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프리미엄부터 중저가 라인까지, 쿠웨이트 가구 시장 성장세
  • 트렌드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문정인
  • 2024-11-11
  • 출처 : KOTRA

2024년 쿠웨이트 가구 시장 규모 약 12억 달러 예상

가구 시장 동향

 

쿠웨이트의 가구 시장은 최근 몇 년간 크게 성장하고 있다. 기능성과 편안함을 갖춘 가구 선호가 늘어나고 있으며 친환경 및 지속 가능한 재료를 사용한 가구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온과 높은 습도의 쿠웨이트 기후 조건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과 현대적인 디자인을 고루 갖춘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이다.


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쿠웨이트의 가구 시장 규모는 약 12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9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약 4.0%로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거실 가구 부문이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침실과 인테리어, 주방 가구 부문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쿠웨이트 가구시장 규모 추이>

(단위: US$ 십억)

[자료: Statista]


쿠웨이트 가구 시장의 성장은 여러 요인에 기인한다.


쿠웨이트는 산유국으로서 석유 수출 수입에 기반해 경제가 안정적이며 자국민의 소득 수준 또한 매우 높은 편이다. 이에 고급 가구 브랜드를 비롯해 소비자들의 가구 구매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가구와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세련된 디자인과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가구에 대한 인기가 증가하고 있다. 고급스러운 소재와 세련된 디자인, 실용적인 기능을 고루 갖춘 프리미엄 가구에 대한 수요가 높으며 유럽과 미국의 글로벌 가구 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높은 편이다.


또한 쿠웨이트 정부는 도시 개발 및 주거 시설 확충을 위해 신도시 조성 및 각종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신규 주택과 상업 공간에 대한 가구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전망이다. 대형 가구점에 가구를 납품 중인 유통사의 구매 매니저 A 씨는 쿠웨이트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가구 납품량이 지난해 대비 증가했으며 가구뿐 아니라 홈 인테리어 제품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며 2025년에는 수입량을 올해보다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구 수입 및 유통 현황

 

2023년 쿠웨이트의 1위 가구 수입국은 중국이다. 중국은 전체 쿠웨이트 가구 수입의 53.3%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값싼 제품을 대량 공급함으로써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어서 이탈리아, 튀르키예, 독일, 미국이 주요 수입 대상국이다. 한국 가구 수입 비중은 약 0.2%로 비교적 미미한 수치지만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제품 전반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2023년 쿠웨이트 가구(HS Code 94류) 수입 통계>

(단위: US$ 천, %)

수입국

수입액

비중

중국

299,202

53.3

이탈리아

69,917

12.5

튀르키예

43,440

7.7

독일

21,705

3.9

미국

18,114

3.2

한국

1,071

0.2

[자료: Trademap]

 

Safat Home은 쿠웨이트 최대 가구 판매점으로 6개의 대형 쇼룸을 운영 중이며 로컬 제품뿐 아니라 다양한 해외 수입 제품을 취급하고 있다. Abyat는 쿠웨이트에 본사를 둔 중동 가구 소매점으로 넓은 매장과 다양한 제품군으로 원스톱 쇼핑을 제공한다. 글로벌 브랜드로는 스웨덴의 IKEA와 미국 프리미엄 브랜드인 West Elm과 Pottery Barn의 인기가 높은 편이며 세 브랜드 모두 쿠웨이트 최대 복합 쇼핑몰인 The Avenues Mall에 입점해 있다.


<쿠웨이트 주요 가구 소매점>

Safat Home

쿠웨이트의 대표적인 가구 소매업체로 다양한 가구와 홈 엑세서리를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며 6개의 대형 쇼룸 운영 중

(www.safathome.com)

Abyat

Home of Homes라는 슬로건을 가진 ABYAT는 가구, 장식, 침구, 조명, 주방용품 등을 폭넓게 판매 중이며 주거 및 상업용 가구 모두 취급, 1개 대형 쇼룸 운영 중이며 사우디아라비아에도 여러 개의 매장 운영 중

(www.abyat.com/kw/en/)

West elm

미국 글로벌 브랜드로 거실, 침실, 다이닝 및 사무용 가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컬렉션 보유하고 있으며 모던하고 세련된 디자인의 가구와 인테리어 소품 판매, 쿠웨이트 최대 쇼핑몰인 Avenues Mall과 Kout Mall에 입점

(www.westelm.com.kw/en/)

PtteryBarn

미국 프리미엄 홈퍼니싱 브랜드로 비교적 고가의 클래식하고 트렌디한 디자인 가구 판매 중, 쿠웨이트 최대 쇼핑몰 Avenues Mall 입점

(www.potterybarn.com.kw/en/)

IKEA

스웨덴의 글로벌 가구 브랜드로 합리적인 가격과 현대적인 디자인의 조립식 가구로 유명, 셀프 서비스와 조립식 가구로 비용 효율성 높임. Avenues Mall 비롯 6개 대형 복합 쇼핑몰에 입점

(www.ikea.com/kw/en/)

[자료: 브랜드별 웹사이트] 


시사점


쿠웨이트의 가구 시장은 고품질의 프리미엄 글로벌 브랜드와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의 종합 소매점으로 이분화돼 있다. 고소득층인 자국민과 중저가 제품을 선호하는 외국인으로 다양한 소비층이 형성돼 있어 타깃 소비층에 맞는 진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고급 소재, 세련된 디자인, 높은 내구성을 강조한 고품질 제품을 통해 한국 가구의 우수성을 부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쿠웨이트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고급스러운 외관과 차별화된 디자인 요소를 더해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반면 중저가 시장의 경우 중국 제품이 이미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가격 경쟁력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 품질 우수성을 유지하면서도 가격 경쟁력을 갖춰 한국 제품만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접근이 효과적이다.


또한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한 마케팅 전략도 필수적이다.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광고 등을 통해 한국 가구의 고유한 디자인과 품질을 홍보하고 한류를 활용한 마케팅을 병행한다면 현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자료: Statista, Trademap, 가구점별 웹사이트, 현지 언론 및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프리미엄부터 중저가 라인까지, 쿠웨이트 가구 시장 성장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