년 6.8%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경제는 고유가를 유지하는 국제 유가에 힘입어 올해도 3~4%의 성장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대부분의 경제 전문가들은 향후 10년 동안 경제 전망이 매우 밝은 것으로 평가함.

 

 ○ 현재 270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하며, 이 중 25세 이하의 젊은층이 50% 이상을 차지해 국민 소비 지출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 3.4%(세계평균 1.2%)에 달하는 인구 증가율은 사우디아라비아 내수 시장을 더욱 탄탄히 하는 밑바탕이 될 것임.

 

 ○ 이와 같은 여러 상황을 감안해볼 때 석유화학산업을 바탕으로한 제조업 성장에 대한 관심과 함께 이를 활용한 진출전략 수립이 필요함.

 

 

자료원: NCB Report, BMI, 사우디아라비아 일간지, 현지 시장탐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 정부, 석유화학산업 확대 및 고부가가치화 주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