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EU, 2014년부터 중국・인도 등 GSP 대상국 제외 검토
  • 통상·규제
  • 벨기에
  • 브뤼셀무역관 정철
  • 2011-05-09
  • 출처 : KOTRA

 

EU, 2014년부터 중국·인도 등 GSP 대상국 제외 검토

- 7월 1일 한·EU FTA 발효를 앞둔 우리에게 유리한 여건 조성 -

 

 

 

□ 최근 EU는 2014년부터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 80여 개국을 일반특혜관세제도(GSP : Generalized System of Preference) 수혜대상국에서 제외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음.

 

 ○ 일반특혜관세(GSP)는 개도국산 제품이 EU 역내에 수출될 경우 관세를 감면 또는 면제해주는 제도로, EU는 70년대부터 이 제도를 운영해 왔음. 우리나라는 90년대 중반에 수혜대상국에서 제외됨. 현재 수혜대상국은 176개 국가와 속령임.

 

□ 아직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EU는 중국, 인도 등 급속히 경제가 성장하는 국가를 계속해서 GSP 수혜국으로 남겨두기 어렵다는 입장임.

 

 ○ 세계은행이 작성한 국별 국민소득 순위에 의하면 최근에 여러 국가가 순위가 상승해 빈곤퇴치를 목적으로 한 GSP 혜택 부여의 당위성이 갈수록 약해지고 있다는 것임.

 

 ○ 게다가 최근 한·EU FTA 타결이나 인도와의 FTA 협상 진행 등 쌍무적인 자유무역협정이 여러 개도국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GSP 의미가 더욱 약화되고 있다는 것임.

 

□ 이같은 GSP 수혜대상국 축소 움직임에 해외 개발지원을 담당하는 EU 집행위 부서에서 내부적인 반대가 있고, 전 식민지국들과 전통적으로 자유무역을 추구하는 일부 회원국들도 이의를 제기하는 것으로 알려짐.

 

 ○ 이와 관련 케이프 베르드나 보츠와나, 모리셔스 등과 같은 GSP 수혜대상국에 대해서는 더 많은 과도 적응기간을 부여하는 등 절충안도 검토됨.

 

□ EU가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 주요 경쟁국을 GSP 수혜대상국에서 제외한다면 7월 1일 FTA 발효를 앞둔 우리에게는 대EU 수출에 더욱 유리한 여건이 조성될 것임.

 

■ 관련정보 보완(2011.5.11)

 

□ 이와 관련 EU 집행위의 Karel De Gucht 통상담당 집행위원은 5월 10일 유럽의회에서의 기자회견을 통해 브라질, 중국, 인도, 러시아 등 급속히 경제가 발전하고 있는 국가에 대해 GSP를 부여한다는 것은 논리에 맞지 않는다고 밝힘.

 

 ○ Karel De Gucht 집행위원은 상기 4개국 이외에도 말레이시아,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등을 언급하면서, 이 국가 중 일부는 국민소득이 일부 EU 회원국보다도 높은 경우도 있다고 지적

  - 특히 러시아와 브라질, 중국, 인도, 태국 5개국이 EU GSP 수혜의 4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히고, 수혜대상국 축소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될 것임을 시사함.

 

■ 상기 정보의 세부적인 내용을 정리하여 5월 17일 GW에 'EU의 GSP 제도 현황과 개정방향'이라는

    제하에 등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람.

 

 

자료원 : eubusiness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EU, 2014년부터 중국・인도 등 GSP 대상국 제외 검토)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