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동아프리카 전력산업 투자, 돈떼일 걱정 덜어지나
  • 경제·무역
  • 케냐
  • 나이로비무역관 유성원
  • 2010-10-27
  • 출처 : KOTRA

 

동아프리카 전력산업 투자, 돈 떼일 걱정 덜어지나

- 12대 주요 전력프로젝트에 16억 달러 규모의 정부보증 추진 -

- 프로젝트 추진 위험도 감소로 해외기업의 관심도 제고 예상 -

 

 

 

⏵ 아프리카 투자의 가장 큰 문제, 자금 회수

 

 ㅇ 아프리카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자들의 최대 고민 중 하나는 바로 투자재원 조달 및 초기 투자비용 회수 가능 시점 산정이 어렵다는 것임.

  - 정부 예산 부족으로 민자 및 해외원조 재원을 통한 프로젝트 진행이 주된 방식임.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회원 국가의 경우 회계연도 2010/11년 정부 예산 중 18~29%를 해외 원조재원에 의존할 정도로 대외 의존도가 높음

     

EAC 회원국별 정부예산 대외의존도

                                                                                                                             (단위 : %)

국가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르완다

브룬디

대외의존도

18

27

28

25

29

주 : 대외의존도는 회계연도중 외채/총정부예산 비중임.

     

  - 일부 프로젝트의 경우 시공기업에 대해 의무적으로 일정 비중의 재원 조달을 요청함에 따라 투자비용 회수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기업들이 프로젝트 참가를 포기하는 경우도 빈번함.

     

 ㅇ 이로 인해 일부 정부 원조에 힘입은 국가의 기업들 위주로 프로젝트 시장이 이뤄지기 때문에 국제입찰 시 응찰기업이 소수이고 프로젝트 결과물의 품질도 예상보다 낮은 경우가 다수 발생

     

⏵ 정부 보증을 통해 참가 기업들의 부담 감소 추진

     

 ㅇ 2010년 10월 케냐 정부는 재원조달의 어려움으로 정체상태에 놓인 12대 전력 프로젝트에 대해 정부 보증제도 도입을 적극 검토 중이며, 총 정부보증 규모는 16억 달러 수준임.

  - 해당 프로젝트 완료 시 추가되는 예상 발전용량은 현재 케냐 전력공급용량(1289㎿)의 88%에 달하는 규모인 1127㎿임.

  - 대부분 IPP 방식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며, 해당 프로젝트 중 6건은 추진 확정됨. 기타 6건의 프로젝트는 신속추진권(Fast Track)에 의해 일정 비중의 재원조달 완료 즉시 추진 예정인 대기 프로젝트임.

  - 일부 프로젝트들은 100㎿ 이상의 중대규모 발전 프로젝트로 케냐 정부가 투자자 모집을 위해 국내외 민자 유치를 적극 추진 중이나, 각종 사유로 재원 조달이 부진한 상황임.

     

 정부보증 추진 중인 케냐 전력 프로젝트

프로젝트명

발전용량(㎿)

현황

Songoro 수력발전 프로젝트

21

확정

Tana 수력발전 프로젝트

10

확정

Ngong 풍력발전 프로젝트

5

확정

Early 지열발전 프로젝트

80

확정

Kindaruma 수력발전소 확대 프로젝트

25

확정

Olkaria 지열발전소 확대 프로젝트

280

확정

Turkana 풍력발전 프로젝트

300

대기

Aeoulos 풍력발전 프로젝트

100

대기

Gulf 화력발전 프로젝트

84

대기

Triumph 화력발전 프로젝트

84

대기

Athi and Menelec 화력발전 프로젝트

84

대기

OrPower 화력발전 프로젝트

54

대기

     

 ㅇ 현재 케냐의 전력 단가는 US$ 0.15/㎾h로 멕시코(US$ 0.075), 중국(US$ 0.07), 한국(US$ 0.05), 남아공(US$ 0.04) 등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준임. 제조업 원가 상승으로 산업구조 현대화와 해외투자 유치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함.

     

 ㅇ 이러한 요인들로 케냐 정부는 전력공급 용량 확대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며, 최초로 정부보증을 추진함.

 

⏵ 케냐 전력 프로젝트 추진 애로 원인

 

 ㅇ 현재 케냐 전력 프로젝트의 본격 추진 및 재원 조달을 어렵게 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음.

  - 첫째, 2009년 발효된 External Loans Credit Act에 의하면 케냐의 총 대외부채는 2015년까지 10억 달러 이하로 축소돼야 함(2010년 현재 전체 대외채무 18억 달러). 이에 따라 케냐 정부는 현재 외자 도입을 자제하나 현실을 도외시한 법안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일부에서 제기됨.

  - 둘째, 상기 법안의 영향으로 케냐 정부는 35%의 무상증여를 포함하지 않는 해외 재원조달을 자체적으로 통제함. 이는 케냐의 성장성을 높게 평가하는 외국 및 MDB가 차관제공 규모를 확대하고자 해도 정부가 거절하는 상황임.

 

 ㅇ 대외 재원조달 가능 규모가 축소됨에 따라, 케냐 정부는 해외 투자자들의 케냐에 대한 관심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보증 방식을 도입하게 됨.

 

 ㅇ 보증방식은 공기업의 외자유치를 허용해 공기업의 부채를 정부가 대리 보증하는 형태가 유력함. 전력 프로젝트의 경우 비교적 재무구조가 탄탄한 케냐 발전청과 케냐 송전청이 주체가 돼 외자를 유치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예정임.

 

⏵ 시사점

 

 ㅇ 케냐의 외채 상한선 도입은 단기적으로 외채 도입을 어렵게 해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을 어렵게 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케냐의 대외신용도 제고효과가 있어 일부 비판에도 국내적으로 상당한 공감대를 형성함.

 

 ㅇ 또한 공기업 외자 도입과 이에 대한 정부보증은 많은 개도국들이 발전과정에서 채택하는 보증방식임. 중장기적으로 케냐 정부 재무구조가 견실화될 경우 외부재원 도입을 더욱 원활히 할 수 있는 방식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향후 동아프리카 인근국으로의 확대 가능성도 제기됨.

     

 ㅇ 전술한 정부보증 추진 전력 프로젝트들이 경제성 측면에서는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프로젝트의 위험도가 낮아지는 점을 고려할 때, 한국 기업 역시 케냐 전력시장에 대해 주목할 필요성이 높아짐.     

 

 

자료원 : 현지 주요 언론 및 관계자 인터뷰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동아프리카 전력산업 투자, 돈떼일 걱정 덜어지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