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1년 케냐 건설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케냐
  • 나이로비무역관 서영상
  • 2021-10-08
  • 출처 : KOTRA

-건설업은 케냐 정부가 인프라 개발을 위해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분야-

-직접투자 아니라 입찰 참여, PPP 활용하여 진출 모색-

 

 

 

 건설업 동향 산업 현황

 

2020 건설업은 케냐 GDP 7.0% 차지하고 있으며, 11.8% 성장률을 보였.  비즈니스모니터인터내셔널(BMI) 따르면 케냐 건설시장은 2026년까지 연간 6.2% 성장률을 보이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SSA) 성장률을 능가할 것으로 전망이다. 이러한 성장은 케냐정부의 인프라개발에 대한 높은 지출과 외국인 투자가 견인할 것으로 분석하였정부의 높은 부채 부담이 인프라 개발 속도를 위협하고 시장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릴 있음에도 불구하고인프라에 대한 케냐 정부의 지출은 높은 수준의 성장세를 유지하고 .

 

2018-2020 건설업 GDP 비중 연간 성장률

(단위: %) 

2018

2019

2020

GDP 비중

연간 성장률

GDP 비중

연간 성장률

GDP 비중

연간 성장률

5.8

6.1

6.0

5.6

7.0

11.8





자료: Economic Survey 2021

 

케냐의 2019/20 회계연도 예산은 BIG 4 아젠다에 집중하고 있으며, BIG 4 아젠다 하나인 서민주택공급에 11 달러, BIG 4 아젠다를 달성하기 위한 발판인 에너지인프라, ICT 분야에 44 달러를 배정했. 나이로비에서 승인 건축계획 승인 규모는 2016 3 달러, 2017 24 달러, 2018 21 달러로 감소세에 있지만 준공된 건물의 규모는 2016 78000 달러, 2017 86000 달러, 2018 9 달러로 증가하였.

 

나이로비 건축계획 승인 규모 준공규모 추이

(단위: US$ )

IMG_257

자료나이로비 시청

 

케냐의 도로 건설  개보수 등으로 지출된 금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8/19년도에는 19 8000 달러에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케냐 도로공사 지출 규모 추이

(단위: US$ )

회계연도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지출 규모

876,293

806,259

1,245,012

1,736,515

1,979,275

자료인프라&케냐 도로위원회(Infrastructure & Kenya Roads Board)

 

 2020 시멘트 소비량은 731 톤으로 전년대비  23정도 증가하였고, 항만개발, 고속도로 설치 대대적인 인프라 발주에 따른 것이며, 2021년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시멘트 생산 소비량 추이(2019-2021)

(단위 )

년도

생산량

소비량

2019

5,967.2

5,933.3

2020

7,406.9

7,312.7

2021. 1-6

4,109.5

4,054.7

자료 : Economic Survey 2021, Leading Economic Indicator July 2021

 

건설 관련 정책 규제

 

  케냐의 건설 산업은 주로 교통인프라와 건물-주택 분야라는 가지 주요 분야에 의해 견인된다. 케냐 건설교통부(Ministry of Transport, Infrastructure, Housing & Urban Development) 도로항공해양철도주택 도시 개발에 관한 정책 이니셔티브를 담당하고 있으며 부처 주요 정부 기관으로는 케냐 국도청(Kenya National Highways Authority), 케냐 농촌 도로청(Kenya Rural Roads Authority), 케냐 도시 도로청(Kenya Urban Roads Authority)케냐 항만청(Kenya Ports Authority, 케냐 철도공사(Kenya Railways Corporation), 케냐항공청(Kenya Airports Authority), 교통안전청(National Transport and Safety Authority), 국가건설청(National Construction Authority) 등이 .

케냐 건설 사업은 지방정부와 국가건설청(National Construction Authority, NCA) 규제를 는다. NCA 건설 산업을 관리 규제하는 국가기관이며, 지방 정부는 건설허가를 내며 NCA 건설공사를 시작할 있도록 적합 인증서를 발급해 케냐에서 시행되는 건설사업은 NCA 등록해야 한다.

 케냐는 2008 중장기 국가발전 전략으로 ‘VISION2030’ 발표하였으며 현재 3 단계(MTP III) 시행 . MTP III BIG4 아젠다를 바탕으로 추진 중에 있으며 도로, 철도, 해양, 항공, 에너지, ICT에서 진행 중인 인프라 개발를 통해 BIG4 아젠다 달성을 이룰 계획이다. MTP III 기간 동안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는 접근성, 품질, 기능, 일자리 창출, 재해 대비 환경 보호에 초점을 맞추며 추진할 예정이다.

 

‘VISION2030’ MTP III 하에 추진되는 주요 인프라 개발 계획

인프라

목표

내용

항공

항공시설 확장 현대화

공황 수용 용량 향상

조모케냐타국제공항 터미널 1-B, C, D 터미널 확장 재건.

주요 공항의 보안 개선

조모케냐타국제공항 2 활주로 관련 시설 건설

모이국제공항의 재건 말린디, 이시오올로 공항의 확장

항구

해운 시설 개선

화물운송 용이

몸바사 2컨테이너터미널 확장 프로젝트 2,3단계 실시

- Dongo Kundu 자유무역항 개발,

키스무항 개선, Kipevu 오일 터미널(KOT) 이전

철도

철도교통확대

철도화물수송용량증가

나이로비-나이바샤간 표준궤철도 건설

도로/ 교통

도로확장

지역연결성 향상

- East Africa Road Network Project, 190Km

- Kenya Transport Sector Support Project, 53Km

- East Africa Regional Transport, Trade and Development Facilitation Project, 350Km

- National Urban Transport Improvement Project (NUTRIP), 47Km

- Northern Kenya Transport Improvement Project (NETIP), 344Km

- Mombasa-Nairobi six lane highway toll road 건설, 450Km

역내 물류네트워크 강화

- LAPSSET(Lamu Port Southan Ethernet Transport) 프로젝트

도시 도시 지역의 연결성 향상

- Mass Rapid Transit System

에너지

발전량 증대

재생에너지원 개발

수력 발전 프로젝트, 93MW

지열 발전 프로젝트, 913MW
-
풍력 발전 프로젝트, 800MW
-
바이오매스 전력 프로젝트, 157MW
-
태양열 발전 프로젝트, 442MW
-
석탄 발전 프로젝트, 328MW

송전

- 5121Km 송전선과 77개의 고전압 변전소 국가 시스템 제어 센터 건설

지역 상호연결 전송선(에티오피아-케냐, 케냐-우간다, 케냐-탄자니아) 건설

자료원: VISION2030 THIRD MEDIUM TERM PLAN 2018-2022

 

건설분야 주요 이슈

 

 케냐 정부는 인프라 구축을 통해 산업환경을 업그레이드 예정이나 향후 10 년간 케냐의 인프라 개발에 매년 20-30 달러의 자금 부족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자금 조달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 케냐는 공공민간합작(PPP) 방식을 적극 활용 예정이다.

 

케냐 PPP 프로젝트 단계별 추진 현황

 

프로젝트 단계

중앙정부
프로젝트

지방정부
프로젝트

합계

1

Projects at Financial Close

1

0

1

2

Projects at Commercial Close (PPP Contracts Signed)

10

0

10

3

Projects at Contract Negotiations

8

0

8

4

Projects in Tender/Procurement

5

0

5

5

Projects Ready for Tender/Procurement

6

1

7

6

Projects With Completed Feasibility Study Reports, Pending Approval

0

1

1

7

Projects at Feasibility Study Stage ( Ongoing Studies)

3

1

4

8

Projects at Proposal Stage3

14

4

18

9

Projects Awaiting Guidance from Contracting Authority

21

4

25

자료원: 케냐 재무부 PPP Unit

 

케냐 정부는 BIG4 아젠다 하나인 서민주택공급을 향후 5년간 50 주택을 건설할 계획이다이를 통해 35 이상의 일자리 창출과 부동산 분야 개발 확대  GDP 대비 건설 분야의 비중을 2022년까지 14%까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19.11 금리상한제 폐지로 민간 건설 경기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는데, 민간 신용 둔화의 원인 경제성장 저해 요소로 꼽혔던 금리상한제가 폐지되면서 중소기업의 신용 대출이 수월해질 전망이다. 신용경색으로 둔화세를 보인 민간분야 건설업도 활기를 띠고 있으며, 실제로 글로벌 금융기관들도 대출 금리상한제 폐지 이후 인프라에 대한 지출 증가와 민간 부문의 수요 증가를 기대하며 2021 케냐의 경제성장률을 5.8% 상향 조정하였.

반면, 부채로 인한 정부 재정압박이 건설업 호황의 변수가 전망이다. 2019 10 기준, 케냐의 국내 부채는 2 8360 실링( 283 달러), 해외부채는 3 660 실링( 306 달러)으로 공공부채는 5 9020 실링( 590 달러), GDP 60% 수준에 하고 있다. 2019 6 기준, 중국부재는 6711 실링 (67 달러)으로 케냐 양자 부채  66.38%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케냐가 중국 인프라개발 자금 조달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케냐는 부채부담이 커짐에 따라 세수입 확보를 위해 1.5% 기존 철도개발세(RDL) 비율을 2%, 2% 기존 수입신고세(IDF)  비율을 3.5% 인상하였으며, 최근 디지털세 신설, 유류세 인상 등을 단행하였다. 자동차 수입세도 1.5리터를 초과하는 휘발유 차량의 경우는 기존 소비세 20%에서 25%, 엔진용량이 2.5리터를 초과하는 디젤 차량의 경우는 기존 30%에서 35% 인상했다.

 

케냐 공공부채 추이

(단위: 실링)

IMG_256

자료원: 케냐중앙은행

 

건설 기업 현황

 

기업명

기업 정보

홈페이지

Epco Builders

- 1978 설립

나이로비 CIC플라자, 엘도렛 모이대학 Pension Scheme Complex 타워 건설

http://www.epcobuildersltd.com/

Seyani Brothers

- 1978 설립

빌리지마켓 쇼핑몰 확장 Green Hills 호텔 건설

http://www.seyanibrosk.com/

Intex Construction

- 1982 설립

- 1000km도로 3.7평방미터 주택 단지 건설

http://www.intexafrica.com/

Landmark Holdings

- 1999 설립

케냐항공청 본사, Riverine Estate, JKUAT SRBS 타워 프로젝트 수행

http://www.lhl.co.ke/

Associated Construction

남아공, 영국, UAE, 인도 등의 기업들과 협력하여 대규모 엔지니어링 프로젝트를 수행

http://associated.co.ke/

Cementers

투리버스 쇼핑몰 개발, 나이로비 JKIA 공항 도로공사 프로젝트 수행

https://cementers.com/

Hayer Bishan Singh & Sons

공항, 도로, 교량 등의 주요 건설 재활 프로젝트를 수행

http://www.hayergroup.com/

자료나이로비 무역관 자체 조사

 

케냐에 등록된 건설업체는 건설사협회(NCA) 홈페이지 https://nca.go.ke/search-registered-contractors/ 에서 확인할 .

   

진출유망분야

 

건설산업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거시경제 안정성 소비시장 확대

금리상한제 폐지에 따른 민간 신용 상승

- 2018-22년사이 정치-사회적 안정 유지 전망

느린 정부조달 절차

세수부족에 따른 세금 인상

노동집약적 전통 방식의 건축기술

Opportunities

Threats

공공 인프라 강화에 초점을 맞춘 BIG4 아젠다 추진

다자공여국들의 인프라개발 지원 자금 활용한 현지 프로젝트 개발 기회 높음.

낙후된 공공시설에 대한 재건 보수에 따른 인프라 교체 수요 지속

케냐의 공공부채 증가에 따른 재정압박

정부의 신개발사업에 대한 지출 유예조치

부패에 대한 낮은 인식과 낮은 조달 투명성

자료나이로비 무역관 자체 조사

 

케냐는 우후루 대통령 정부의 5 가구 서민 주택 건설 프로젝트 진행 인프라 확장을 다수 인프라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 파이프라인에 있는 PPP 프로젝트 등에 참여를 통한 시장 진출 모색하는 것이 케냐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현재 진행중인 주요 PPP 프로젝트 요약

프로젝트 사업 내용

진행단계

담당부서

Development,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Lamu Port Berths 4-21 and the adjacent Special Economic Zone (SEZ)

 - 정박지(Berths) 4-21 인접한 특별 경제 구역(SEZ) 개발운전 유지 관리

타당성 연구가 진행

케냐항공청 (KPA)

40MW Solar Power Plant at Muhoroni, Kisumu County

 - 키수무의 무호로니 지역에서 40MW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

프로젝트 제안 단계

에너지 석유부 (MOE&P)

Mombasa Petroleum Trading Hub

- 몸바사 연안 적재 하역 제트 석유 탱크 집합 지역 개발, 운영 유지관리  

프로젝트 제안 단계

케냐석유공사 (NOCK)

Development of an Export Quarantine Station and Livestock Export Zone

- 케냐 해안지역 수출검역소 가축수출지역 개발  

프로젝트 제안 단계

농수산부

Maseno University Student Accommodation Hostels

- 캠퍼스 학생 1 명을 수용할 있는 “Student Village  개발

프로젝트 제안 단계

Maseno 대학

자료원: 케냐재무부 PPP Unit

  

자료원: VISION2030 THIRD MEDIUM TERM PLAN 2018-2022, Leading Economic Indicator June 2019, Economic Survey 2019, 인프라&케냐 도로위원회케냐재무부 PPP Unit, 케냐중앙은행, 현지주요일간지, 나이로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1년 케냐 건설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